이 연구는 홀리스틱의 영성교육 관점에서 체조선수들이 겪고 있는 스트레스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총 3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자료처리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500911
2009
-
37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11-125(15쪽)
1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홀리스틱의 영성교육 관점에서 체조선수들이 겪고 있는 스트레스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총 3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자료처리는 ...
이 연구는 홀리스틱의 영성교육 관점에서 체조선수들이 겪고 있는 스트레스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총 3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자료처리는 윈도우즈용 SPSS 11.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정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후, 사후검증은 Scheffe 통계분석을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고등학교 체조선수와 다른 종목 선수 간 스트레스 차이를 비교한 결과 하위요인을 보면 운동요인에서만 차이가 나타났을 뿐, 다른 요인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교 체조선수의 학년별 스트레스 차이를 비교한 결과 하위요인을 보면 가족요인, 교우요인, 자아요인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학년별 비교에서는 3학년이 1학년보다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교 체조선수의 운동경력별 스트레스에 대한 차이를 비교한 결과 하위요인을 보면 가정요인, 학교요인, 운동요인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운동경력별 비교에서는 운동을 5년 이상 수행한 선수가 3년 미만으로 짧은 기간 동안 수행한 선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고등학교 체조선수의 입상실적에 따른 스트레스 차이를 비교한 결과 입상실적이 많은 선수나 없는 선수 모두 스트레스 요인에서는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stress factors of high school gymnasts and use this as basal information to efficiently manage players and make coaching ways by conceiving methods to reduce deviation phenomenon caused by them. The objects of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stress factors of high school gymnasts and use this as basal information to efficiently manage players and make coaching ways by conceiving methods to reduce deviation phenomenon caused by them.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324 players consisting of high school gymnasts(162) and players in common games (162). The stress questionnaires are recomposed by 6 coaches in gymnastics event and common events using the questionnaire that Tae-Sang Jung (2001) and Sung-Gi Mun (2004) used. Also, The number of questions is total 40 and it consists five factors such as Home Factor, School Factor, Friend Factor, Exercise Factor and Ego Factor. T-test and one way ANOVA and post hoc analysis are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hen dealing data by using Window SPSS 11.0 program,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result that compares difference between high school gymnasts and other players shows that there is statistical difference in Exercise Factor. However, in overall, there is no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m. Second, the result that compares difference among grades of high school gymnasts shows that the score of 2nd grade is higher than 1st grade in Friend Factor, and the score of 3rd grade is higher than 1st grade, which means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 However, there are not differences in Grade Factor of Exercise Factor. The reason why these results are shown is that students feel burdensome because they want not only to go to higher school but also to balance between study and exercise. When seeing thes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3rd grade students are more stressed than 1st grade students. Third, the result that compares difference between stresses of students considering career of students shows that the score of students who work more than 5 years is higher than students who work fewer than 3 years in all items. The same result is shown in Home Factor, School Factor and Exercise Factor and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 However, there are no differences in career factor of Friend Factor and Ego Factor. It can be thought that students who have more careers are more stressed than students who have fewer careers. Lastly, the result comparing stress considering if a person win the prize or not shows that players who got the prize only 1~2 times are more stressed than players who got the prize more than 3 times. However, there a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result that compares differences of each group in each lower factor.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춘만, "한․중 체육고등학교 투기종목 선수들의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방식" 10 : 137-158, 1999
2 강건욱, "하키선수의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방안의 분석 연구"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1999
3 문승귀, "체육고등학교와 인문계고등학교 학생의 스트레스 요인별 비교 분석"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 박경희, "청소년의 스트레스 원인과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5 송우엽, "청소년기 운동선수들의 탈진 원인과 극복 방안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99
6 송우엽, "청소년 운동선수의 탈진 정도와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연구" 38 : 293-304, 1999
7 김병준,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재미 및 스트레스 요인" 10 : 193-210, 1999
8 유춘옥, "운동선수들의 집단별 생활 스트레스 비교" 한국체육대학교 1995
9 이계윤, "운동선수들의 스트레스 척도 제작에 관한 연구(Ⅰ)" 1 : 75-88, 1990
10 이종길, "대학 운동선수의 미래포부와 자아실현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43 (43): 141-152, 2004
1 이춘만, "한․중 체육고등학교 투기종목 선수들의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방식" 10 : 137-158, 1999
2 강건욱, "하키선수의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방안의 분석 연구"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1999
3 문승귀, "체육고등학교와 인문계고등학교 학생의 스트레스 요인별 비교 분석"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 박경희, "청소년의 스트레스 원인과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5 송우엽, "청소년기 운동선수들의 탈진 원인과 극복 방안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99
6 송우엽, "청소년 운동선수의 탈진 정도와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연구" 38 : 293-304, 1999
7 김병준,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재미 및 스트레스 요인" 10 : 193-210, 1999
8 유춘옥, "운동선수들의 집단별 생활 스트레스 비교" 한국체육대학교 1995
9 이계윤, "운동선수들의 스트레스 척도 제작에 관한 연구(Ⅰ)" 1 : 75-88, 1990
10 이종길, "대학 운동선수의 미래포부와 자아실현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43 (43): 141-152, 2004
11 이정우, "고등학교 학생들의 체육수업에 대한 스트레스 요인 분석 및 해소 방안"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1
12 황동우, "고등학교 하키선수의 스트레스 요인과 해소방법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3 임수원, "고등학교 운동선수의 중도탈락과 학교생활적응상의 문제점 및 대책" 한국스포츠사회학회 15 (15): 1-246, 2002
14 정태상, "고등학교 사격선수의 스트레스 요인과 해소 방법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5 김희연, "고교 레슬링 선수와 대학선수 간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비교 분석"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6 Scanlan, T. K, "in-depth study of figure skaters: Ⅱ. sources of stress" 13 : 103-120, 1991
17 Marcus, B. H, "The stage of exercise-related self-efficacy. In Advances in sport and exercise"
18 Russel, D.,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evidence" 39 : 472-480, 1980
19 Nigg, C. R., "Structure of decision balance for exercise adoption" 20 : 1998
20 Maggs, C, "Identifying the health needs of elderly people using the Omaha Classification Scheme" 26 : 698-703, 1997
21 Qualls, S. H, "Defining mental health in later life" 26 (26): 9-13, 2002
외동이 사회성 증진을 위한 부모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7-02-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Holistic Convergence Education | ![]() |
2017-02-0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홀리스틱교육연구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외국어명 :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 Journal of Holistic Convergence Education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6-2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 |
2007-06-2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 |
2007-06-19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홀리스틱교육실천학회 ->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Practical Research In Holistic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2 | 1.12 | 1.1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6 | 1.21 | 1.342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