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SCOPUS

      다공질규소층과 규소 기판의 계면 영역에 대한 연구 = Investigation of the Interface Between Porous Silicon and a Silicon Substrat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165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investigated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interface between porous silicon layer and silicon substrate by using atomic force microscope and X-ray diffraction. From the results, we found that there are bigger Si crystals at the interf...

      We investigated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interface between porous silicon layer and silicon substrate by using atomic force microscope and X-ray diffraction. From the results, we found that there are bigger Si crystals at the interface than those at the porous silicon as the anodization time gets longer with constant current density. Also, the lattice parameter of the interface is different from that of porous silicon. Secondary ion mass spectroscopy analysis shows more Si ions at the interface than at the porous silicon and silicon substrate. We attribute these results to shortage of HF solution at the interface through porous silicon structure during porous silicon form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다공질규소층과 규소 기판 사이의 계면 영역의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AFM 관찰 및 XRD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전류밀도가 일정할 때 양극산화시간을 길게 하면 계면영역에 원래의 다공질규소...

      다공질규소층과 규소 기판 사이의 계면 영역의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AFM 관찰 및 XRD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전류밀도가 일정할 때 양극산화시간을 길게 하면 계면영역에 원래의 다공질규소층에 비하여 크기가 큰 결정체들이 존재하였으며, 이 계면 영역의 격자상수는 다공질규소층과 다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깊이 방향에 대한 SIMS 분석결과 계면영역에서 Si의 분포가 크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계면영역에 크기가 큰 결정체들이 나타나는 원인을 다공질규소층의 형성과정중에 미세공을 통한 HF 용액의 공급 불균형 때문으로 해석하였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6-09-0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ae Mulli(New Physics) -> New Physics: Sae Mulli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5 0.14 0.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