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동화제시방법이 유아의 동화에 대한 흥미와 이해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fcts of the way of presenting story books on young children's interest and comprehen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0145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동화제시방법이 유아의 흥미도와 이해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만 3세와 만 5세 유아들을 대상으로 인터넷동화 읽기와 동화책 읽기를 경험하게 한 후, 동화제시방법에 ...

      본 연구는 동화제시방법이 유아의 흥미도와 이해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만 3세와 만 5세 유아들을 대상으로 인터넷동화 읽기와 동화책 읽기를 경험하게 한 후, 동화제시방법에 따른 유아의 동화에 대한 흥미와 내용 이해에 대한 영향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동화제시방법에 따라 유아의 동화에 대한 흥미도는 차이가 있는가?
      2. 동화제시방법에 따라 유아의 동화에 대한 이해도는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A시에 위치한 Y어린이집 유아 38명이었고 19명씩(3세 10명, 5세 9명)을 한 집단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은 인터넷으로 동화 읽기를 하는 반면 비교집단은 동화책 읽기를 하였다. 연구절차는 예비검사, 사전검사, 1주에 3회씩 4주간 총 12회의 실험처치, 사후검사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유아의 흥미도를 알아보기 위해 Saracho(1988)의 읽기 흥미도 검사를 사용하였고, 이해도 검사는 Morrow(1985)가 제시한 내용 이해도 검사방법을 사용하였다. 실험처치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각 자료에 대한 통계적 분석은 사전, 사후검사를 한 후, 증가분에 대해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제시방법에 따라 유아의 동화에 대한 흥미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터넷 동화 읽기를 경험한 집단의 유아들이 동화책 읽기를 경험한 집단의 유아들보다 동화에 대한 흥미도가 더 높았다.
      둘째, 동화제시방법에 따라 유아의 동화에 대한 이해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터넷으로 동화 읽기를 경험한 집단이 동화책 읽기를 경험한 집단의 유아들보다 동화에 대한 이해도가 더 높았다.

      결론적으로 인터넷 동화 읽기가 동화책 읽기보다 유아의 동화에 대한 흥미도 및 이해도 증진에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or not the way of presenting story books exercised any influences on young children's interest and comprehension. It's specifically planned to have preschoolers of three and five in Western age read on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or not the way of presenting story books exercised any influences on young children's interest and comprehension. It's specifically planned to have preschoolers of three and five in Western age read online and offline story books to see if the online and offline reading experience had any impacts on their interest in the story books and understanding of them.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1. Do the ways of presenting story books make any differences to their interest in them?
      2. Do the way of presenting story books make any differences to their comprehension of them?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8 preschoolers who attended Y daycare center in the city of A, Gyeonggi province, who included 10 three-year-old children and 9 five-year-old children.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read story books over the Internet, while the control group read story books. After a pilot survey and pretest were conducted, the experiment was implemented in 12 sessions for four weeks, three times a week. And then posttest was carried out. To measure their interest, Saracho(1988)'s Reading Interest Inventory was employed, and regarding reading comprehension, Morrow(1985)'s Reading Comprehension Inventory was utiliz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experiment, pretest and posttest were fulfilled, and t-test was utilized in case there w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est result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ow to present story books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young children's interest in them. The preschoolers who read story books over the Internet showed more interest in them than the others who read story books.
      Second, their comprehension of the story book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ways of presenting them. The online-reading group understood the story books better than the off-line-reading group.

      In conclusion, online story books reading could be said to have a greater effect on increasing young children's interest in story books and comprehension of them than off-line story books read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ⅳ
      • 국문초록 = ⅶ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4
      • 목차 = ⅳ
      • 국문초록 = ⅶ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4
      • Ⅱ. 이론적 배경 = 5
      • 1. 동화의 교육적 활용 = 5
      • 2. 동화제시방법 = 7
      • 3. 유아의 동화에 대한 흥미도와 이해도 = 16
      • 4. 선행연구 = 21
      • Ⅲ. 연구방법 = 26
      • 1. 연구대상 = 26
      • 2. 연구도구 = 27
      • 3. 연구절차 = 31
      • 4. 자료분석 = 35
      •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37
      • 1. 동화 흥미도 = 37
      • 2. 동화 이해도 = 42
      • Ⅴ. 결론 = 45
      • 1. 요약 및 논의 = 45
      • 2. 결론 및 제언 = 47
      • 참고문헌 = 49
      • 부록1 흥미도 검사 도구 = 58
      • ABSTRACT = 6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