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감정노동, 감정고갈 및 혁신행동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한 후 이들 변수들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감정노동은 조직구성원이 조직에서 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감정노동, 감정고갈 및 혁신행동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한 후 이들 변수들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감정노동은 조직구성원이 조직에서 자...
본 연구에서는 감정노동, 감정고갈 및 혁신행동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한 후 이들 변수들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감정노동은 조직구성원이 조직에서 자신들의 상사, 동료 및 조직자체와 관련하여 감정을 관리하는 것을 의미하며 표면행동과 심층행동으로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감정노동의 두 차원이 감정고갈 및 혁신행동과 맺고 있는 각각의 관계 그리고 감정고갈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함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자료는 한국철도공사 경북본부에 근무하는 구성원들(n=370)로부터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가설 검증을 위해서 공분산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적정하였으며, 변수들 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정고갈은 표면행동에 의해서는 정(+)의 영향을, 심층행동에 의해서는 부(-)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고, 둘째, 혁신행동은 표면행동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고, 심층행동에 의해서만 정(+)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셋째, 혁신행동은 감정고갈에 의해 부(-)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감정의 여러 차원(감정노동 및 감정고갈)과 혁신행동과 관련된 이론적 측면과 실무에서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향후 연구를 촉진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