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루마니아어 정서법의 상징적 의미  :  1994년 개정된 정서법을 중심으로 = A Symbolic Meaning of the Romanian Orthography -with reference to the in 1994 reformed Romanian Orthograph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언어계보학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루마니아어는 라틴어로부터 유래된 언어들의 그룹인 로망스어군에 속해 있는 언어로서 지리적인 여건상 발칸 로망스어로 구분되고 있다. 발칸 로망스어들...

      언어계보학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루마니아어는 라틴어로부터 유래된 언어들의 그룹인 로망스어군에 속해 있는 언어로서 지리적인 여건상 발칸 로망스어로 구분되고 있다. 발칸 로망스어들 중에서 유일하게 일개의 국어로서 생존하고 있는 루마니아어는 일부 독특한 음소들 및 구별자질들(ă, â, î, ş, ţ 등)을 제외하곤 전반적으로 라틴어의 자모체계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현행 정서법 상에서 루마니아어의 모음체계는 8개의 모음들(a, ă, â, e, i, î, o, u)로 구성되어 있지만 모음 â 와 î 는 동일한 음가(/ɨ/)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음소로는 7개의 모음소들(a/a/, ă/ǝ/, â=î/ɨ/, e/e/, i/i/, o/o/, u/u/)을 지니고 있으며 9개(âi, ea, ia, ie, io, eo, oa, ua, uă)의 이중모음들 및 4개(eoa, eau, iau, iai)의 삼중모음들로 구성되어 있다. 루마니아어의 자음체계는 모두 19개(b, c, d, f, g, h, j, l, m, n, p, r, s, ş, t, ţ, v, x, z)의 자음들과 외래어들의 표기를 위한 4개의 자음들(k, q, w, y)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음 c 와 g 는 뒤에 오는 모음이 중설 및 후설음(a, ă, â, î, o, u)일 경우엔 연구개 파열음(/k/, /ɡ/)이 되며, 뒤에 오는 모음이 전설음(e, i)일 경우엔 치경 파찰음(/ʧ/, /ʤ/)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루마니아어는 두개의 반모음들(/w/, /j/)을 제외하면, 모두 20개의 자음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루마니아어의 자모가 키릴문자에서 현행의 로마문자로 대체된 것은 1860년경에 몰도바지방과 문테니아지방(일명: 발라키아)에서 공식적으로 로마문자가 도입되었으므로 현대 루마니아어 정서법의 전통은 여타 로망스어들에 비해 비교적 짧은 편이다. 루마니아어에 로마문자가 처음으로 도입될 당시엔 라틴어나 여타 로망스어들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일부 음소들을 표기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키릴문자가 사용되었으며 나머지 음소들은 로마문자로 표기함으로써 키릴문자와 로마문자가 병용되는 과도기를 거친 후 이어서 1867/69년과 1881년, 1895년, 1904년, 1932년, 1954년 및 1965년에 잇따른 정서법의 개혁을 통하여 루마니아어의 정서법이 그 윤각을 드러내게 되었다. 루마니아 학술원은 1993년 3월 8일자로 기존 루마니아어의 정서법을 또다시 개정하여 중설 고모음 â 와 î 의 역할을 구별할 것을 결의하였고 의회의 동의를 거쳐 1994년 1월 1일 자로 새로운 정서법을 적용하고 있다. 즉 정서법이 개정되기 이전에는 라틴어휘 romanus 로부터 유래된 루마니아어휘 român 및 그로부터 파생된 România, românesc 등과 같은 루마니아의 국호나 국민 등을 일컫는 어휘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던 â 모음을 루마니아어의 모든 어휘에서 어중음은 â 로 그리고 어두 및 어말음은 î 로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정하였다. 그밖에도 새로 개정된 정서법에선 a fi(~이다, ~이 있다) 동사의 직설법 현재 시제의 기존 인칭변화형들인 sînt, eşti, este, sîntem, sînteţi, sînt 등을 각기 sunt, eşti, este, suntem, sunteţi, sunt 등으로 바꾸었다. 부언하자면 a fi 동사의 현재시제 인칭변화형에 한하여 어중음 ȋ 를 u 로 표기하도록 정하였다. 새로 개정된 정서법 상에서 관건이 되고 있는 상기된 두 가지 경우들, 즉 하나는 a fi 동사의 직설법 현재 인칭변화형에서의 î 가 u 로(예: sînt>sunt), 또 다른 하나는 모든 어휘상의 어중음 î 가 â 로의 변화(예:cînta>cânta)에서 모두 해당되고 있는 것은 오늘날까지도 그 기원에 대하여 논란이 되고 있는 중설 고모음 î 이다. 이와 같이 루마니아어의 정서법이 최근까지도 끊임없이 개정되고 있는 것은 18세기 후반부터 트란실바니아 학파에 의해 주동되었던 루마니아의 민족주의 운동의 일환으로서 루마니아어의 라틴성 복고운동의 연장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omanian is one of Romance Languages derived via Vulgar Latin, namely Spoken Latin, from the Italic branch of Indo-European. Even though the linguistic structure of Romanian became different from that of Latin under the influence of the language of th...

      Romanian is one of Romance Languages derived via Vulgar Latin, namely Spoken Latin, from the Italic branch of Indo-European. Even though the linguistic structure of Romanian became different from that of Latin under the influence of the language of the natives, so called substratum in the Balkan Area, as well as of the neighboring languages, particularly the Slavic languages, one can say that in the phonological and morpho-syntactic aspects, Romanian generally preserves most of the features of Latin. The modern Romanian consonant system has 19 consonants(b, c, d, f, g, h, j, l, m, n, p, r, s, ş, t, ţ, v, x, z) and 4 consonant symbols(k, q, w, y) for the international terms. And the modern Romanian language has 8 vowels (a, ă, â, e, i, î, o, u). However, since the vowels â and î are phonetically realized equally as /ɨ/, the Romanian vowel system is composed of 7 vowel phonemes (a/a/, ă/ǝ/, â=î/ɨ/, e/e/, i/i/, o/o/, u/u/) in consequence. As stated above, the modern Romanian vowel system has two peculiar vowel symbols which did not exist in Latin, namely ă/ǝ/ and â=î/ɨ/. These two phonemes should be viewed as being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influence either from the Balkan substratum or from the Slavic languages. In general, the phoneme ă/ǝ/ can be considered as being influenced from the substratum, in view of the existence of this phoneme in the other languages of Balkan such as ъ/ə/ in Bulgarian, ë/ə/ in Albanian etc. As far as the Romanian orthography is concerned, the Cyrillic alphabet system was introduced in Romanian when Old Church Slavonic became the medium for religious texts from the late thirteenth century in the Balkan area. However, nowadays, Romanian is wholly written in a romanized alphabet with three diacritics. We can speculate that there would be two factors which led to the adoption of the Roman writing system in Romanian. The first one would be the growing national awareness of the Romanian peoples that had been increased by their contact with the Western Romance world. The second one would lie in the practical problem of adapting the Cyrillic system to match the phonemes which are introduced into Romanian with Romance loans from the Western, especially from French. It was the Transylvanian School of the late eighteenth century and of the first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that made an attempt to replace the Cyrillic orthography with the Roman one for the first time in Romania. Since then, the Romanian orthography system has been still changed even up to the recent times. For example, in 1994, the Romanian Academy decided to reform the Romanian orthography concerning the high middle vowel â=î/ɨ in the word-medial positions. That is, the Romanian high vowel î/ɨ/ has been used before the reform even in the word-medial positions such as cînta, rămîne, etc. with the exception of the word român and its derivations. However, according to the reformed orthographic system in 1994, the intermediate high vowel î should be changed to â such as cânta, rămâne etc. In addition, the indicative present conjugation forms of the verb a fi were before the reform 1. sînt, 2. eşti, 3. este, 4. sîntem, 5. şînteţi, 6. sînt etc. Nowadays it should be written with the vowel u instead of î , for example, sunt, eşti, este, suntem, şunteţi, sunt etc. The recently reformed Romanian orthography should be considered as an extension of the reromanizing or latinizing tendency of Romanian which was made on a large scale by the scholars of the Transylvanian School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 in Romani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개요>
      • 1. 들어가는 말
      • 2. 루마니아어 정서법의 내력
      • 3. 루마니아어의 자모체계
      • 4. 맺는말
      • <국문 개요>
      • 1. 들어가는 말
      • 2. 루마니아어 정서법의 내력
      • 3. 루마니아어의 자모체계
      • 4. 맺는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민, "언어학사전" 박영사 1982

      2 신기철, "새우리말 큰사전" 삼성출판사 1989

      3 이문수, "루마니아어의 모음체계에 대한 통시적 연구" 동유럽발칸연구소 15 : 75-103, 2005

      4 황의영, "국어정서법" 영문사 1985

      5 Friedwagner,M, "Über die Sprache und Heimat der Rumänen in der Frühzeit" 54 : 641-715, 1934

      6 Academia, română, "Îndreptar ortografic, ortoepic şi de punctuaţie"

      7 Graur, A, "The Romance Character of Romanian"

      8 Mallinson,G, "Rumanian, In: The World's Major Languages" London & Sydney 303-321, 1987

      9 Meyer-Lübke, W, "Romanisches Etymologisches Wörterbuch"

      10 Lausberg, H, "Romanische Sprachwissenschaft II"

      1 이정민, "언어학사전" 박영사 1982

      2 신기철, "새우리말 큰사전" 삼성출판사 1989

      3 이문수, "루마니아어의 모음체계에 대한 통시적 연구" 동유럽발칸연구소 15 : 75-103, 2005

      4 황의영, "국어정서법" 영문사 1985

      5 Friedwagner,M, "Über die Sprache und Heimat der Rumänen in der Frühzeit" 54 : 641-715, 1934

      6 Academia, română, "Îndreptar ortografic, ortoepic şi de punctuaţie"

      7 Graur, A, "The Romance Character of Romanian"

      8 Mallinson,G, "Rumanian, In: The World's Major Languages" London & Sydney 303-321, 1987

      9 Meyer-Lübke, W, "Romanisches Etymologisches Wörterbuch"

      10 Lausberg, H, "Romanische Sprachwissenschaft II"

      11 Lausberg, H, "Romanische Sprachwissenschaft I"

      12 Frisch, H, "Relaţiile dintre lingvistica română şi cea europeană"

      13 Niculescu, A, "Outline history of the Romanian language"

      14 Densusianu, O, "Opere II. Ligvistica"

      15 Iordan, L, "Limba română contemporană"

      16 Puşcariu, S, "Limba Rpmână I. Privire Generală"

      17 Wheelock, F. M, "Latin. An Introductory Course Based on Ancient Authors"

      18 Deutschmann, O, "Lateinisch und Romanisch"

      19 Petrovici, E, "Kann das Phonemsystem einer Sprache durch fremden Einfluß umgestalt werden"

      20 Catorjan, N, "Istoria literaturii române vechi"

      21 Rosetti, Al, "Istoria Limbii Române"

      22 Tagliavini, C, "Einführung in die romanische Philologie"

      23 Rothe, W, "Einführung in die historische Laut- und Formenlehre des Rumänischen"

      24 Schroeder, K.-H, "Einführung in das Studium des Rumänischen"

      25 Şuteu, F, "Dicţionar ortografic al limbii române"

      26 Coseriu,E, "Das sogenannte Vulgärlatein und die ersten Differenzierungen in der Romania" Darmstadt 257-291, 197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
      2013-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유럽연구 -> 동유럽발칸연구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3 0.13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6 0.15 0.459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