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개 소프트웨어 OMEKA를 이용한기록 웹 전시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Exhibition through the Webwith Open Source Software OMEK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31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 has a high standard of IT environment to serve exhibit programsthrough the web with internet propagation and IT technology. However,the web exhibition of public institutions not only seem to introduce off-lineexhibitions but also not to invigorate. It is caused by the lack ofawareness, the cost of system installation and the lack of professionalmanpower. In this situation, OMEKA could suggest practical solutions toarchives where need their own exhibition through the web. Especially, itwould helpful for small record management organizations which are notenough budget and personal.
      OMEKA is an open source software program for digital collection andcontents management. It has an affinity with users unlike traditionalarchives service programs. It also has been variously used by libraries,museums and schools because of exceptional exhibit functions.
      In this article, we introduce to the installation of a practical use aboutOMEKA. Regarding to OMEKA features, we consider it to raise exhibiteffects.
      OMEKA would reduce the cost related to plans of exhibitions because itcould display various contents and programs which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institutions. In addition, the availability of installation and widespreadtechnological environment would lessen burden of public institutions. UsingOMEKA, they would improve service level of public institutions and, makeusers satisfy. Therefore, they can change the social recognition of publicinstitutions.
      OMEKA can contribute to various exercises of public records. It is notjust the stereotypical system but, serves exhibition and collections with thestrategy which each public institution would like to display. After all, it notonly to connect to users with producers but also to improve the publicimage of institutions positively. Then, OMEKA would bring the great resultthrough this interaction between public institutions and users.
      번역하기

      Korea has a high standard of IT environment to serve exhibit programsthrough the web with internet propagation and IT technology. However,the web exhibition of public institutions not only seem to introduce off-lineexhibitions but also not to invigora...

      Korea has a high standard of IT environment to serve exhibit programsthrough the web with internet propagation and IT technology. However,the web exhibition of public institutions not only seem to introduce off-lineexhibitions but also not to invigorate. It is caused by the lack ofawareness, the cost of system installation and the lack of professionalmanpower. In this situation, OMEKA could suggest practical solutions toarchives where need their own exhibition through the web. Especially, itwould helpful for small record management organizations which are notenough budget and personal.
      OMEKA is an open source software program for digital collection andcontents management. It has an affinity with users unlike traditionalarchives service programs. It also has been variously used by libraries,museums and schools because of exceptional exhibit functions.
      In this article, we introduce to the installation of a practical use aboutOMEKA. Regarding to OMEKA features, we consider it to raise exhibiteffects.
      OMEKA would reduce the cost related to plans of exhibitions because itcould display various contents and programs which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institutions. In addition, the availability of installation and widespreadtechnological environment would lessen burden of public institutions. UsingOMEKA, they would improve service level of public institutions and, makeusers satisfy. Therefore, they can change the social recognition of publicinstitutions.
      OMEKA can contribute to various exercises of public records. It is notjust the stereotypical system but, serves exhibition and collections with thestrategy which each public institution would like to display. After all, it notonly to connect to users with producers but also to improve the publicimage of institutions positively. Then, OMEKA would bring the great resultthrough this interaction between public institutions and us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는 높은 수준의 IT기술과 인터넷 보급률 덕분에 웹 전시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소규모 공공기관의 웹 전시는 단순히 오프라인 전시프로그램을 소개하거나 웹전시 자체로는 활성화 되지 못한 채 운영되고 있다. 이와 같이공공기관의 웹 전시가 활성화 되지 못하는 이유로는 웹 전시에대한 인식 부족, 시스템 구축비용 문제, 전문 인력 부재 등을 들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시스템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춘 인력과예산이 부족한 소규모 기관에서는 공개 소프트웨어의 적극적인활용이 필요하다.
      본고는 기록을 전시하기 위한 공개 소프트웨어인 OMEKA의 주요 기능을 소개하고 해외 사례 및 설치에서 전시에 이르는 활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OMEKA가 가진 특징을 고려할 때 전시효과와 효용을 높이기 위해 보강되고 갖추어야 할 점을 검토하였다.
      OMEKA는 전문적 기술 없이도 멀티미디어의 웹 전시가 가능해시청각 기록물의 활용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따라서 OMEKA는설치가 쉽고 운영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술 발달 추세에 맞는 기술적 유연성을 갖춘 프로그램으로 다양한기관의 목적을 구현하는데 적합하다. OMEKA는 디지털 컬렉션과웹 전시 등 콘텐츠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전통적인 아카이브 활용 프로그램과 달리 이용자에게 친화적이다. 특히 전시 기능이 탁월하여 이미 여러 도서관과 소규모 박물관, 학교 등에서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OMEKA를 활용, 공공기관의 전시 서비스 수준을 향상시켜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면 이를 통해 공공기관에 대한 사회 전반의인식을 변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기관에서 보유한 기록에 대해 주제와 내용에 맞는 기획으로 전시 컬렉션을 제공할 수 있고 기관과 이용자의 상호작용을 통해 기록물 활용에 있어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OMEKA는 웹 전시가 필요하지만 전시를 위한 환경 조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공공기관에 현실적인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을 거라 기대된다.
      번역하기

      우리나라는 높은 수준의 IT기술과 인터넷 보급률 덕분에 웹 전시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소규모 공공기관의 웹 전시는 단순히 오프라인 전시프로그램을 소개하거나 ...

      우리나라는 높은 수준의 IT기술과 인터넷 보급률 덕분에 웹 전시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소규모 공공기관의 웹 전시는 단순히 오프라인 전시프로그램을 소개하거나 웹전시 자체로는 활성화 되지 못한 채 운영되고 있다. 이와 같이공공기관의 웹 전시가 활성화 되지 못하는 이유로는 웹 전시에대한 인식 부족, 시스템 구축비용 문제, 전문 인력 부재 등을 들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시스템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춘 인력과예산이 부족한 소규모 기관에서는 공개 소프트웨어의 적극적인활용이 필요하다.
      본고는 기록을 전시하기 위한 공개 소프트웨어인 OMEKA의 주요 기능을 소개하고 해외 사례 및 설치에서 전시에 이르는 활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OMEKA가 가진 특징을 고려할 때 전시효과와 효용을 높이기 위해 보강되고 갖추어야 할 점을 검토하였다.
      OMEKA는 전문적 기술 없이도 멀티미디어의 웹 전시가 가능해시청각 기록물의 활용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따라서 OMEKA는설치가 쉽고 운영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술 발달 추세에 맞는 기술적 유연성을 갖춘 프로그램으로 다양한기관의 목적을 구현하는데 적합하다. OMEKA는 디지털 컬렉션과웹 전시 등 콘텐츠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전통적인 아카이브 활용 프로그램과 달리 이용자에게 친화적이다. 특히 전시 기능이 탁월하여 이미 여러 도서관과 소규모 박물관, 학교 등에서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OMEKA를 활용, 공공기관의 전시 서비스 수준을 향상시켜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면 이를 통해 공공기관에 대한 사회 전반의인식을 변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기관에서 보유한 기록에 대해 주제와 내용에 맞는 기획으로 전시 컬렉션을 제공할 수 있고 기관과 이용자의 상호작용을 통해 기록물 활용에 있어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OMEKA는 웹 전시가 필요하지만 전시를 위한 환경 조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공공기관에 현실적인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을 거라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희숙, "인터넷을 통한 기록관의 서비스 활동에 관한 연구 : 교육·전시 활동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기록과학대학원 2005

      2 김희경, "웹 기반 가상 전시 구축 모델 제안- '루이스&클락(Lewis&Clark)' 가상 전시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콘텐츠학회 8 (8): 122-133, 2008

      3 김정하, "우리나라 기록물관리법의 기록관리학적 배경과 문제점" 한국학중앙연구원 23 : 205-238, 2000

      4 정은진, "영구기록물관리기관 공공프로그램의 역할과 운영방안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7

      5 최석현, "아카이브의 디지털 전시 활용효과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 13 (13): 7-33, 2013

      6 이정수, "아카이브 전시서비스의 실태와 활성화 방향에 관한 연구 : 국가기록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7 이은서, "아카이브 전시 방법론 연구: 해외 아카이브 사례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기록과학대학원 2013

      8 김유승, "아카이브 2.0 구축을 위한 이론적 고찰" 한국기록관리학회 10 (10): 31-52, 2010

      9 "서울특별시 정보소통과장 ‘메이드인서울’"

      10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민주화운동 아카이브즈"

      1 이희숙, "인터넷을 통한 기록관의 서비스 활동에 관한 연구 : 교육·전시 활동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기록과학대학원 2005

      2 김희경, "웹 기반 가상 전시 구축 모델 제안- '루이스&클락(Lewis&Clark)' 가상 전시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콘텐츠학회 8 (8): 122-133, 2008

      3 김정하, "우리나라 기록물관리법의 기록관리학적 배경과 문제점" 한국학중앙연구원 23 : 205-238, 2000

      4 정은진, "영구기록물관리기관 공공프로그램의 역할과 운영방안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7

      5 최석현, "아카이브의 디지털 전시 활용효과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 13 (13): 7-33, 2013

      6 이정수, "아카이브 전시서비스의 실태와 활성화 방향에 관한 연구 : 국가기록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7 이은서, "아카이브 전시 방법론 연구: 해외 아카이브 사례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기록과학대학원 2013

      8 김유승, "아카이브 2.0 구축을 위한 이론적 고찰" 한국기록관리학회 10 (10): 31-52, 2010

      9 "서울특별시 정보소통과장 ‘메이드인서울’"

      10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민주화운동 아카이브즈"

      11 최현숙, "대학기록관의 온라인 전시프로그램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13

      12 양춘만, "대통령기록관의 온라인 기록정보콘텐츠 서비스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2

      13 이선희, "기록의 전시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9

      14 김형희, "기록물의 특성을 반영하는 전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0

      15 이혜원, "기록관 전시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07

      16 "국가기록원 포털 기록정보 콘텐츠"

      17 국가기록원, "국가기록원 40년사" 226-233, 2009

      18 윤은하, "공동체와 공동체 아카이브에 대한 고찰" 한국기록학회 (33) : 3-37, 2012

      19 이보람, "공개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기록시스템 구축가능성 연구ICA AtoM을 중심으로" 한국기록학회 (39) : 194-229, 2014

      20 김유승, "거버먼트 2.0 기반의 공공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 - 국내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 11 (11): 47-66, 2011

      21 "http://www.osasf.net"

      22 "http://www.archives.go.kr/next/theme/contentsList.do"

      23 "http://www.OMEKA.net"

      24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45475&cid=40942&categoryId=31787"

      25 "http://OMEKA.org/about/"

      26 Vicki Wiler, "Conquering the Chaos of “Too Much Inform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n ARMA International Publication 4-, 2013

      27 게리 에드슨, "21세기 박물관 경영" 시공사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8-25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Archival Studies -> Korean Society Of Archival Studies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3 1.23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9 1.14 1.767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