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20-30대 여성이 선호하는 향조 및 향수 구매 행동 = A study on differences of preference perfume and on the perfume purchasing behaviors accord according to their ages (in 20s and 3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9895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we wear our clothe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ime and location, so we put on the perfumes differently by specific moods, occasions, etc while looking for the distinctive ones for one's own. As the consumers' patterns to purchase perfumes are changing like this way, so the criterion to select the products becomes diversified and sophisticated. Also, the existing perfume shops established in department stores are getting professional in circulation, and stores which sell the perfumes only are increasing. Based upon this trends, this study aims at figuring out the device of development of domestic perfume marke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checking the kinds of perfumes which Korean women prefer, and as a basic data for the developing domestic perfume market by providing the overall knowledge on the patterns of consumption and circulation of perfumes in the market. Moreover, It shall be meaningful as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on the marketing method of perfume under research now.
      237 sets of questionnaire sheets for this study have be distributed and collected at random: amongst them, 200 sets have been used for the analysis except for 27 sets of which responding contents were insincere and unfaithful. The questionnaire was performed in March, 2007.
      The result of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examination on the perfume preference of four(4) representative notes(floral, fruity, powdery, marine-watery notes) amongst perfume for women, It was found out that mos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re were their preferred ones in the test perfume; fruity note and marine-watery note were popular. As for the age categories, it was indicated that women in their 30s showed the same preference for the four(4) notes while women in 20s preferred the fruity: To be more specific, women in 20s most preferred fruity note(42.5%) and marine-watery note(32.5%) to other notes. It was also indicated that women in 30s rather than ones in 20s preferred the powdery note.
      In addition, the respondents preferred the green note perfume most besides the four(4) notes.
      Second, as a result to examine whether or not they possess the perfume of similar feelings with each other, it was indicated that they had fruity note, floral note, marine-watery note, and powdery note in order. Difference by ages was indicated most strikingly in fruity note. It was figured out that women in 20s showed higher degree in possession of perfume than women in 30s, which corresponds to the notes which women in 20s most preferred as shown in the above result.
      As for the question for which is the one they had experienced to use most frequently amongst the four(4) notes, they answered that it was floral note, fruity note, marine-watery note, and powdery note in order. It was indicated that women in 20s had more experience to use fruity note than women in 30s; for women in 20s, it was floral note, fruity note, powdery note, marine-watery note in order while it was floral note, marine-watery note, fruity note, and powdery note in order for women it 30s. Accordingly, it was figured out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preferred perfume and the used one.
      Third, as a result to examine the purchase intention for perfume, it was indicated that it was fruity note, marine-watery note, powdery note and floral note in order: there was no much difference by ages, which was the same result with the one of examination on the preferred notes.
      So far as the intention was concerned in case of being presented with perfume, they answered that it was fruity note, floral note, marine-watery note, and powdery note in order. Therefore, it could be seen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intention to use according to the routes to acquire the perfume.
      In particular, the intention to use in case of being presented with floral note was indicated as much different than in case of purchasing it by oneself; which was because it was the perfume that women could most easily use while not preferring it. Moreover, it was indicated that in case of being presented with perfume, the intention to use it became high even though it was not one's preferred one.
      Fourth, as for the evaluation of perfume emotional factors by ages, it was expected at first that there would be somewhat remarkable difference in emotional factors in perfume. But, it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feeling of perfume while there was no big difference by ages. Accordingly, it was figured out that there was not specific criterion by ages for the objective evaluation on perfume based upon the emotional factors of perfume.
      As examining the emotional factors of each perfume, it was indicated that the floral note was feminine and cool feeling: fruity note was feminine, young, sweat, and fresh feeling, and powdery note was feminine, soft feeling. Finally, as for marine-watery note, the representative emotional factor was cool, fresh, modern, and urban feeling.
      Fifth, the examination was conducted on the real situation of perfume use and purchase behavior for women in their 20s and 30s.
      It was figured out that the users, who used perfume because they considered it as diversion, self-satisfaction, and self-expression rather than as a luxury, were increasing, and about 80% of women used perfume. It was also indicated that most of women used perfume for diversion, which was the same result with the preceding studies.
      From the fact that 80% of women had experienced to purchase perfume by themselves, it can be figured out that they have increasingly selected perfume by their own tastes rather than merely being presented with it. 15% of women considered the brand recognition of it when purchasing perfume, and half the women purchased the imported perfume: therefore,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domestic perfume. Also, many a respondent thought the price of it was expensive, and it was indicated that they usually bought the perfume of which price was below 50,000~70,00KRW, which indicates that there is still a tendency to regard perfume as a luxury.
      Sixth, as for the questioning items of "I feel satisfied as using preferred perfume" and "I will keep using it if the presently using perfume is likable." amongst the items for purchase behavior, they showed the high recognition: which was in conformity with the diversion and self-satisfaction which was the reason to use perfume in the above examination. From this, it can be said that women shall feel satisfied by them by using perfume, and also feel diverted and happy by the good perfume.
      번역하기

      As we wear our clothe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ime and location, so we put on the perfumes differently by specific moods, occasions, etc while looking for the distinctive ones for one's own. As the consumers' patterns to purchase perfumes are ch...

      As we wear our clothe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ime and location, so we put on the perfumes differently by specific moods, occasions, etc while looking for the distinctive ones for one's own. As the consumers' patterns to purchase perfumes are changing like this way, so the criterion to select the products becomes diversified and sophisticated. Also, the existing perfume shops established in department stores are getting professional in circulation, and stores which sell the perfumes only are increasing. Based upon this trends, this study aims at figuring out the device of development of domestic perfume marke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checking the kinds of perfumes which Korean women prefer, and as a basic data for the developing domestic perfume market by providing the overall knowledge on the patterns of consumption and circulation of perfumes in the market. Moreover, It shall be meaningful as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on the marketing method of perfume under research now.
      237 sets of questionnaire sheets for this study have be distributed and collected at random: amongst them, 200 sets have been used for the analysis except for 27 sets of which responding contents were insincere and unfaithful. The questionnaire was performed in March, 2007.
      The result of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examination on the perfume preference of four(4) representative notes(floral, fruity, powdery, marine-watery notes) amongst perfume for women, It was found out that mos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re were their preferred ones in the test perfume; fruity note and marine-watery note were popular. As for the age categories, it was indicated that women in their 30s showed the same preference for the four(4) notes while women in 20s preferred the fruity: To be more specific, women in 20s most preferred fruity note(42.5%) and marine-watery note(32.5%) to other notes. It was also indicated that women in 30s rather than ones in 20s preferred the powdery note.
      In addition, the respondents preferred the green note perfume most besides the four(4) notes.
      Second, as a result to examine whether or not they possess the perfume of similar feelings with each other, it was indicated that they had fruity note, floral note, marine-watery note, and powdery note in order. Difference by ages was indicated most strikingly in fruity note. It was figured out that women in 20s showed higher degree in possession of perfume than women in 30s, which corresponds to the notes which women in 20s most preferred as shown in the above result.
      As for the question for which is the one they had experienced to use most frequently amongst the four(4) notes, they answered that it was floral note, fruity note, marine-watery note, and powdery note in order. It was indicated that women in 20s had more experience to use fruity note than women in 30s; for women in 20s, it was floral note, fruity note, powdery note, marine-watery note in order while it was floral note, marine-watery note, fruity note, and powdery note in order for women it 30s. Accordingly, it was figured out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preferred perfume and the used one.
      Third, as a result to examine the purchase intention for perfume, it was indicated that it was fruity note, marine-watery note, powdery note and floral note in order: there was no much difference by ages, which was the same result with the one of examination on the preferred notes.
      So far as the intention was concerned in case of being presented with perfume, they answered that it was fruity note, floral note, marine-watery note, and powdery note in order. Therefore, it could be seen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intention to use according to the routes to acquire the perfume.
      In particular, the intention to use in case of being presented with floral note was indicated as much different than in case of purchasing it by oneself; which was because it was the perfume that women could most easily use while not preferring it. Moreover, it was indicated that in case of being presented with perfume, the intention to use it became high even though it was not one's preferred one.
      Fourth, as for the evaluation of perfume emotional factors by ages, it was expected at first that there would be somewhat remarkable difference in emotional factors in perfume. But, it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feeling of perfume while there was no big difference by ages. Accordingly, it was figured out that there was not specific criterion by ages for the objective evaluation on perfume based upon the emotional factors of perfume.
      As examining the emotional factors of each perfume, it was indicated that the floral note was feminine and cool feeling: fruity note was feminine, young, sweat, and fresh feeling, and powdery note was feminine, soft feeling. Finally, as for marine-watery note, the representative emotional factor was cool, fresh, modern, and urban feeling.
      Fifth, the examination was conducted on the real situation of perfume use and purchase behavior for women in their 20s and 30s.
      It was figured out that the users, who used perfume because they considered it as diversion, self-satisfaction, and self-expression rather than as a luxury, were increasing, and about 80% of women used perfume. It was also indicated that most of women used perfume for diversion, which was the same result with the preceding studies.
      From the fact that 80% of women had experienced to purchase perfume by themselves, it can be figured out that they have increasingly selected perfume by their own tastes rather than merely being presented with it. 15% of women considered the brand recognition of it when purchasing perfume, and half the women purchased the imported perfume: therefore,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domestic perfume. Also, many a respondent thought the price of it was expensive, and it was indicated that they usually bought the perfume of which price was below 50,000~70,00KRW, which indicates that there is still a tendency to regard perfume as a luxury.
      Sixth, as for the questioning items of "I feel satisfied as using preferred perfume" and "I will keep using it if the presently using perfume is likable." amongst the items for purchase behavior, they showed the high recognition: which was in conformity with the diversion and self-satisfaction which was the reason to use perfume in the above examination. From this, it can be said that women shall feel satisfied by them by using perfume, and also feel diverted and happy by the good perfum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장소 및 시간에 따라 옷을 달리 입듯이 향수도 무드나 특정한 시간, 행사 등에 따라 구별하여 사용하며, 자기만의 독특한 향을 찾고 있다. 이처럼 소비자들의 구매 패턴이 변함에 따라 상품 선택의 기준도 다양화·세련화되고 있다. 또한 유통에 있어서도 백화점에 개설되어 있는 기존의 향수 매장이 점차 전문화되고 있고, 향수만을 취급하는 개별 향수 전문점도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추세를 바탕으로 국내 향수 시장의 발전을 모색하는 방법을 본 연구에서 진행하려 한다.
      본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여성들이 선호하는 향수의 종류를 확인하고 제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며, 더불어 향수 제품의 소비와 유통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발전하고 있는 국내 향수시장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그리고 현재 연구되고 있는 향기 마케팅에 관한 기본적인 자료를 제공한다는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설문지는 20대 여성과 30대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무작위로 237장이 배부, 회수되었으며 이 중 불성실하거나 무성의한 설문지 37부를 제외한 200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설문은 2007년 3월에 걸쳐 시행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여성 향수 중 대표적인 네 가지 향조(플로랄, 프루티, 파우더리, 마린계열)의 향수 선호도 조사에 있어 시향한 향중에서 선호하는 향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프루티계열과 마린워터리계열이 인기가 있었다. 연령별로는 30대 여성은 네 가지 향조에 동등한 선호도를 20대 여성이 프루티 향조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20대 여성은 프루티계열(42.5%), 마린워터리계열(32.5%)에 가장 선호를 하였다. 그리고 30대 여성이 20대 여성보다 파우더리계열을 더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네 가지 향조 외의 선호하는 향은 그린계열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비슷한 느낌의 향수의 소유를 알아본 결과, 프루티계열, 플로랄계열, 마린워터리계열, 파우더리계열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차이는 프루티계열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20대 여성이 30대 여성보다 높은 소유정도를 보이고 있었다. 이것은 위 결과인 20대 여성이 가장 선호하는 계열과 일치하는 현상을 보인다.
      네 가지 향조 중 여성들이 가장 많이 사용한 경험이 있는 향수의 계열은 플로랄계열, 프루티계열, 마린워터리계열, 파우더리계열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20대 여성이 프루티계열에 사용경험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여성은 플로랄계열, 프루티계열, 파우더리계열, 마린워터리계열의 순이었고, 30대 여성은 플로랄계열, 마린워터리계열, 프루티계열, 파우더리계열의 순이었다. 앞서 본 선호하는 향과 사용하는 향의 결과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구입 의향을 조사 한 결과 프루티계열, 마린워터리계열, 파우더리계열, 플로랄계열의 순으로 조사되었고, 이 결과는 연령별로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것은 선호향조 조사 결과와 같은 결과를 보였다.
      선물을 받았을 경우의 사용 의향은 프루티계열, 플로랄계열, 마린워터리계열, 그리고 파우더리계열의 순서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취득경로에 따라 사용의향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플로랄 계열을 선물 받았을 경우 사용의향이 직접 구입할 경우보다 큰 차이를 보였다. 그 이유를 선호하지는 않지만 여성들이 가장 무난하게 사용하는 향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향을 선물 받았을 경우 자신이 선호하는 향이 아닐지라도 사용 의향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연령대에 따른 향기 감성요인 평가에 있어서 향기 감성요인이 어느 정도 차이가 두드러질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그러나 향의 느낌에 따라서는 차이가 나타났으나, 연령별로는 크게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향기 감성요인을 바탕으로 향을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것은 연령별로 어떤 기준이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각 향의 향기 감성요인을 알아보면 플로랄계열은 여성적인, 시원한 느낌이 프루티계열은 여성적인, 젊은, 달콤한, 신선한 느낌, 파우더리계열은 여성적이며, 부드러운 느낌이, 마지막으로 마린워터리계열은 시원한, 신선한, 현대적이고 도시적인 느낌이 대표적인 감성요인이었다.
      다섯째, 20대 30대 여성을 대상으로 향수 사용 실태와 구매 행동
      향수를 사치품보다는 기분전환과 자기만족, 자기표현으로 생각하여 사용하는 사용자가 많아지고, 사용도도 여성의 약 80%가 사용하고 있었다. 여성들이 기분전환을 이유로 가장 많이 향수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앞선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였다.
      그리고 직접 구입을 경험한 여성들도 80%에 달해 선물로 받기보다는 자신의 취향에 따라 향을 선택하는 경우가 늘었다. 그리고 향수 구매 시 브랜드 인지도를 고려하는 여성이 15%에 달하고, 수입향수를 구매하는 여성들이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아 국산 향수의 발전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가격면에 있어서 비싸다고 생각하는 여성이 많았고, 5~7만원 미만의 향수를 구입한다고 조사되었다. 이 결과는 향수를 사치품으로 생각하는 풍조가 있음을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구매행동에 관한 문항 중 “좋아하는 향수를 사용하면 만족감을 느낀다”와 “사용하던 향수가 마음에 든다면 계속 사용하는 편이다”라는 항목에 높은 인식을 보여주었다. 앞서 조사한 향수를 사용하는 이유인 기분전환과 자신의 만족과 즐거움의 이유와 일치함을 알 수 있다. 이로 보아 여성들은 향수를 사용함으로써 자기만족을 느끼고, 좋은 향에 의해 기분 전환과 즐거움도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장소 및 시간에 따라 옷을 달리 입듯이 향수도 무드나 특정한 시간, 행사 등에 따라 구별하여 사용하며, 자기만의 독특한 향을 찾고 있다. 이처럼 소비자들의 구매 패턴이 변함에 따라 상품 ...

      장소 및 시간에 따라 옷을 달리 입듯이 향수도 무드나 특정한 시간, 행사 등에 따라 구별하여 사용하며, 자기만의 독특한 향을 찾고 있다. 이처럼 소비자들의 구매 패턴이 변함에 따라 상품 선택의 기준도 다양화·세련화되고 있다. 또한 유통에 있어서도 백화점에 개설되어 있는 기존의 향수 매장이 점차 전문화되고 있고, 향수만을 취급하는 개별 향수 전문점도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추세를 바탕으로 국내 향수 시장의 발전을 모색하는 방법을 본 연구에서 진행하려 한다.
      본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여성들이 선호하는 향수의 종류를 확인하고 제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며, 더불어 향수 제품의 소비와 유통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발전하고 있는 국내 향수시장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그리고 현재 연구되고 있는 향기 마케팅에 관한 기본적인 자료를 제공한다는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설문지는 20대 여성과 30대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무작위로 237장이 배부, 회수되었으며 이 중 불성실하거나 무성의한 설문지 37부를 제외한 200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설문은 2007년 3월에 걸쳐 시행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여성 향수 중 대표적인 네 가지 향조(플로랄, 프루티, 파우더리, 마린계열)의 향수 선호도 조사에 있어 시향한 향중에서 선호하는 향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프루티계열과 마린워터리계열이 인기가 있었다. 연령별로는 30대 여성은 네 가지 향조에 동등한 선호도를 20대 여성이 프루티 향조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20대 여성은 프루티계열(42.5%), 마린워터리계열(32.5%)에 가장 선호를 하였다. 그리고 30대 여성이 20대 여성보다 파우더리계열을 더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네 가지 향조 외의 선호하는 향은 그린계열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비슷한 느낌의 향수의 소유를 알아본 결과, 프루티계열, 플로랄계열, 마린워터리계열, 파우더리계열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차이는 프루티계열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20대 여성이 30대 여성보다 높은 소유정도를 보이고 있었다. 이것은 위 결과인 20대 여성이 가장 선호하는 계열과 일치하는 현상을 보인다.
      네 가지 향조 중 여성들이 가장 많이 사용한 경험이 있는 향수의 계열은 플로랄계열, 프루티계열, 마린워터리계열, 파우더리계열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20대 여성이 프루티계열에 사용경험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여성은 플로랄계열, 프루티계열, 파우더리계열, 마린워터리계열의 순이었고, 30대 여성은 플로랄계열, 마린워터리계열, 프루티계열, 파우더리계열의 순이었다. 앞서 본 선호하는 향과 사용하는 향의 결과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구입 의향을 조사 한 결과 프루티계열, 마린워터리계열, 파우더리계열, 플로랄계열의 순으로 조사되었고, 이 결과는 연령별로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것은 선호향조 조사 결과와 같은 결과를 보였다.
      선물을 받았을 경우의 사용 의향은 프루티계열, 플로랄계열, 마린워터리계열, 그리고 파우더리계열의 순서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취득경로에 따라 사용의향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플로랄 계열을 선물 받았을 경우 사용의향이 직접 구입할 경우보다 큰 차이를 보였다. 그 이유를 선호하지는 않지만 여성들이 가장 무난하게 사용하는 향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향을 선물 받았을 경우 자신이 선호하는 향이 아닐지라도 사용 의향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연령대에 따른 향기 감성요인 평가에 있어서 향기 감성요인이 어느 정도 차이가 두드러질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그러나 향의 느낌에 따라서는 차이가 나타났으나, 연령별로는 크게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향기 감성요인을 바탕으로 향을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것은 연령별로 어떤 기준이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각 향의 향기 감성요인을 알아보면 플로랄계열은 여성적인, 시원한 느낌이 프루티계열은 여성적인, 젊은, 달콤한, 신선한 느낌, 파우더리계열은 여성적이며, 부드러운 느낌이, 마지막으로 마린워터리계열은 시원한, 신선한, 현대적이고 도시적인 느낌이 대표적인 감성요인이었다.
      다섯째, 20대 30대 여성을 대상으로 향수 사용 실태와 구매 행동
      향수를 사치품보다는 기분전환과 자기만족, 자기표현으로 생각하여 사용하는 사용자가 많아지고, 사용도도 여성의 약 80%가 사용하고 있었다. 여성들이 기분전환을 이유로 가장 많이 향수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앞선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였다.
      그리고 직접 구입을 경험한 여성들도 80%에 달해 선물로 받기보다는 자신의 취향에 따라 향을 선택하는 경우가 늘었다. 그리고 향수 구매 시 브랜드 인지도를 고려하는 여성이 15%에 달하고, 수입향수를 구매하는 여성들이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아 국산 향수의 발전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가격면에 있어서 비싸다고 생각하는 여성이 많았고, 5~7만원 미만의 향수를 구입한다고 조사되었다. 이 결과는 향수를 사치품으로 생각하는 풍조가 있음을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구매행동에 관한 문항 중 “좋아하는 향수를 사용하면 만족감을 느낀다”와 “사용하던 향수가 마음에 든다면 계속 사용하는 편이다”라는 항목에 높은 인식을 보여주었다. 앞서 조사한 향수를 사용하는 이유인 기분전환과 자신의 만족과 즐거움의 이유와 일치함을 알 수 있다. 이로 보아 여성들은 향수를 사용함으로써 자기만족을 느끼고, 좋은 향에 의해 기분 전환과 즐거움도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 문제 = 4
      • Ⅱ. 이론적 배경 = 5
      • 1. 후각과 향의 정의 = 5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 문제 = 4
      • Ⅱ. 이론적 배경 = 5
      • 1. 후각과 향의 정의 = 5
      • 2. 향수의 분류와 구성 = 9
      • 3. 향수의 역사와 시장 동향 = 21
      • 4. 향수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 행동 = 38
      • 5. 향기 감성요인에 대한 연구 이론 = 42
      • Ⅲ. 연구방법 = 44
      • 1. 연구모형 설계 및 설문문항 구성 = 44
      • 2. 임상실험 방법 및 설문문항 = 46
      • 3. 조사도구 = 49
      •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50
      • 1. 연구 조사 및 설계 = 50
      • 2. 연구 결과 및 해석 = 52
      • Ⅴ. 결론 및 제언 = 121
      • 1. 결론 = 121
      • 2. 연구의 시사점 = 124
      • 3.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 125
      • 참고문헌 = 126
      • 부록 설문지 = 130
      • ABSTRACT = 14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