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국내경기동향·해외경기동향 등 경제적 요소, 국내외 정치상황·노사분규·전쟁 등 경제외적 요소, 대주주변화·신제품개발·인수합병·유상증자 등 기업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833565
201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05-325(21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국내경기동향·해외경기동향 등 경제적 요소, 국내외 정치상황·노사분규·전쟁 등 경제외적 요소, 대주주변화·신제품개발·인수합병·유상증자 등 기업내�...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국내경기동향·해외경기동향 등 경제적 요소, 국내외 정치상황·노사분규·전쟁 등 경제외적 요소, 대주주변화·신제품개발·인수합병·유상증자 등 기업내부 요소와 관련된 것들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주가는 기업과 관련을 갖는 국내외의 모든 정치·경제·사회 요소를 반영하고 있는 최종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주가는 실시간에 가깝게 변화한다. 왜냐하면 주식 투자자들은 정치·경제·사회·외교와 관련된 뉴스들이 공개될 때마다 한 기업의 주식을 끊임없이 사고팔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매 순간 변화하는 주가를 결정하는 요인 혹은 방식을 설명한다는 것은 불가능해 보일수도 있다. 그러나 ‘물건이 지니고 있는 가치를 돈으로 나타낸 것이 가격’이라는 개념을 사용한다면 가치를 결정하는 기본적 요소들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주식시장에서 거래량과 주식수익률 사이의 관계는 오랫동안 학자와 실무 종사자들의 관심을 받아 왔다. 이론적 측면에서 거래량과 주식 수익률 사이의 체계적·일반적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연구를 시도했지만 의견 일치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거래량과 수익률 사이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연구들은 표본기간이 달라지거나, 표본시장이 달라지면 서로 다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그동안 진행되어온 주가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중에서 거래량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한 분야이다. 이는 거래량과 주가는 주식시장에서 투자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정보이기 때문이다. 또한 거래량이 주가에 영향을 주거나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인식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거래량이 주가보다 앞서 미래의 주가 흐름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주기도 하지만, 주가 흐름에 대한 신뢰성을 부여하는 것이 거래량이기도 하다.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주가가 상승한다면 주가 상승에 대한 신뢰성을 보다 높게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주가는 상승하는데 거래량이 줄어든다면 그 상승에 대한 확신은 약해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런 경우 주가 상승이 중단되고 오히려 하락하는 경우가 많다. 주식시장에서 거래량이 주가 변동과 연관을 가지는 것은 당연하게 받아들여진다. 주가와 거래량 간의관계에 대한 이론적 설명은 이들 관계를 어떤 관점에서 접근하느냐에 따라 다양하게 정리될 수 있다. 이러한 거래량과 가격변동 간의 관계에 대한 관심은 여러 형태로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꾸준히 연구되어 왔다. 거래량과 주가 간의 관계에 대한 오랜 관심은 시장효율성에 대한 관심과 주식 거래량 정보를 활용하여 우월한 성과를 낼 수 있을까 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그러나 거래량과 주가 간의 관계를 연구한 결과들은 일치되지 않고 있는 것에 반해, 투자자들은 상승시장에서 거래량이 증가하고, 하락시장에서 감소한다는 것과 거래량이 가격 변화를 가져온다는 것을 일반화된 사실처럼 받아들이고 있다. 이처럼 거래량과 주가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의 목적은 주가 변화를 예측하여 수익률을 높이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거래량과 주가는 비슷한 추세로 움직이면서 상관관계도 높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거래량이 주가변동을 예측하는데 이용되기 위해서는 상관관계 외에 인과관계가 규명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두 변수 간에 상관관계 외에 어떤 구조적인 인과관계가 발견된다면 한 변수를 관찰 ...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주형, "한국주식시장의 주식수익률과 거래량의 시계열적 인과관계"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2
2 이장우, "한국 증권시장에서의 거래량과 주가간의 Granger 인과관계 검증" 금융공학회 1 (1): 1-32, 2002
3 곽병관, "주가와 거래량간의 시계열적 관계분석" 충북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19 (19): 35-50, 2006
4 안세진, "주가와 거래량 간의 인과관계 분석" 서강대학교 경제대학원 2011
5 김영빈, "거래량은 주가에 선행 하는가? : 한국주식시장에서의 실증분석" 한국재무관리학회 3 (3): 301-327, 1996
6 이치송, "거래량과 주식 수익률의 동적 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22 (22): 949-965, 2009
7 이윤학, "개별기업 주가와 거래량간의 인과관계 연구" 한국금융공학회 5 (5): 61-93, 2006
8 Nelsonand, C. R, "Trends and Random Walks in Macroeconomic Time Series : some evidence and implications" 10 (10): 139-162, 1982
9 Karpoff J. M., "The Relation between Price Changes and Trading Volume : A Survey" 22 (22): 109-126, 1987
10 Tauchen G. E, "The Price Variability-Volume Relationship on Speculative Markets" 51 (51): 485-505, 1983
1 이주형, "한국주식시장의 주식수익률과 거래량의 시계열적 인과관계"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2
2 이장우, "한국 증권시장에서의 거래량과 주가간의 Granger 인과관계 검증" 금융공학회 1 (1): 1-32, 2002
3 곽병관, "주가와 거래량간의 시계열적 관계분석" 충북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19 (19): 35-50, 2006
4 안세진, "주가와 거래량 간의 인과관계 분석" 서강대학교 경제대학원 2011
5 김영빈, "거래량은 주가에 선행 하는가? : 한국주식시장에서의 실증분석" 한국재무관리학회 3 (3): 301-327, 1996
6 이치송, "거래량과 주식 수익률의 동적 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22 (22): 949-965, 2009
7 이윤학, "개별기업 주가와 거래량간의 인과관계 연구" 한국금융공학회 5 (5): 61-93, 2006
8 Nelsonand, C. R, "Trends and Random Walks in Macroeconomic Time Series : some evidence and implications" 10 (10): 139-162, 1982
9 Karpoff J. M., "The Relation between Price Changes and Trading Volume : A Survey" 22 (22): 109-126, 1987
10 Tauchen G. E, "The Price Variability-Volume Relationship on Speculative Markets" 51 (51): 485-505, 1983
11 Hiemstra C, "Testing for Linear and Nonlinear Granger Causality in the Stock Price-Volume Relation" 49 (49): 1639-1664, 1994
12 Ying, C. C., "Stock Market Prices and Volumes of Sales" 34 (34): 676-685, 1966
13 Blume, L., "Market Statistics and Technical Analysis : The Role of Volume" 49 (49): 153-181, 1994
14 Granger C. W., "Investigating Causal Relations by Econometric Models and Cross-Spectral Methods" 37 (37): 24-36, 1969
15 Hinich, M., "Evidence of Nonlinearlity in Daily Stock Returns" 3 (3): 69-77, 1985
16 Jennings, R. H., "An Equilibrium Model of Asset Trading with Sequential Information Arrival" 36 (36): 143-161, 1981
17 Copeland T. E., "A Model of Asset Trading under the Assumption of Sequential Information Arrival" 31 (31): 1149-1168, 1976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of IT Professionals
중소창호업체의 제공특성, 대인특성, 관계특성이 고객의 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학 내 국제어학원 과정 - 외국인 학생의 한국생활문화교육 실태 연구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5 | 0.55 | 0.4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46 | 0.727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