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령사회 속 기독교 노인복지의 화두 - “안티 에이징과 웰 에이징”을 대하는 기독교 윤리적 시선 = The issue of Christian elderly welfare in aged society: Christian ethical perspective on “anti-aging and well-ag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749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ristian ethical meaning and the practice of ‘aging’ in the Christian social welfare field. Social discourse and ethical support for aging in aged society are necessary. Whether longevity and aging soc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ristian ethical meaning and the practice of ‘aging’ in the Christian social welfare field. Social discourse and ethical support for aging in aged society are necessary. Whether longevity and aging society is a blessing or disaster depends on how individuals and society view aging and old age. At present, our society has a strong negative perception toward aging, so-called ‘anti-aging’. As a result, in the social welfare field, programs for the elderly mainly focus on preventing or overcoming aging rather than successfully aging. Such negative attitudes as anxiety, fear of aging and death may amplify the sense of loss for the present life and cause moral problems by creating distortions and attachments to life. Whereas, the Bible describes the process of aging as a process in the providence of creation order, and the old age is seen as a blessing, not as decline or loss, but as a time when God’s grace is given. Based on the biblical understanding of aging,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viewpoint to overcome the old stereotypes and misinformation about aging while respecting the culture and trends of modern society. Furthermore, this study discussed ways to promote positive generational exchang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 presented a practical alternative to Christian social welfare for the elderly and church servi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고령사회를 맞이한 기독교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늙어감’에 대한기독교 윤리적 의미와 실천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고령사회와 100세 시대를맞아 aging(늙어감)에 대한 사회적...

      본 연구는 고령사회를 맞이한 기독교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늙어감’에 대한기독교 윤리적 의미와 실천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고령사회와 100세 시대를맞아 aging(늙어감)에 대한 사회적 담론과 윤리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장수와고령사회가 축복인가 재앙인가는 개인과 사회가 늙어감(노화과정)과 노년을 어떠한 관점으로 바라보는가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 사회 전반적으로는‘안티 에이징(anti-aging)’, 즉 늙어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강하다. 그 결과사회복지분야에서도 노인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들이 주로 노화예방이나 극복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 같은 늙음과 죽음에 대한 불안과 공포 등 부정적 태도는 현재의 삶에 대한 상실감을 증폭시키고 삶에 대한 왜곡과 집착을 낳아 도덕적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반면, 웰 에이징(well-aging)은 단순히 안티에이징과같이 육체적 노화 혹은 늙어감에 대한 거부가 아니라 늙어가는 것 그 자체를 수용하면서 노년의 시기를 긍정적인 자기 변화의 시간으로 받아들이려는 삶의 양식과태도를 의미한다. 성경은 노화의 과정을 창조질서의 섭리 안에서 진행되는 과정이며 노년기는 쇠퇴나 상실이 아닌 하나님의 은총이 주어지는 시기로 보며 축복으로 묘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노화에 대한 성경적 이해에 근거하여 현대사회의문화를 존중하는 동시에 늙어감에 대한 구시대적인 고정관념과 잘못된 정보를극복할 수 있는 관점을 제시하고, 더 나아가 노인뿐만 아니라 세대 간의 편견과갈등을 해소하고 긍정적인 세대교류를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을 위한 기독교사회복지와 교회의 사회봉사에 정책적·실천적 대안을 제시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채동렬, "해양생물자원을 이용한 항노화산업의 동향과 전망" (135) : 73-80, 2016

      2 신학진, "한국중년의 노화불안요인이 노인차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55) : 33-64, 2012

      3 신학진,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화요인과 주관적 건강의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46) : 29-52, 2009

      4 노원석, "한국 부모부양의 세대갈등에 따른 성경적 노인이해와 상담" 7 : 43-57, 2007

      5 김동환, "테크놀로지 시대의 인간에 대한 신학적 비평" 한국신학정보연구원 10 (10): 91-125, 2016

      6 임성윤, "창의적 노화(Creative Aging)의 개념에 관한 고찰: 미술치료의 관점에서" 평화연구소 4 (4): 227-259, 2017

      7 보건복지부, "지역사회통합 돌봄(커뮤니티케어) 선도사업 추진계획" 2019

      8 김명숙,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 영향 요인" 한국콘텐츠학회 18 (18): 240-247, 2018

      9 조아라, "중장년 성인과 노인의 노화에 대한 태도" 한국성인간호학회 29 (29): 41-50, 2017

      10 이미진, "중노년층의 본인의 노화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잠재성장모델을 이용한 패널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64 (64): 101-124, 2012

      1 채동렬, "해양생물자원을 이용한 항노화산업의 동향과 전망" (135) : 73-80, 2016

      2 신학진, "한국중년의 노화불안요인이 노인차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55) : 33-64, 2012

      3 신학진,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화요인과 주관적 건강의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46) : 29-52, 2009

      4 노원석, "한국 부모부양의 세대갈등에 따른 성경적 노인이해와 상담" 7 : 43-57, 2007

      5 김동환, "테크놀로지 시대의 인간에 대한 신학적 비평" 한국신학정보연구원 10 (10): 91-125, 2016

      6 임성윤, "창의적 노화(Creative Aging)의 개념에 관한 고찰: 미술치료의 관점에서" 평화연구소 4 (4): 227-259, 2017

      7 보건복지부, "지역사회통합 돌봄(커뮤니티케어) 선도사업 추진계획" 2019

      8 김명숙,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 영향 요인" 한국콘텐츠학회 18 (18): 240-247, 2018

      9 조아라, "중장년 성인과 노인의 노화에 대한 태도" 한국성인간호학회 29 (29): 41-50, 2017

      10 이미진, "중노년층의 본인의 노화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잠재성장모델을 이용한 패널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64 (64): 101-124, 2012

      11 서울신문, "존엄한 죽음을 말하다"

      12 이금숙, "저출산-고령사회 지역의료수급 예측" 91-93, 2018

      13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2015~2065년"

      14 장인수, "인구 집단 측면의 복지 수요는 사회복지 예산 비중 증가를 견인하였는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8 (38): 365-395, 2018

      15 송유진, "외모지향의 연령파괴: 중·노년 여성들의 외모 가꾸기" 한국사회연구소 13 (13): 83-111, 2012

      16 허철무, "신체활동 참여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심리적 안녕감 및 성공적 노화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53 (53): 357-369, 2014

      17 신경일, "성인여성의 노화불안 :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한국여성심리학회 20 (20): 329-346, 2015

      18 장휘숙, "성공적 노화에 이르는 길-성공적 노화의 개념과 전략" 15-30, 2007

      19 안정신, "성공적 노화 연구의 비판적 고찰"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4 (24): 35-54, 2011

      20 장휘숙, "성공적 노화" 대한스트레스학회 15 (15): 325-330, 2007

      21 이다지,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우울, 노화대처의 이중매개효과 검증" 한국노인복지학회 72 (72): 323-348, 2017

      22 정진웅, "반연령주의적 문화 실천으로서의 노년 연구: 고령화시대의 노년 연구에 관한 제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4 (34): 452-476, 2014

      23 김화선, "노화사실인지정도와 노화불안에 대한 연구"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32) : 135-165, 2009

      24 이은주, "노화방지의학의 허와 실" 50 (50): 228-233, 2007

      25 김욱, "노인차별의 실태 및 관련요인에 관한 탐색적 조사연구" 한국노년학회 23 (23): 21-35, 2003

      26 천희란, "노인차별(ageism)의 사회경제적 관련요인과 건강영향" 한국노년학회 33 (33): 601-615, 2013

      27 원영희, "노인차별 피해경험이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1) : 297-322, 2005

      28 원영희, "노인인권종합보고서 작성을 위한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17

      29 안준희, "노인의 차별경험이 자아이미지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경제적 참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9 (29): 1645-1663, 2009

      30 신학진, "노인의 이미지와 노인차별경험 간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8 (18): 1169-1179, 2009

      31 오두남, "노인의 성공노화 구조모형 -선택·최적화·보상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간호과학회 42 (42): 311-321, 2012

      32 김재희, "노인의 노화불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통제감의 매개효과"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2 (42): 233-260, 2014

      33 이기양, "노인의 긍정적 이미지와 노인신학의 발전방향" 7 (7): 55-85, 2002

      34 김남식, "노인에 대한 성경적 이해" 4 (4): 14-29, 1996

      35 박광선, "노인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 11 (11): 162-178, 1991

      36 이유리, "노인생애체험이 중년기 성인의 노화불안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46) : 193-214, 2009

      37 강웅산, "노인복지에 대한 신학적 접근" 한국복음주의신학회 46 (46): 115-148, 2008

      38 김창수, "노년기 죽음불안에 대한 Erik H. Erikson의 생애주기이론: 제8단계 `자아통합 대 절망`의 관점 연구" 개혁주의생명신학회 18 : 139-185, 2017

      39 김미경, "노년기 영성회복을 위한 성경적 모델: 모세와 갈렙을 중심으로"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19 : 74-99, 2012

      40 김택식, "글로벌 선도산업을 위한 항노화산업 실태 조사․분석 활성화방안 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4

      41 이신영, "국내의 성공적 노화연구에 관한 일 고찰" 16 (16): 117-136, 2006

      42 김영동, "교회 노인학교와 노인선교의 전망" 21 : 305-326, 2004

      43 정경희, "고령화에 관한 마드리드 국제행동계획(MIPPA) 이행실태 및 평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44 배성권, "고령사회에 대한 기독교 세계관적 이해" 19 (19): 149-177, 2006

      45 Ashton Applewhite, "Working to Disarm Women’s Anti-Aging Demon"

      46 Hode, R, "Updated strategic directions: A roadmap for progress" National Institute of Aging 2016

      47 Powell, J, "The problem of biology and anti-aging: A critical commentary" 2017

      48 양정혜, "TV 광고가 재현하는 고령화 시대의 노인" 한국언론학회 7 (7): 72-106, 2011

      49 Baltes P.B, "Successful aging: Perspective from the behavioral sciences" Cambridge Univ. Press 1-34, 1990

      50 Carstensen, L. L, "Motivation and self-regulation across the life sp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51 Tietie, J, "Is lookism unjust?: The ethics of aesthetics and public policy implication" 19 (19): 31-50, 2005

      52 Granleese, J, "Gendered ageism and lookism: A triple jeopardy for female academics" 21 : 500-517, 2006

      53 Jyrkinen, M, "Gender, age and ageism: experiences of women managers in Finland and Scotland. Work" 26 (26): 61-77, 2012

      54 Fishman, J. R, "Anti-aging science: The emergence, maintenance, and enhancement of a discipline" 22 (22): 295-303, 2008

      55 Michelle Lee, "Anti-Aging, Will No Longer Use the Term" Allure Magazine

      56 Kimble, M.A, "Aging, Spirituality, and Religion" Fortress Press 418-421,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5 0.25 0.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7 0.486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