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호남지역 여성주재형 마을굿의 상징성과 축제성 = 정읍시 북면 오류리 마을굿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정읍시 북면 오류리 마을굿을 사례로 하여 여성들이 주도하는 마을굿의 제의적 상징성과 축제성을 살펴본 것이다. 이념적으로 마을굿의 주체는 마을 사람들 전체지만, 실제로 마을...

      이 글은 정읍시 북면 오류리 마을굿을 사례로 하여 여성들이 주도하는 마을굿의 제의적 상징성과 축제성을 살펴본 것이다. 이념적으로 마을굿의 주체는 마을 사람들 전체지만, 실제로 마을굿의 전체 과정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고 제의적 행위를 주도하는 사람은 주로 남성이다. 무당과 같은 전문적 사제자를 제외한 일반 여성들은 마을굿에서 주로 준비자, 보조자, 부분적 참여자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것은 고대사회에서 사제자 역할을 했던 여성의 지위와 역할이, 외래 종교의 확산과 더불어 점차 위축되어 온 결과라 할 수 있다.
      제의에서 여성의 역할과 비중이 축소되어 온 역사적 전개상, 여성이 주도하는 마을굿은 마을굿의 보편적인 양상이 될 수는 없었지만 특수한 사회적·문화적 맥락에서 여성주재형 마을굿의 전통이 이어져 왔다. 호남지역의 산간지역과 해안 및 도서지역 일부에서는 여성원리를 기반으로 하여 여성이 주재하는 마을굿이 행해진다. 정읍 오류리의 마을굿은 평야지역에서는 드물게 나타나는 여성주재형 마을굿 사례이지만, 다른 지역과 공통되는 여성원리의 보편성과 오류리의 사회적·문화적 특수성을 바탕으로 전승되었다.
      호남지역 여성형 마을굿에서 여성이 제의에 관련되는 양상은 두 가지 형태가 있다. 하나는 남성의 참여를 금지시킨 채, 여성들이 마을굿을 주도하는 형태이고, 다른 하나는 남성들이 상위신에 대한 제의를 주재하고 여성들은 하위신에 대한 제의를 부분적으로 주재하는 형태이다. 오류리 마을굿은 남성의 접근이 철저히 금지되었던 과거의 제의적 형태에서 여성이 주도하되 남성의 참여에 개방적인 마을축제 형태로 변모해왔다.
      여성주재형 마을굿으로서 오류리 마을굿의 제의적 성격과 특징은 도깨비굿의 성격에서 비롯된다. 마을굿의 중요한 동인 중의 하나가 화재(火災)이고 화재를 일으키는 원인이 도깨비로 인식되어, 양(陽)의 성격을 띠는 도깨비를 음(陰)을 상징하는 여성들이 주체가 되어 퇴치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마을굿 유래담에 따르면 여성들이 굿을 통해 억울하게 죽은 남성의 원혼을 달래는 구실을 한다. 이 전승설화를 근거로 남성원혼에 대한 여성들의 해원굿 성격이 덧붙여져 오류리 마을굿은 여성주재형으로서의 제의성과 상징성이 더욱 강화된다.
      오류리 마을굿은 밤 문화가 금지되었던 여성들에게 집단신명을 발산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 여성축제적 성격을 띠기도 하였다. 이 여성축제에서 여성들은 속곳춤의 주술성으로 전도와 쇄신의 세계를 구현한다. 여성성의 발현을 통해서 음양조화의 원리를 실천하고 마을 공동체의 균형과 질서를 회복하고자 한 여성주재형 마을굿인 오류리 마을굿에서, 여성성 혹은 여성의 원리를 각종 상징적 행위들을 통해 두루 구현하는, 여성축제의 전통적 모델을 발견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symbolism of village ceremonies (hereafter : Maeul-Kut) led by women. Field work was carried out through careful analysis of the Maeul-Kut of Oryu-ri Buk-myeon in the townof Jeongeup. Participant observation was carried out o...

      This study focuses on the symbolism of village ceremonies (hereafter : Maeul-Kut) led by women. Field work was carried out through careful analysis of the Maeul-Kut of Oryu-ri Buk-myeon in the townof Jeongeup. Participant observation was carried out on two occasion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villagers on four separate occasions.
      Maeul-Kut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ose led by a man, a woman or someone of indeterminate sex. Ideally it is said that the main group for Maeul-Kut is the village at large, but realistically usually men have the primary influence and lead the ritual act. In general women other than female shamans play the role of assistants or partial participants. In ancient Korea women were the objects of religion, they were goddesses of mountains, birth and the earth. They managed prolificacy and affluence and were priestesses who presided over all sorts of religious services. But as new religions like Buddhism and Confucianism expanded, the status of women in religious services gradually retreated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y until at last women became the objects of taboos. In community Kut we can see the results of this process today, so that with the exception of shamans women play unimportant supportive roles only.
      It is therefore unsurprising that the Maeul-Kut led by women is given less weight than the larger Maeul-Kut led by men. However, it is worth noticing that the Maeul-Kut that women lead are distributed widely throughout the Honam region. There are two types of Maeul-Kut led by women. In one women lead the whole Kut, excluding men and in the other men lead the religious services for the god of a higher rank and women do it for the god of a lower rank. These two types are rare in the plain area of the Honam Region and they are mostly distributed in the mountains, along the coast, and on the islands of Honam.
      Oryu-ri Buk-myeon in Jeongeup is in the plain area, but female led Maeul-Kut is performed in this village. In Oryu-ri there are not only several social factors and but also ritual and symbolic factors that brought about the more active role of women in the Maeul-Kut. My research revealed that first, according to the harmony of the male and female principles (principles of Yin and Yang), villagers wants to recover the balance and order of the village community by relying on the women. The dokkaebi that brings disasters to the village are representatives of Yang and in the rite women symbolize the characteristics of Yin which can protect the area. Second, according to the legend about the origins of Maeul-Kut, women played roles to soothe the spirit of those who were wrongly executed through Kut.
      In Oryu-ri women embody the world of reversal and renovation by dancing wearing their underwear upside down that are prohibited from being shown in ordinary life. To women banned from night culture the Maeul-Kut of Oryu-ri gave them an opportunity to radiate group passion and so they could show the character of women during the festiva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언
      • 2. 호남지역 여성주재형 마을굿의 전승 양상
      • 3. 오류리 마을굿의 지속과 변화
      • 4. 오류리 마을굿의 제의적 성격과 상징성
      • [국문초록]
      • 1. 서언
      • 2. 호남지역 여성주재형 마을굿의 전승 양상
      • 3. 오류리 마을굿의 지속과 변화
      • 4. 오류리 마을굿의 제의적 성격과 상징성
      • 5. 오류리 마을굿의 여성축제적 성격
      • 6. 결어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