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교학점제 선택과목 확대 가능성 탐색 : 교사 전공별 담당교과 현황 및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006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교교육 혁신을 위해 고교학점제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고교학점제는 학생의 성장을 중 심으로 유연하고 개별화된 교육을 지향하기 위한 고등학교 교육개혁 정책으로서,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현 시점에서 고교학점제 운영과 관련하여, 가장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선택중심 교육과정 활성화이다. 선택중심 교육과정이 처음으로 적용되는 것 은 아니지만, 종래에는 교원 수급 및 교사들의 담당 교과 배치의 고정화 등의 문제로 인해 학생의 과목 선택권 확대에 한계가 있었다. 고교학점제를 통해 이와 같은 선택중심 교육과정 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교사의 담당과목 확대 가능성을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교학점제 도입 시 단위학교 자체교원을 활용한 선택과목 확대 운영 가 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교사의 전공별 담당교과 현황 및 인식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82개 고교학점제 연구ㆍ선도학교 소속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333 명의 교사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고등학교 교사들은 1개의 전공과 임용 시 표시과목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임용 시 전공 표시과목과 관련된 과목을 가 르치고 있었다. 현재 담당하고 있는 교과 이외의 과목을 담당하고자 하는 의사는 높지 않았 으나 새로운 과목을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이 확보되고, 별도의 연수가 제공된다면 새로운 과 목을 맡고자 하는 교사가 적지 않았다. 연구 결과에 바탕하여 현재 단위학교 내의 교원을 활 용하여 선택과목의 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고교교육 혁신을 위해 고교학점제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고교학점제는 학생의 성장을 중 심으로 유연하고 개별화된 교육을 지향하기 위한 고등학교 교육개혁 정책으로서, 고등학교 교육과...

      고교교육 혁신을 위해 고교학점제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고교학점제는 학생의 성장을 중 심으로 유연하고 개별화된 교육을 지향하기 위한 고등학교 교육개혁 정책으로서,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현 시점에서 고교학점제 운영과 관련하여, 가장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선택중심 교육과정 활성화이다. 선택중심 교육과정이 처음으로 적용되는 것 은 아니지만, 종래에는 교원 수급 및 교사들의 담당 교과 배치의 고정화 등의 문제로 인해 학생의 과목 선택권 확대에 한계가 있었다. 고교학점제를 통해 이와 같은 선택중심 교육과정 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교사의 담당과목 확대 가능성을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교학점제 도입 시 단위학교 자체교원을 활용한 선택과목 확대 운영 가 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교사의 전공별 담당교과 현황 및 인식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82개 고교학점제 연구ㆍ선도학교 소속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333 명의 교사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고등학교 교사들은 1개의 전공과 임용 시 표시과목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임용 시 전공 표시과목과 관련된 과목을 가 르치고 있었다. 현재 담당하고 있는 교과 이외의 과목을 담당하고자 하는 의사는 높지 않았 으나 새로운 과목을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이 확보되고, 별도의 연수가 제공된다면 새로운 과 목을 맡고자 하는 교사가 적지 않았다. 연구 결과에 바탕하여 현재 단위학교 내의 교원을 활 용하여 선택과목의 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Korea has adopte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HSC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high school education. The HSCS intended to provide students with individualized and flexible curriculum to support their sound and seamless growth, and under the HSCS, it is important to provide students as various subjects as they need.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upply and demand of teachers who have teaching certificates with adequate subjects. Considering the issu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broadening a range of high school electives.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current subjects taught by high school teachers and their perceptions of teaching additional subjects. Teacher survey was conducted in the 82 sample and leading high schools of the HSCS and in total 1,333 teachers completed the survey questionnaire. Findings indicated that a large number of teachers had teaching certificates which allowed them to teach only one subject and those teachers taught subjects within subjects presented in their teaching certificates. The teachers reported, however, that they taught additional subjects from general education which were not directly related to subjects in their teaching certificates. In addition, teachers showed only modest intention to teach additional subjects and in order to teach additional subjects, they expected enough time to prepare more than additional teacher training.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policy implications were suggested.
      번역하기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Korea has adopte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HSC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high school education. The HSCS intended to provide students with individualized and flexible curriculum to support their sound and s...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Korea has adopte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HSC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high school education. The HSCS intended to provide students with individualized and flexible curriculum to support their sound and seamless growth, and under the HSCS, it is important to provide students as various subjects as they need.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upply and demand of teachers who have teaching certificates with adequate subjects. Considering the issu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broadening a range of high school electives.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current subjects taught by high school teachers and their perceptions of teaching additional subjects. Teacher survey was conducted in the 82 sample and leading high schools of the HSCS and in total 1,333 teachers completed the survey questionnaire. Findings indicated that a large number of teachers had teaching certificates which allowed them to teach only one subject and those teachers taught subjects within subjects presented in their teaching certificates. The teachers reported, however, that they taught additional subjects from general education which were not directly related to subjects in their teaching certificates. In addition, teachers showed only modest intention to teach additional subjects and in order to teach additional subjects, they expected enough time to prepare more than additional teacher training.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policy implications were sugges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고교학점제 정책의 의미와 현주소
      • 2. 고등학교 과목 선택권 확대에 따른 쟁점 및 과제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고교학점제 정책의 의미와 현주소
      • 2. 고등학교 과목 선택권 확대에 따른 쟁점 및 과제
      • Ⅲ. 연구 방법
      • 1. 설문조사
      • 2. 변수 설명 및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교사의 전공별 담당 교과 현황
      • 2. 임용 시 표시과목 이외 과목 담당에 대한 인식
      • Ⅴ. 논의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현영, "호주의 고교학점제 운영 사례 연구: 남호주 Norwood High School의 교과목 편성 및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6 (36): 197-220, 2018

      2 허봉규, "학교 현장에서 본 선택중심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학회 22 (22): 93-122, 2004

      3 안홍선, "중등교원의 양성 및 임용 실태와 고교학점제 도입의 의의" 40 : 122-144, 2017

      4 류방란, "일반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 관행의 유지와 변화" 한국교육사회학회 15 (15): 113-138, 2005

      5 이범, "영국의 고교학점제와 고교교육"

      6 주은옥, "사회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실행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7 (7): 169-191, 2004

      7 김정원, "미래형 교사교육체제 구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2

      8 최상덕,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핵심역량 교육 및 혁신적 학습생태계 구축(Ⅱ)" 한국교육개발원 2014

      9 정미경, "교육개혁 전망과 과제(Ⅱ)" 한국교육개발원 2017

      10 이상은, "교육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단위학교 자체 교원의 선택과목 확대 범위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8

      1 조현영, "호주의 고교학점제 운영 사례 연구: 남호주 Norwood High School의 교과목 편성 및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6 (36): 197-220, 2018

      2 허봉규, "학교 현장에서 본 선택중심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학회 22 (22): 93-122, 2004

      3 안홍선, "중등교원의 양성 및 임용 실태와 고교학점제 도입의 의의" 40 : 122-144, 2017

      4 류방란, "일반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 관행의 유지와 변화" 한국교육사회학회 15 (15): 113-138, 2005

      5 이범, "영국의 고교학점제와 고교교육"

      6 주은옥, "사회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실행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7 (7): 169-191, 2004

      7 김정원, "미래형 교사교육체제 구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2

      8 최상덕,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핵심역량 교육 및 혁신적 학습생태계 구축(Ⅱ)" 한국교육개발원 2014

      9 정미경, "교육개혁 전망과 과제(Ⅱ)" 한국교육개발원 2017

      10 이상은, "교육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단위학교 자체 교원의 선택과목 확대 범위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8

      11 소경희,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에 제시된 ‘학생 선택권’의 의미와 구현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0 (20): 87-106, 2002

      12 김영은, "고교학점제에서의 평가: 국내외 사례. 2018년 제3차 고교학점제 정책 자료집"

      13 교육부, "고교학점제 추진 방향 및 연구학교 운영계획(안)" 2017

      14 허주,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교원 및 시설 관련 쟁점과 과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57-76, 2018

      15 이광우, "고교학점제 도입 추진 방향 및 과제: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45, 2018

      16 정광희, "고교 학점제의 단계적 도입을 위한 진로수요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5 (35): 201-229, 2017

      17 김란주, "‘고교학점제’를 통한 교육과정 혁신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육과정학회 36 (36): 113-138, 2018

      18 OECD,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2018

      19 Hyeyoung Kim, "The features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U.S. and its implications for Korean high school credit system: Focused on North Carolina" Kore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56 (56): 245-277, 2018

      20 이상은, "OECD 교육 2030 참여 연구: 역량의 교육정책적 적용 과제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2018

      21 Gordon, J., "Key competencies in Europe: Opening doors for lifelong learners across the school curriculum and teacher education" CASA 2009

      22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 "Curriculum and instruction: A 21st century skills implementation guide"

      23 Su-Jung Choi, "Comparative Studies on Credit Systems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 Australia and Finland" Korean Comparative Education Society 27 (27): 191-210, 2017

      24 류방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 : 학교의 미래" 한국교육개발원 2018

      25 "2019년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추진 동력을 강화하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7 2.37 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1 2.46 2.479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