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점제의 고등학교 교육과정 도입에 대한 요구 조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006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라 교육과정을 재구조화하는 데 있어서 제기되는 문제들에 대해 교원 및 전문가의 요구를 조사,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학점제의 정의와 구성요소, 필수와 선택 및 과목 선택권 확보, 대안적 교과목, 최소 학 점, 이수기준, 졸업기준, 대입과의 연계 등을 9가지 쟁점 사항으로 도출하였다. 이 쟁점들을 중심으로 요구 조사 문항을 구성하여 2018년 고교학점제 연구․선도 학교 교원들을 포함한 전문가 총 10,552명의 응답을 수집,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 학점제 도입 시 3년간 이 수해야 할 최소 이수 학점의 축소, 진로집중과정 운영을 통한 과정 선택의 필요성, 수업 일수 만이 졸업 요건이 되고 있는 실태 개선, 교과 이수 기준 설정을 통한 교육과정 질 관리, 교과 이수 기준을 미도달하는 학생을 위한 방안 마련, 학생 과목 선택의 질 보장 등에 대한 요구 와 우려가 크게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구 분석 결과에 따라 본 연구에 서는 학점제 도입시 최소 이수 학점 축소를 통한 탄력적이고 유연한 학교 교육과정 운영 도 모, 희망하는 학교의 경우 진로집중과정을 개설할 수 있도록 하는 지침 마련 및 지원을 통한 고교학점제 운영 여건 확대, 이수․미이수․재이수에 대한 기준 및 미도달자에 대한 합리적 이수 방안 마련을 통한 학점제 안착 지원, 학생 과목 선택권 확대를 위한 대안적 과목의 이 수 방안과 선택의 질 고려를 위한 교육주체들의 인식 개선 등을 시사점으로 도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라 교육과정을 재구조화하는 데 있어서 제기되는 문제들에 대해 교원 및 전문가의 요구를 조사,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라 교육과정을 재구조화하는 데 있어서 제기되는 문제들에 대해 교원 및 전문가의 요구를 조사,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학점제의 정의와 구성요소, 필수와 선택 및 과목 선택권 확보, 대안적 교과목, 최소 학 점, 이수기준, 졸업기준, 대입과의 연계 등을 9가지 쟁점 사항으로 도출하였다. 이 쟁점들을 중심으로 요구 조사 문항을 구성하여 2018년 고교학점제 연구․선도 학교 교원들을 포함한 전문가 총 10,552명의 응답을 수집,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 학점제 도입 시 3년간 이 수해야 할 최소 이수 학점의 축소, 진로집중과정 운영을 통한 과정 선택의 필요성, 수업 일수 만이 졸업 요건이 되고 있는 실태 개선, 교과 이수 기준 설정을 통한 교육과정 질 관리, 교과 이수 기준을 미도달하는 학생을 위한 방안 마련, 학생 과목 선택의 질 보장 등에 대한 요구 와 우려가 크게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구 분석 결과에 따라 본 연구에 서는 학점제 도입시 최소 이수 학점 축소를 통한 탄력적이고 유연한 학교 교육과정 운영 도 모, 희망하는 학교의 경우 진로집중과정을 개설할 수 있도록 하는 지침 마련 및 지원을 통한 고교학점제 운영 여건 확대, 이수․미이수․재이수에 대한 기준 및 미도달자에 대한 합리적 이수 방안 마련을 통한 학점제 안착 지원, 학생 과목 선택권 확대를 위한 대안적 과목의 이 수 방안과 선택의 질 고려를 위한 교육주체들의 인식 개선 등을 시사점으로 도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pecific measures of restructuring high school curriculum and implementing strategies through the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educational experts and high school teachers. Before conducting this survey, this research analyzed nine critical feature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uch as definition of the credit system, students’ choice of subjects, alternative subjects, minimum required credits, graduation criteria, and connecting university entrance, etc. The number of survey participants was 10,552 including teachers of pilot school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s well as ordinary high schools and educational experts. The survey revealed that participants requested decreasing required credits, implementing career intensive course, modifying the current graduation requirement based on school attendance, securing quality control of curriculum, providing measures for underachievers, and satisfying students’ needs for subjects and the qualit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urvey, this research suggests specific and effective policies about reducing the minimum number of credits with flexible curriculum, operating career-intensive programs with individual school’s decisions, and modifying criteria for passing, incomplete, retaking credits and graduation. Furthermore, this output suggests that securing students’ rights of selecting subjects and controlling quality of subjects are crucially important to implemen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번역하기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pecific measures of restructuring high school curriculum and implementing strategies through the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educational experts and high school teachers. Before conducting thi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pecific measures of restructuring high school curriculum and implementing strategies through the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educational experts and high school teachers. Before conducting this survey, this research analyzed nine critical feature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uch as definition of the credit system, students’ choice of subjects, alternative subjects, minimum required credits, graduation criteria, and connecting university entrance, etc. The number of survey participants was 10,552 including teachers of pilot school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s well as ordinary high schools and educational experts. The survey revealed that participants requested decreasing required credits, implementing career intensive course, modifying the current graduation requirement based on school attendance, securing quality control of curriculum, providing measures for underachievers, and satisfying students’ needs for subjects and the qualit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urvey, this research suggests specific and effective policies about reducing the minimum number of credits with flexible curriculum, operating career-intensive programs with individual school’s decisions, and modifying criteria for passing, incomplete, retaking credits and graduation. Furthermore, this output suggests that securing students’ rights of selecting subjects and controlling quality of subjects are crucially important to implemen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1. 요구 조사 문항의 구성
      • 2. 조사 방법 및 참여 대상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1. 요구 조사 문항의 구성
      • 2. 조사 방법 및 참여 대상
      • Ⅲ. 연구 결과
      • 1. 학점제의 정의와 구성 요소 관련
      • 2. 필수와 선택 과목 단위 등의 규정 관련
      • 3. 학생의 과목 선택권 확대 관련
      • 4. 교과의 대안적 형태 관련
      • 5. 최소 이수 학점 관련
      • 6. 선택 과목의 재구조화 관련
      • 7. 이수 기준과 졸업 요건 관련
      • 8. 교과별 내신 평가 관련
      • 9. 미도달자 문제 관련
      • 10. 고교와 대학 간의 연계 관련
      • Ⅳ. 결론 및 시사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진숙, "학점제 도입을 위한 고등학교 교육과정 재구조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2 구자억, "학점제 도입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1

      3 손찬희, "학생 맞춤형 선택학습 실현을 위한 고등학교 학점제 도입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7

      4 이광우, "지능정보사회 대응을 위한 중장기 고교 교육과정 방향 탐색 연구: 학습자 중심 고교학점제 실행 방향 및 과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5 김창원, "문・이과 통합 국어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 교육부 2014

      6 교육부, "고교학점제 추진 방향 및 연구학교 운영 계획(안)"

      7 주주자, "고교무학년 학점제 구현 방안 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2017

      8 김진숙, "Inquiry of the focused course-taking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eaning of 'completion' of a course of study" Korean Society for Curriculum Studies 30 (30): 125-149, 2012

      9 교육부, "2022학년도 대학입학제도 개편방안 및 고교교육 혁신방향 발표"

      10 박순경,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선택 과목 재구조화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1 김진숙, "학점제 도입을 위한 고등학교 교육과정 재구조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2 구자억, "학점제 도입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1

      3 손찬희, "학생 맞춤형 선택학습 실현을 위한 고등학교 학점제 도입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7

      4 이광우, "지능정보사회 대응을 위한 중장기 고교 교육과정 방향 탐색 연구: 학습자 중심 고교학점제 실행 방향 및 과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5 김창원, "문・이과 통합 국어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 교육부 2014

      6 교육부, "고교학점제 추진 방향 및 연구학교 운영 계획(안)"

      7 주주자, "고교무학년 학점제 구현 방안 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2017

      8 김진숙, "Inquiry of the focused course-taking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eaning of 'completion' of a course of study" Korean Society for Curriculum Studies 30 (30): 125-149, 2012

      9 교육부, "2022학년도 대학입학제도 개편방안 및 고교교육 혁신방향 발표"

      10 박순경,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선택 과목 재구조화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7 2.37 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1 2.46 2.479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