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후기 염불결사의 수행문화 고찰 : 재가자의 참여에 따른 영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actice Culture of Buddha-Invocation Societies of Late-Chosŏn Period : Focusing on the Effects of Lay Believer’s Participa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dentified invocation association as a background of Korean Buddhist culture differentiated from the Chinese and Japanese one in the Buddhist community of East Asia and analyzed the major backgrounds and influences of its related ascetic pr...

      This study identified invocation association as a background of Korean Buddhist culture differentiated from the Chinese and Japanese one in the Buddhist community of East Asia and analyzed the major backgrounds and influences of its related ascetic practices and Buddhist culture.
      Like most sects of East Asian Buddhism, the invocation association of Korea was formed in Buddhist-secular alliance, which involved the participation of both Buddhist priests that were professional ascetics and the lay believers that supported them.
      There were many internal and external aspects of Korean Buddhist culture formed by the Buddhist-services sponsored by lay believers that made up the Buddhist-societie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secular alliance and association, many cases reorganized the old training methods according to the level of lay believers and reinterpreted the rituals at the level of ascetic practice.
      The major features of Korean invocation association include Gi-il (Fixed-Period)Yeombul and Go-seong(Loud-Voiced) Yeombul, and Manilhoi discussed the controversy over the practice of the latter.
      In late Chosŏn, Buddhist priests discussed Yushimjeongto(唯心淨土), Jashimmita(自心彌陀), and GwansangYeombul(觀相念佛) in their collections of works, but the main practices of the Buddhist-Societies was ChingmyeongYeombul(稱名念佛). The influence of Discipline of Three Gates, however, allowed for the coexistence of Zen meditations, silent readings of the Buddhist scriptures, invocations, and rituals as the training methods of the Association in late Chosŏn.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training methods and spatial arrangement for civilian believers that were members of the Buddhist-Societies enriched the Korean Buddhist culture even further along with their sponsorship activ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동아시아불교 안에서 중국이나 일본과는 차별화되는 한국불교문화를 생산하게 된 배경의 하나로서, 염불결사를 찾아 관련된 수행법이 불교 수행문화에 미치는 영향과 그 배...

      본 논문에서는 동아시아불교 안에서 중국이나 일본과는 차별화되는 한국불교문화를 생산하게 된 배경의 하나로서, 염불결사를 찾아 관련된 수행법이 불교 수행문화에 미치는 영향과 그 배경을 분석했다.
      한국의 염불결사 역시 대부분의 동아시아불교와 마찬가지로 전문수행자인 승려와 후원자그룹인 민간신도들이 함께하는 승속연합의 형태로 결성된다. 한국 불교문화를 보면 결사의 구성원인 민간신도들의 후원으로 진행하는 佛事에서 비롯된 경우가 많았다. 또한 승속연합 결사의 특성으로 인해 기존 수행법들을 민간신도 구성원의 수준에 맞게 재구성하거나, 儀式을 수행의 차원으로 재해석하는 사례들도 나타난다.
      한국불교 염불결사의 대표적인 수행법으로는 기일염불과 고성염불을 들 수 있는데, 만일회의 염불신행과 관련된 기록에서 고성염불을 둘러싼 논쟁들도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조선 후기 승려들의 문집에는 유심정토와 자심미타, 관상염불 등에 관한 논의들이 등장하지만 정작 결사에서는 칭명염불이 주요 수행법이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전체적인 조선후기 불교결사의 수행법에서는 三門修學의 영향으로 인해 참선과 看經, 염불이나 儀式 등이 공존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사찰계 등의 결사에서는 자신들만의 수행공간인 전각을 짓기 위해 후원금을 모아서 내기도 했는데, 조선 후기에 지어진 칠성각이나, 산신각 등이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정리하자면, 결사 구성원인 민간신도들로 인한 수행법과 공간배치, 그리고 그들의 후원 활동이 한국의 불교문화를 훨씬 풍성하게 하는 역할을 해왔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정, "화기를 통해 본 조선 후기 제 2기 불화의 도상해석학적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40) : 181-214, 2013

      2 한용운, "한국의 근대사상" 삼성출판사 1986

      3 이종수, "조선후기 불교의 수행체계 연구 : 삼문수학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4 한상길, "조선후기 불교와 寺刹契" 경인문화사 2006

      5 최종성, "조선후기 민간의 불교문화: 佛僧, 檀信, 祭場"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30 : 2012

      6 한보광, "신앙결사연구" 여래장 2000

      7 김성순, "동아시아 염불결사의 연구: 천태교단을 중심으로" 비움과 소통 2014

      8 김성순, "동아시아 민간불교결사의 공덕신앙과 장의(葬儀) ― 한국의 향도와 돈황의 읍사 ―" 한국종교학회 (62) : 265-303, 2011

      9 "鏡虛集"

      10 "釋淨土群疑論"

      1 김현정, "화기를 통해 본 조선 후기 제 2기 불화의 도상해석학적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40) : 181-214, 2013

      2 한용운, "한국의 근대사상" 삼성출판사 1986

      3 이종수, "조선후기 불교의 수행체계 연구 : 삼문수학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4 한상길, "조선후기 불교와 寺刹契" 경인문화사 2006

      5 최종성, "조선후기 민간의 불교문화: 佛僧, 檀信, 祭場"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30 : 2012

      6 한보광, "신앙결사연구" 여래장 2000

      7 김성순, "동아시아 염불결사의 연구: 천태교단을 중심으로" 비움과 소통 2014

      8 김성순, "동아시아 민간불교결사의 공덕신앙과 장의(葬儀) ― 한국의 향도와 돈황의 읍사 ―" 한국종교학회 (62) : 265-303, 2011

      9 "鏡虛集"

      10 "釋淨土群疑論"

      11 "質疑錄"

      12 "蓮潭大師林下錄"

      13 "草衣詩稿 外" 동국대역경원 1998

      14 "茶松文稿"

      15 "艸衣詩藁"

      16 "淸珠集"

      17 "淨土紺珠"

      18 "朝鮮寺刹史料 卷上"

      19 "曾谷集"

      20 "念佛要門科解"

      21 "勸念要錄"

      22 한용운, "乾鳳寺及乾鳳寺末寺史蹟" 아세아문화사 1977

      23 "三國遺事"

      24 김성순, "『질의록(質疑錄)』에 나타난 금명보정(錦溟寶鼎)의 불교인식과 정토관" 보조사상연구원 (48) : 75-108, 2017

      25 이종수, "19세기 건봉사 만일회와 불교사적 의미" 동국역사문화연구소 (49) : 293-319,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1 0.987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