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임종간호수행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중요도와 수행도 분석 (IPA 분석)- 요양병원 종사자를 중심으로 =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Endurance Nursing Education Program (IPA Analysis)- Focusing on Convalescent Hospital Work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727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nd-of-life nursing performed targeting convalescent hospital workers and to utilize the data as a basis data for providing the end-of-life nursing education program.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113 convalescent hospital workers who received for certification of medical institutions in C city. The research instruments used the 4-point likert scale of 21 items was used for Park & Choi's end-of-life nursing performance tool modified by Ju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frequency, th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he gaps betwee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nd-of-life nursing practice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and IPA matrix. The areas that need to be maintained and strengthened were the 'physical area' and the 'physiological area'. The 'spiritual area' appeared to be an area where further efforts were not needed and needs to be improve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contents focusing on 'physical area' and 'physiological area'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training program for end-of-life nursing care for the convalescent hospital worker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nd-of-life nursing performed targeting convalescent hospital workers and to utilize the data as a basis data for providing the end-of-life nursing education program. The data c...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nd-of-life nursing performed targeting convalescent hospital workers and to utilize the data as a basis data for providing the end-of-life nursing education program.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113 convalescent hospital workers who received for certification of medical institutions in C city. The research instruments used the 4-point likert scale of 21 items was used for Park & Choi's end-of-life nursing performance tool modified by Ju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frequency, th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he gaps betwee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nd-of-life nursing practice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and IPA matrix. The areas that need to be maintained and strengthened were the 'physical area' and the 'physiological area'. The 'spiritual area' appeared to be an area where further efforts were not needed and needs to be improve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contents focusing on 'physical area' and 'physiological area'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training program for end-of-life nursing care for the convalescent hospital work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요양병원 근무자를 대상으로 임종간호수행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파악하여 임종간호수행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되었다. 자료수집은 C시에 소재한 의료기관평가인증을 받은 요양병원 근무자 113명을 대상으로 표집하였다. 연구도구는 Park의 임종간호수행 도구를 Jung이 수정·보완한 21문항의 4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특성은 서술통계로 분석하였고, 임종간호수행 중요도와 수행도의 상호차이(Gap)는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상호차이 결과분석은 IPA Matrix로 분석하였다. IPA Matrix를 분석한 결과, 계속 유지·강화해야 할 부분은 ‘신체적 영역’과 ‘생리적 영역’이었으며, ‘영적 영역’은 더 이상의 노력 투입이 불필요하며 앞으로 개선을 요하는 영역으로 나타났다. 요양병원 종사자를 위한 임종간호수행 교육프로그램 구성시 실질적으로 요양병원 근무시 활용할 수 있도록 ‘신체적 영역’과 ‘생리적 영역’에 중점을 둔 내용 구성이 필요하며, 집중개선 영역의 수정전략과 유지·강화영역의 강화 관리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요양병원 근무자를 대상으로 임종간호수행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파악하여 임종간호수행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되었다. 자료수집은 C시에 소...

      본 연구는 요양병원 근무자를 대상으로 임종간호수행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파악하여 임종간호수행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되었다. 자료수집은 C시에 소재한 의료기관평가인증을 받은 요양병원 근무자 113명을 대상으로 표집하였다. 연구도구는 Park의 임종간호수행 도구를 Jung이 수정·보완한 21문항의 4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특성은 서술통계로 분석하였고, 임종간호수행 중요도와 수행도의 상호차이(Gap)는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상호차이 결과분석은 IPA Matrix로 분석하였다. IPA Matrix를 분석한 결과, 계속 유지·강화해야 할 부분은 ‘신체적 영역’과 ‘생리적 영역’이었으며, ‘영적 영역’은 더 이상의 노력 투입이 불필요하며 앞으로 개선을 요하는 영역으로 나타났다. 요양병원 종사자를 위한 임종간호수행 교육프로그램 구성시 실질적으로 요양병원 근무시 활용할 수 있도록 ‘신체적 영역’과 ‘생리적 영역’에 중점을 둔 내용 구성이 필요하며, 집중개선 영역의 수정전략과 유지·강화영역의 강화 관리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은, "호스피스ㆍ완화의료에 대한 인식 및 지식 그리고 죽음에 대한 태도: 일개 지역에서의 의료인을 대상으로"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16 (16): 242-252, 2013

      2 고문정,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간호학회 25 (25): 327-337, 2016

      3 우영화, "간호사의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스트레스 및 임종간호수행"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16 (16): 33-41, 2013

      4 최자윤, "간호사, 비말기 암환자 및 말기 암환자가 지각한 간호요구의 중요도와 제공정도에 대한 비교" 한국간호과학회 35 (35): 1135-1143, 2005

      5 정미자, "간호대학생의 영적간호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41 (41): 673-683, 2011

      6 Healthcare Bigdata Hub, "Statistics by Age"

      7 J. A. Martill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77-79, 1977

      8 Y. J. Noh, "Hospice and death" Hyunmoon Publishers 1997

      9 S. J. Park, "A study on the degrees of death orientation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nurses" 3 (3): 285-297, 1996

      10 S. I. Jung, "A study on terminal care stress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ICU nurse" Hanyang uiversity 2013

      1 이영은, "호스피스ㆍ완화의료에 대한 인식 및 지식 그리고 죽음에 대한 태도: 일개 지역에서의 의료인을 대상으로"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16 (16): 242-252, 2013

      2 고문정,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간호학회 25 (25): 327-337, 2016

      3 우영화, "간호사의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스트레스 및 임종간호수행"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16 (16): 33-41, 2013

      4 최자윤, "간호사, 비말기 암환자 및 말기 암환자가 지각한 간호요구의 중요도와 제공정도에 대한 비교" 한국간호과학회 35 (35): 1135-1143, 2005

      5 정미자, "간호대학생의 영적간호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41 (41): 673-683, 2011

      6 Healthcare Bigdata Hub, "Statistics by Age"

      7 J. A. Martill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77-79, 1977

      8 Y. J. Noh, "Hospice and death" Hyunmoon Publishers 1997

      9 S. J. Park, "A study on the degrees of death orientation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nurses" 3 (3): 285-297, 1996

      10 S. I. Jung, "A study on terminal care stress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ICU nurse" Hanyang uiversity 2013

      11 S. Y. Chung, "A study on terminal care stress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ICU nurse" Hanyang uiversity 2013

      12 Statistics Korea, "2017 elderly people statistic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 탈락 (기타)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2 0.40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