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백수원, "헌법상 안전에 대한 국가의 의무" 미국헌법학회 27 (27): 137-167, 2016
2 이한태 ; 전우석, "한국 헌법상 기본권으로서의 안전권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16 (16): 121-145, 2015
3 김상겸, "재난관리와 국민안전에 관한 헌법적 연구" 유럽헌법학회 (33) : 297-327, 2020
4 손형섭, "위험사회에서의 헌법이론 - 헌법질서의 확립과 가이드라인 시대의 서언 -" 한국법학회 (51) : 1-28, 2013
5 정문식, "안전에 관한 기본권의 헌법상 근거와 위헌심사기준" 한국법정책학회 7 (7): 217-239, 2007
6 김용훈, "안전권의 헌법적 의의와 국외적인 수준에서의 안전권 보장 소고" 법학연구소 (90) : 1-36, 2021
7 홍종현, "안전권의 헌법적 의미와 기능에 대한 연구" 법학연구소 29 (29): 49-79, 2021
8 홍완식, "안전권 실현을 위한 입법정책" 유럽헌법학회 (14) : 225-250, 2013
9 이부하, "생명・신체의 안전권에 대한 헌법적 고찰" 법과정책연구원 25 (25): 119-142, 2019
10 김대환, "돌진적 성장이 낳은 이중 위험사회" 사회과학원 (가을) : 1998
1 백수원, "헌법상 안전에 대한 국가의 의무" 미국헌법학회 27 (27): 137-167, 2016
2 이한태 ; 전우석, "한국 헌법상 기본권으로서의 안전권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16 (16): 121-145, 2015
3 김상겸, "재난관리와 국민안전에 관한 헌법적 연구" 유럽헌법학회 (33) : 297-327, 2020
4 손형섭, "위험사회에서의 헌법이론 - 헌법질서의 확립과 가이드라인 시대의 서언 -" 한국법학회 (51) : 1-28, 2013
5 정문식, "안전에 관한 기본권의 헌법상 근거와 위헌심사기준" 한국법정책학회 7 (7): 217-239, 2007
6 김용훈, "안전권의 헌법적 의의와 국외적인 수준에서의 안전권 보장 소고" 법학연구소 (90) : 1-36, 2021
7 홍종현, "안전권의 헌법적 의미와 기능에 대한 연구" 법학연구소 29 (29): 49-79, 2021
8 홍완식, "안전권 실현을 위한 입법정책" 유럽헌법학회 (14) : 225-250, 2013
9 이부하, "생명・신체의 안전권에 대한 헌법적 고찰" 법과정책연구원 25 (25): 119-142, 2019
10 김대환, "돌진적 성장이 낳은 이중 위험사회" 사회과학원 (가을) : 1998
11 로베르트 알렉시, "기본권이론" 한길사 2007
12 송석윤, "기본권으로서의 안전권에 관한 시론적 연구" 법학연구소 8 (8): 1-32, 2003
13 김용훈, "기본권으로서의 안전권 조항의 헌법적 의의 - 미국에서의 관련 논의를 참고하여 -" 법학연구소 (84) : 1-36, 2019
14 김소연, "기본권으로서의 안전권 인정에 대한 헌법적 고찰" 한국공법학회 45 (45): 173-195, 2017
15 장선미, "기본권 심사구조의 통합적 이해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자유권적 기본권과 사회적 기본권을 중심으로 —"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25 (25): 25-68, 2019
16 고기복, "국민의 안전에 관한 헌법적 연구" 비교법문화연구소 23 (23): 1-34, 2023
17 전광석, "국민의 안전권과 국가의 보호의무"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8 (8): 143-157, 2015
18 윤수정, "국민 안전권 보장을 위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 안전권의 공법적 논의구조를 중심으로 -" 한국비교공법학회 20 (20): 3-27, 2019
19 허완중, "국가의 목적이면서 과제이고 의무인 안전보장" 비교법학연구소 45 : 65-114, 2015
20 김대환, "국가의 국민안전보장의무" 한국비교공법학회 15 (15): 3-41, 2014
21 "“34년된 헌법 바꾸자” 67%, “대통령 권한 분산” 52% [리셋코리아]" 중앙일보
22 Human Rights Committee, "General comment No. 35 Article 9 (Liberty and security of person), 2014, CCPR/C/GC/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