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17세기 후반 조선의 학자 김간(金榦)이 작성한 소학차기(小學箚記)의 내용과 그 학술적 성과에 대해 검토했다. 이 책은 김간 34세 때 그의 친구 이정영, 동생 김재와 함께 독...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17세기 후반 조선의 학자 김간(金榦)이 작성한 소학차기(小學箚記)의 내용과 그 학술적 성과에 대해 검토했다. 이 책은 김간 34세 때 그의 친구 이정영, 동생 김재와 함께 독...
이 글에서는 17세기 후반 조선의 학자 김간(金榦)이 작성한 소학차기(小學箚記)의 내용과 그 학술적 성과에 대해 검토했다. 이 책은 김간 34세 때 그의 친구 이정영, 동생 김재와 함께 독서하고 토론한 결과를 담고 있다. 김간은 소학집설(小學集說)을 주 분석 대상으로 삼아 이 책에 실려 있는 기존 주석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또 보완하였다. 그 과정에서 김간은 이이, 김장생, 정경세, 박세채 등 조선 학자들의 견해를 참고하고 또 소학언해 등 여러 서적을 활용하였다. 대체로 서인계 학통 내에서의 소학 읽기의 성과라 할 수 있다. 소학차기는 17세기 후반의 유학 학습자들이 당시 널리 읽히던 소학집설의 세계를 벗어나는 움직임, 이 시기 학자들의 소학 읽기의 실제 모습이 어떠했는지를 잘 보여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article, I review the content and scholarly achievements of the late 17th-century scholar Kim Gan(金榦)'s Sohakchagi. The book is the result of a reading and discussion with his friend Lee Jung-young and his brother Kim Jae, when Kim was 34 ...
In this article, I review the content and scholarly achievements of the late 17th-century scholar Kim Gan(金榦)'s Sohakchagi. The book is the result of a reading and discussion with his friend Lee Jung-young and his brother Kim Jae, when Kim was 34 years old. Kim Gan analyzed the Sohakchipsul as the main object of analysis and criticized and supplemented the existing commentaries in the book. In the process, Kim Gan referenced the views of Yi I(李珥), Kim Jangseng, Jeong Kyungse, Park Se Chae, and others, and utilized various books. In general, it can be said to be an achievement of reading Sohak within the Seoin school. Sohak Chagi clearly shows the movement of Confucian learners in the late 17th century to break away from the world of Sohakchipsul, which was widely read at the time, and what scholars' reading of Sohak actually looked like during this period.
인조대 구궐(舊闕) 동궁(東宮) 중건과 후계구도 변경 - 저승전의궤(儲承殿儀軌)의 분석 -
1920년 일제의 탄압 이후 서간도지역 독립운동단체의 연대와 근거지 재건
이우당유고(二友堂遺稿)를 통해 본 어느 한 인물의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