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historical 'existence' of Yi Wan-Bal(李完發), by reviewing the 'story' about him as written in the 'Euisa Yi Man-Chwi Jeon(義士李晩翠傳; The Story of the Righteous Patriot Yi Man-Chwi)', in the Yiwoodangyugo(...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14566
정욱재 (독립기념관)
2024
Korean
정대필 ; 이완발 ; 이우당유고 ; 화서학파 ; 의병 ; Jung Daepil ; Yi WanBal ; Yiwoodangyugo ; Hwaseo School ; Righteous Army
KCI등재
학술저널
87-115(2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historical 'existence' of Yi Wan-Bal(李完發), by reviewing the 'story' about him as written in the 'Euisa Yi Man-Chwi Jeon(義士李晩翠傳; The Story of the Righteous Patriot Yi Man-Chwi)', in the Yiwoodangyugo(...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historical 'existence' of Yi Wan-Bal(李完發), by reviewing the 'story' about him as written in the 'Euisa Yi Man-Chwi Jeon(義士李晩翠傳; The Story of the Righteous Patriot Yi Man-Chwi)', in the Yiwoodangyugo(二友堂遺稿) witten by Jeong Dae-Pil(鄭大弼).
The author, Jeong Dae-Pil was a Confucian scholar from a renowned family in the region of Geochang. Yi Wan-Bal, or Yi Man-Chwi, was his first teacher who taught basic Confucian knowledges to the author, and later brought his former student to the Hwaseo School for extensive researches on the Neo-Confucianism. After acquiring the Theory of Fidelity(義理論), Jeong became one of the leading figures of the March 1st movement in the Geochang Region in 1919, when the movement was spreading nationwide.
Yi Wan-Bal, as described in the Yiwoodangyugo(二友堂遺稿), was a student of the Hwaseo School with strong spirit and anti-Japanese sentiment. When the Japanese Empire exposed its ambition to invade and colonize the Daehan Empire, Yi Wan-bal fought against Japan to death. There were countless Righteous Soldiers(의병) against the Japanes Empire whose names couldn't be remembered in history, but Yi Wan-Bal's name was recorded by his former teacher, Jeong Dae-pil, who established the basis to 'remember' the historical and patriotic figure, not losing the figure into 'oblivion'.
Jeong's records and short statements in books like the Ma -echeonyarok(梅泉野錄), proves the existence of the man 'Yi Wan-Bal.' Jeong's writings on Yi Wan-Bal's achievements as the Righteous Solder may have some minor errors, but the major story corresponds to the historical events. Yi's case proves that the writings and books by the members of the Neo-Confucian society in the late Daehan Empire and Japanes Occupation, is a good resource to rediscover the forgotten figures in the Independence Movements and researches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calling for more detailed researches on the writings by the Neo-Confucians of the era.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유림이자 독립운동가인 정대필(鄭大弼)이 남긴 문집인 이우당유고에 실린 ‘의사이만취전(義士李晩翠傳)’을 통해 이완발(李完發)이란 인물의 ‘이야기’를 탐색하여 그를 역...
본고는 유림이자 독립운동가인 정대필(鄭大弼)이 남긴 문집인 이우당유고에 실린 ‘의사이만취전(義士李晩翠傳)’을 통해 이완발(李完發)이란 인물의 ‘이야기’를 탐색하여 그를 역사적 ‘존재’로서 자리매김하고자 한 것이다.
정대필은 거창 지역의 명망 있는 가문 출신으로 유학을 배운 인물이었다. 이완발은 정대필의 초학 스승으로, 정대필은 그에게 기본적인 유학 지식을 배웠다. 이후 이완발과 함께 화서학파 문인에게 나아가 성리학을 깊게 배웠다. 화서학파의 의리론을 체득한 정대필은 1919년 3·1운동이 전국에 확산될 때 거창 지역의 3·1운동을 주도했던 인물 중의 한 명이었다.
이우당유고을 통해 본 이완발은 화서학파의 문인으로 항일의식이 투철하고 기개 있는 인물이었다. 일제가 대한제국에 대한 침략야욕을 노골화하자, 이완발은 의병항쟁에 참여하여 일제와 싸우다가 순국하였다. 이완발 말고도 이름조차 알 수 없는 수많은 의병이 일제와 싸우다가 순국하였으나 역사에서 ‘기억’될 수가 없었다. 다행히 정대필이 사명감을 가지고 기록을 남겼기 때문에 이완발은 ‘망각’되지 않고 ‘기억’될 수 있는 기초가 마련되었다. 정대필의 기록과 매천야록 등에 수록된 짧은 언급을 통해 ‘이완발’은 확실히 실존한 인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가 의병으로 활동하여 순국하였다는 정대필의 기록은 세부적인 부분에서 어긋난 점이 있겠으나, 대체적인 내용은 역사적 사실에 가깝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이완발의 사례는 한말·일제하를 겪었던 유림이 남긴 문집이 앞으로 한국 독립운동사 연구와 독립운동가 발굴과 연구에 충분히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환기시켜 준다.
인조대 구궐(舊闕) 동궁(東宮) 중건과 후계구도 변경 - 저승전의궤(儲承殿儀軌)의 분석 -
17세기 조선에서의 소학(小學) 읽기 : 김간(金榦)이 참고한 문헌과 문제 의식
1920년 일제의 탄압 이후 서간도지역 독립운동단체의 연대와 근거지 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