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article is based on mining laber folk song <ssangmaeng-ijil sol>, <mogdo soli> at Yeongdong-gun, Chungcheongbuk-do. <ssangmaeng-ijil sol> is a miner's folk song broke the fluorspar. <mogdo soli> is miner's folk song, work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based on mining laber folk song <ssangmaeng-ijil sol>, <mogdo soli> at Yeongdong-gun, Chungcheongbuk-do. <ssangmaeng-ijil sol> is a miner's folk song broke the fluorspar. <mogdo soli> is miner's folk song, work ...
This article is based on mining laber folk song <ssangmaeng-ijil sol>, <mogdo soli> at Yeongdong-gun, Chungcheongbuk-do. <ssangmaeng-ijil sol> is a miner's folk song broke the fluorspar. <mogdo soli> is miner's folk song, work that carries fluorspar around the tunnel. The devotee who called mining labor is a resident who is engaged in mining industry and is made up of old people. that folk song is It has value as an intangible asset called mining labor, For the efficiency of labor and unity of workers, it has characteristics of simple private construction and monotone sound structure. Although the editorial has an aesthetic structure that can not be narrated, the contents of work specific to labor and worker 's behavior instruction are directly expressed in the editorial. Changes in rhythm and tone also constitute the characteristics of simple repetitive labor. The change of the sound is manifested by a high - rise structure for giving tension and a sense of crisis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and a bass - lowering structure for performing private formation and relaxation. Mining labor folk song should be considered as a rare resource to preserve traditional values. For this, musical research including ministry of mining labor is essential. In the future,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in consideration of both the preservation of values and tra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ong-term plan and conduct regular surveys of traders, expanding the work of uncollected women, mining folklore, and related objects. The research data should be converted into digital data in the form of bibliography, images, and images, and archives should be constructed and shared. The formation of the intimacy of the cultural masses of data sharing will function as part of the securing of the transcendent subject.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충북 영동군 용산면 부상리에서 전승하는 광업노동요 <쌍맹이질소리>와 <목도소리>를 대상으로 한다. <쌍맹이질소리>는 광부가 갱도 안에서 쇠메로 형석을 깨며 부른 ...
이 글은 충북 영동군 용산면 부상리에서 전승하는 광업노동요 <쌍맹이질소리>와 <목도소리>를 대상으로 한다. <쌍맹이질소리>는 광부가 갱도 안에서 쇠메로 형석을 깨며 부른 노동요이고, <목도소리>는 갱도 안팎에서 깬 형석을 목도로 나르며 부른 소리로, 2목도소리와 4목도소리가 채록되었다. 광업노동요를 부른 전승자는 광산업 에 종사한 주민으로 현재 고령층이다. <쌍맹이질소리>와 <목도소리>는 갱도 주변에서 광업노동을 하며 부른 무형자산으로서 가치를 지니며, 노동의 효율과 노동자의 단합 을 위해 단순한 사설 구성과 단선적 음 구조를 지닌 것이 특징이다. 사설은 서사를 이루지 못하는 미적 구조를 보이지만 노동요 특유의 작업 내용, 노동자의 행동 지시 등이 직접적으로 표현된다. 가락과 음의 변화 또한 단순 반복적 노동의 특성에 맞춰 구성한다. 음의 변화는 노동 환경에 따라 긴장감과 위기감을 주기 위한 고음 상승 구 조와 사설 맺음과 이완 작용을 하는 저음 하강 구조로 나타난다. 영동군 광업노동요는 희귀자료로서 가치 보존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 광업노동요의 음 채보를 비롯한 음악적 연구를 근간으로, 가치 보존과 전승 두 측면 을 고려한 연구까지 진행해야 한다. 광업노동요 전형을 정립하기 위한 방안은 전수 조사와 정기조사 방식이 적합하다. 장기 계획을 수립해 전승자의 정기적 전수조사와, 채록되지 못한 부녀자의 노동요, 광업생활민속 조사, 관련 기록물 조사까지 확대 실 시해야 한다. 조사한 자료는 서지, 이미지, 영상 등 디지털 자료로 전환해 항목별로 아카이브를 구축해 공유해야 한다. 자료 공유를 통한 문화대중성의 친밀감 형성은 전승 주체 확보를 위한 일환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식, "화천 지역 노동요의 전승과 비전승 양상-『강원의 민요』와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 비교를 통하여-" 민속학연구소 (30) : 7-30, 2015
2 좌혜경, "한국민요연구사" 영주어문학회 2 : 63-73, 2000
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구비문학대계 7-9" 한국학중앙연구원 1980
4 "한국구비문학대계"
5 한양명, "한국 민속예술축제가 민속의 전승에 미친 영향" 한국민속학회 50 : 129-156, 2009
6 유대안, "하빈들소리의 음조직과 선율구조" 민족음악학회 (37) : 437-465, 2009
7 김영봉, "태백지역 민요의 전승현황-현장자료를 중심으로-" 강원민속학회 26 : 95-145, 2012
8 정연수, "탄광촌의 민요에 나타난 탄광촌 정체성 연구" 강원민속학회 20 : 645-669, 2006
9 충청북도, "충청북도문화재위원회 회의자료"
1 이영식, "화천 지역 노동요의 전승과 비전승 양상-『강원의 민요』와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 비교를 통하여-" 민속학연구소 (30) : 7-30, 2015
2 좌혜경, "한국민요연구사" 영주어문학회 2 : 63-73, 2000
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구비문학대계 7-9" 한국학중앙연구원 1980
4 "한국구비문학대계"
5 한양명, "한국 민속예술축제가 민속의 전승에 미친 영향" 한국민속학회 50 : 129-156, 2009
6 유대안, "하빈들소리의 음조직과 선율구조" 민족음악학회 (37) : 437-465, 2009
7 김영봉, "태백지역 민요의 전승현황-현장자료를 중심으로-" 강원민속학회 26 : 95-145, 2012
8 정연수, "탄광촌의 민요에 나타난 탄광촌 정체성 연구" 강원민속학회 20 : 645-669, 2006
9 충청북도, "충청북도문화재위원회 회의자료"
10 이창신, "충청북도 농요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8
11 이창신, "충북지역 향토민요의 전승 실태와 진단" 한국민요학회 36 : 335-360, 2012
12 변성구, "제주도 민요의 분류체계" 영주어문학회 6 : 199-234, 2003
13 이용식,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지정 민요의 전통성과 현대적 변용-어업요를 중심으로-" 한국민요학회 49 : 179-196, 2017
14 "용산면 홈페이지"
15 "영동군청 홈페이지"
16 이한길, "소리와 이야기, 탄광촌 사람들의 삶과 문화" 민속원 2009
17 임재해, "무형문화재의 가치 재인식과 창조적 계승" 한국민속학회 45 : 237-285, 2007
18 이경엽, "무형문화재와 민속 전승의 현실" 한국민속학회 40 : 293-332, 2004
19 로버트 레크만, "동양의 민족음악" 국민음악연구회 1976
20 윤길례, "구미 발갱이들소리의 지도 내용 및 생활화 방안 연구" 교원대학교 2013
21 전신재, "강원의 민요Ⅰ"
22 충청향토문화연구소, "『충청북도 전통마을 4』 : 영동 부상리 마을"
23 문화재청, "2017 무형문화재 전문위원 워크숍 자료집"
섀도잉(shadowing) 학습법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학교 수준 및 숙달도, 처치 기간과 시간을 중심으로
사록의 의미 -<삼공본풀이>와 <지장본풀이>를 중심으로
19~20세기 전반 한글간찰에서의 주제격과 목적격에 대한 표기 분석
4⋅3의 시적 형상화 방법과 전망 -제주작가회의 발간 시선집의 특징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8-06-2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Journal of Yeongju Language & Literature -> The Association of Yeongju Language & Literature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5 | 0.55 | 0.5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3 | 0.47 | 0.997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