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도시의 물리적 환경특성요인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연구 = The Effect of the Urba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the Fear of Crim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6465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람들이 도시 외부공간에서 느낄 수 있는 범죄두려움에 대해 고민하고, 이를 줄일 수 있는 환경을 설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진행하였다. 먼저 명...

      본 연구는 사람들이 도시 외부공간에서 느낄 수 있는 범죄두려움에 대해 고민하고, 이를 줄일 수 있는 환경을 설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진행하였다.
      먼저 명확한 연구 질문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사람들이 느끼는 범죄두려움 정도는 외부 공간 형태에 따라 달라지는가? 둘째, 다양한 형태의 공간에서 나타나는 범죄두려움 정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이러한 질문을 바탕으로 다양한 형태의 공간에서 나타나는 범죄두려움 정도, 특히 재개발로 인해 변화된 공간 형태에서 두려움은 어떠한지 알아보고, 보다 안전한 도시 외부공간을 만들기 위한 설계요소를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명동 가로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가로특성별 범죄두려움 정도와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범죄두려움 정도는 가로의 물리적 형태에 따라 모두 다르게 나타났으며, 특히 도시환경정비구역 내에서 재개발이 완료된 가로는 사업이 진행되지 않고 노후화된 상업가로에 비해 오히려 범죄두려움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로 폭이 좁고 건물 층수가 높아 D/H비가 클수록 두려움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인분석 결과, ‘가로의 미관’, ‘운영 및 유지관리’, ‘입·평면적 형태’, ‘주변의 용도’, ‘가로의 가시성’ 공통요인이 도출되었으며, 가로의 범죄두려움 정도에 따라 개별변인은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순위형 로짓모형 분석결과, ‘가로의 운영 및 유지관리 요인’이 범죄두려움이 높고 낮은 가로에서, ‘가로의 입·평면적 형태 요인’이 범죄두려움이 높은 가로에서, ‘주변의 용도’와 ‘가로의 가시성 요인’이 범죄두려움이 낮은 가로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또한 세부 요인들의 영향력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이는 사람들이 느끼는 가로의 범죄두려움은 하나의 물리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보다는 도출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의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범죄두려움이 낮은 안전한 가로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가시성과 개방감 확보를 위한 가로의 형태적 요소 뿐 아니라, 가로의 운영 및 관리, 저층부의 용도에 대한 설계요소의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재개발로 인해 변화된 물리적 공간 형태가 범죄두려움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이는 적절한 가로의 운영관리 및 용도 배치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가로의 물리적 환경 요소가 향후 정비사업의 개발유도지침에 강조될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도시의 물리적 환경특성이 범죄두려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본 연구는 범죄로부터 안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한 연구로서 그 필요성 및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특히, 기존 선행연구에서 강조된 두려울만한 상황인가라는 점에 집중하여 연구를 진행한 점과, 이전까지 범죄두려움에 관해 집중적으로 고민한 연구가 적다는 점에서 다른 연구와 분석 방법적, 내용적 차별성이 있다.
      (본 논문은 구지연, 2011, “도시의 물리적 환경특성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도시설계학회, 도시설계, 12권 5호의 연구내용을 보완, 발전시킨 것임을 밝혀둡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examine a fear of crime at the outdoor spaces and the necessity of environmental design. First of all, organize the questions to make things clearly. First, does the differences of outdoor spaces design have an effect on fear of crime...

      This study is to examine a fear of crime at the outdoor spaces and the necessity of environmental design. First of all, organize the questions to make things clearly. First, does the differences of outdoor spaces design have an effect on fear of crime? Second, how is the matter of degree of fear of crimes that appear from structurally different places?
      The study identifies how people experience a fear of crime according to various types of spaces, especially areas that have been modified such as redevelopment areas, to determine ways to construct the city that will allow people to feel safer when they are outside. Data source is obtained from a survey of people on the streets of Myung-Dong that determines what factors can cause a fear of crime.
      First finding shows that the physical environment is one of the main factors that influences whether people feel a fear of crime. In addition, areas that have been modified by development can also create a fear of crime. Other factors are a higher D/H Ratio, narrow width of streets and high level buildings.
      Second finding shows that there is a common between the flat structures, visibility and the shape, and the use of the street which cause of fear of crime.
      Third finding derived from the result of the Ordered Logit Model, shows that flat structures increase the fear of crime. In addition, the factors that decrease the fear of crime are the high use of the surrounding area and visibility and the shape and the use of the street as well as the maintenance can either increase or decrease the fear of crime. And also there is no degree differences between factors, which means people feel a fear of crime from complex factors not each.
      The following is the outcome of putting all the findings together.
      To build a street where people can feel safe, the shape and the use of street should be considered. Areas where modified by redevelopment could increase a fear of crime, but this could be also different by the proper maintenances and uses. this emphasizes the necessity of a guideline for further urban redevelopment plan.
      This study mainly aims to the necessity of findings the factors that can cause a fear of crime to build the street where people feel much safer than before.
      Especially, this study has differences with advanced study, because there were not many studies that mainly consider about a fear of crim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3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3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 1. 연구의 범위 4
      • 2. 연구의 방법 5
      • 제2장 이론 고찰 7
      • 제1절 안전한 도시 공간 7
      • 제2절 범죄두려움 8
      • 제3절 환경설계와 범죄예방(CPTED) 12
      • 제4절 선행연구 14
      • 1. 범죄 관련 연구 14
      • 2. 범죄두려움 연구 15
      • 3. 본 연구의 차별성 18
      • 제3장 분석 틀 20
      • 제1절 1단계 20
      • 1. 사전 설문조사 20
      • 2. 1차 설문조사 21
      • 3. 분석 방법 22
      • 제2절 분석항목 설정 24
      • 1. 연구 가설 24
      • 2. 선행연구 분석요소 검토 24
      • 제3절 2단계 29
      • 1. 2차 설문조사 29
      • 2. 실증분석 방법 31
      • 제4장 물리적 환경특성과 범죄두려움 관계 분석 36
      • 제1절 대상지 현황 36
      • 1. 가로의 물리적 형태 및 이용 현황 36
      • 2. 명동 도시환경정비구역 41
      • 제2절 1단계 : 가로특성별 범죄두려움 정도 44
      • 1. 사전 설문조사 결과 44
      • 2. 가로별 범죄두려움 정도(1차 설문조사 결과) 46
      • 3. 군집별 가로의 물리적 환경 요소 52
      • 제3절 2단계 :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 54
      • 1. 요인분석을 통한 공통요인 추출 54
      • 2. 공통요인 신뢰도분석 60
      • 3. 물리적 환경요소 공통요인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순위형 로짓모형 분석결과) 61
      • 제5장 결론 66
      • 제1절 연구의 요약 및 결론 66
      • 제2절 연구의 시사점 68
      • 참고문헌 69
      • 부록(설문지) 72
      • Abstract 8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