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철학 없는 시대 또는 시대 없는 철학 = Epoch in the Absence of Philosophy or Philosophy in the Absence of Epo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099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한국철학사상연구회(한철연)의 역사를 `시대와 철학`이라는 모토 하에서 정체성의 변화 과정을 추적하고 있다. 한철연은 `시대의 혼`이자 `시대 모순의 반역자`이고자 하는 생산자...

      이 논문은 한국철학사상연구회(한철연)의 역사를 `시대와 철학`이라는 모토 하에서 정체성의 변화 과정을 추적하고 있다. 한철연은 `시대의 혼`이자 `시대 모순의 반역자`이고자 하는 생산자적이고 비판적인 주체적 철학을 모색하는 `학술운동`으로부터 출발하였다. 그러나 한철연의 잡지인 『시대와 철학』이 두 개의 창간호를 가지고 있으며 이 두 개의 칭간호가 1987년과 1991년이라는 점에서 이미 두 개의 간극, 사이 속에서 탄생했으며 이 긴장을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해 왔다. 시대와 철학은 언제나 일정한 간극 속에서 갈등을 생산한다. 그러나 철학은 시대와 연결됨으로써 `시대정신`을 생산하는 철학이 될 수 있으며 시대는 철학을 통해서 대안적 삶의 새로운 정신을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한철연의 역사에서 이 두 개의 결합은 `철학 없는 시대`에서 `철학 있는 시대`로의 시도를 거쳐, `시대 없는 철학`으로 퇴색되어 왔다. `시대 없는 철학`은 대학의 신자유주의적 포섭과 한국학술진홍재단으로의 체제내화와 관련되어 있었다. 철학의 다양성이 확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철학은 `실적 쌓기`, `지적 유희`의 대상이 되었다. 이런 점에서 이 논문은 한철연이 `시대와 철학`의 긴장을 유지하려는 애초의 초심으로 되돌아가 사유의 풍부함을 현대화하고 가난한 자들의 철학이면서 비판적이고 주체적인 철학을 조직적으로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essay, I will make a search for identity of Korea Association for Studies of Philosophical Thought(KASPT) in view of the motto epoch and philosophy. The beginning of KASPT is an academic movement in quest of a philosophy of maker(labour), a cr...

      In this essay, I will make a search for identity of Korea Association for Studies of Philosophical Thought(KASPT) in view of the motto epoch and philosophy. The beginning of KASPT is an academic movement in quest of a philosophy of maker(labour), a critical philosophy, subjective philosophy wish to a soul of epoch and insurgent of epoch contradiction. But Epoch and Philosophy, journal of KASPT hold on abnormal history that the issue initial number is two. Identity of Philosophical Thought previously originate and inherent in a gap, an interval in between two issue initial number in that each of two issue initial number publish in 1987 and 1991. Epoch and philosophy lead to complications in a gap, an interval in between them. But philosophy can play the role of a philosophy producing the spirit of the age by interfacing epoch and epoch can realize new spirit of alternative life by interfacing philosophy. But in the history of KASPT, a connectin of both have changed from a age seek after epoch in combination with philosophy at epoch in the absence of philosophy to philosophy in the absence of epoch. Philosophy in the absence of epoch has been molded by the environment in which neo-liberalism seizure the university and Korea Research Foundation code a researcher by research and development expenditures. Although philosophy is diversified, study of philosophy turn into a object of giving actual result , scholastic amusements. For this reason, this essay assert that KASPT go back to one s original intention pursued a state of tension between epoch and philosophy and modernize philosophy based on abundance of thinking and explore ways toward a philosophy of the poor, critical philosophy, subjective philosoph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편집부, 까치 1987

      2 박석준, "황제내경의 몸에 대한 이해" 2006

      3 이상호, "현대신유학이란 무엇인가?" 동녘 (7) : 1993

      4 이철승, "현대신유학비판(Ⅱ)" 동녘 (7) : 1993

      5 유흔우, "현대신유학비판(Ⅰ)" 동녘 (7) : 1993

      6 문성원, "현대성과 진보의 문제" 동녘 (12) : 1996

      7 박찬국, "현대기술문명의 본질과 위기에 관한 하이데거의 사상" 동녘 (11) : 1995

      8 황희경, "현대 중국의 자유주의 이해" 2001

      9 유현상, "헤겔역사철학에서의 진보에 대한 이해" 동녘 (12) : 1996

      10 이정은, "헤겔 정신현상학에서 절대지의 의미" 2007

      1 편집부, 까치 1987

      2 박석준, "황제내경의 몸에 대한 이해" 2006

      3 이상호, "현대신유학이란 무엇인가?" 동녘 (7) : 1993

      4 이철승, "현대신유학비판(Ⅱ)" 동녘 (7) : 1993

      5 유흔우, "현대신유학비판(Ⅰ)" 동녘 (7) : 1993

      6 문성원, "현대성과 진보의 문제" 동녘 (12) : 1996

      7 박찬국, "현대기술문명의 본질과 위기에 관한 하이데거의 사상" 동녘 (11) : 1995

      8 황희경, "현대 중국의 자유주의 이해" 2001

      9 유현상, "헤겔역사철학에서의 진보에 대한 이해" 동녘 (12) : 1996

      10 이정은, "헤겔 정신현상학에서 절대지의 의미" 2007

      11 박지용, "헤겔 정신현상학에서 인륜성과 도덕성" 2007

      12 이종철, "헤겔 정신현상학에서 방법과 이행의 문제" 2007

      13 이병창, "해방 이후 북한철학사-의식, 문화, 도덕, 심리에 관한 철학을 중심으로" 동녘 (9) : 1994

      14 현남숙, "해러웨이, 기술과학 안에서 전략적 장으로서의 물질-기호적 몸" 2008

      15 이현구, "한문서학서와 근대적 학술 용어 형성의 문제" 2003

      16 이현구, "한문 서학서와 근대적 학술 용어 형성의 문제" 2004

      17 권상옥, "한국에서 의철학 하기" 2006

      18 정해광, "한국성리학 원전번역과 철학서를 통해 본 한국의 근대" 2003

      19 이병창, "한국 인문학의 어제와 오늘, In 현실의 인문학, 변화하는 인문학 ― 인문학 어떻게 할 것인가 자료집" 2007

      20 김갑수, "한국 근대에서의 도가 및 제자철학의 이해와 번역" 2003

      21 권인호, "한국 ‘근대 철학’, 왜 그리고 어떻게 할 것인가" 동녘 (13) : 1995

      22 이국배, "하버마스에게 마르크스주의란 무엇인가" 동녘 (5) : 1993

      23 이기백, "필를라오스의 세가지 근본원리들과 수" 2002

      24 이정우, "프랑스철학 원전번역과 한국의 근현대" 2004

      25 이정우, "프랑스 철학의 번역․연구―1953년까지" 2003

      26 박민미, "푸코의 근대권력 비판을 통해 본 여성의 몸에 대한 법적 규율" 2008

      27 박민미, "푸코의 근대 권력 비판과 성-주체" 2004

      28 김성민, "포스트모던 페미니즘과 유토피아-여성은 주체로서 가능한가" 시철출판사 (18) : 1999

      29 양운덕, "포스트 마르크스주의의 사회 논리-마르크스주의 해체와 민주주의 전략" 동녘 (5) : 1993

      30 서도식, "편집인의 말"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9 (19): 2008

      31 한국철학사상연구회, "페레스트로이카와 철학논쟁" 녹진 1990

      32 강철웅, "파르메니데스에서 노에인과 레게인-B6과 B7의 이른바 ‘감각비판’ 대목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2002

      33 서영화, "크리스테바의 반항하는 주체와 성주체" 2004

      34 이부현, "칸트와 셀링의 자연철학" 동녘 (5) : 1993

      35 양운덕, "총체적 역사이성에 대한 부정-카스토리아디스의 마르크스주의 비판" 동녘 (8) : 1994

      36 서유석, "촛불이 요구하는 ‘성찰’"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9 (19): 2008

      37 편집부, "철학은 시대의 혼이다" 천지 (1) : 1990

      38 김재현, "철학원전 번역을 통해 본 우리의 근현대" 2003

      39 이병창, "철학운동"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9 (19): 2008

      40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철학대사전" 동녘 1989

      41 이정은, "철학과 예술의 관계: 현대를 가르는 벤야민과 헤겔의 예술 철학적 통찰을 통해" 2000

      42 황희경, "철저재건론자들의 중국문화 탐색" 동녘 (4) : 1992

      43 편집부, "책머리에" 동녘 (14) : 1997

      44 편집부, "책머리에" 동녘 (4) : 1992

      45 편집부, "책머리에" 동녘 (2) : 1991

      46 편집부, "책머리에" 동녘 (3) : 1991

      47 편집부, "책머리에" 동녘 (8) : 1994

      48 김시천, "착종된 근대―서구 동양철학 연구서 번역에 나타난 근대와 전근대의 이중주" 2004

      49 박성수, "질 들뢰즈의 반변증법 이론의 구조" 동녘 (6) : 1993

      50 우기동, "진화론적 자연관과 변증법" 동녘 (6) : 1993

      51 선우현, "진보와 보수의 공존-하버마스 진보관의 의의와 한계" 동녘 (12) : 1996

      52 민찬홍, "지향성과 분석철학-해석론, 인과론, 자연화" 동녘 (14) : 1997

      53 조경란, "중국의 근대와 자유주의 사상" 2001

      54 양일모, "중국의 근대와 번역" 2003

      55 양일모, "중국의 근대와 번역" 2004

      56 김동기, "중국 사상에 나타난 인간과 자연" 동녘 (5) : 1993

      57 홍건영, "주체사상체계 확립 이후의 북한철학-철학적 원리와 사회역사적 원리를 중심으로" 동녘 (9) : 1994

      58 이병수, "주체사상의 보편화 및 체계화 과정에 대한 분석" 동녘 (9) : 1994

      59 홍원식, "주자학적 세계관의 선택-척사 위정파의 사상과 운동" 동녘 (13) : 1995

      60 윤구병, "좌담: 페레스트로이카에 대한 철학적 반성" 천지 (1) : 1990

      61 최한빈, "종교 문화 속에서 초월: 초월에 대한 열정과 그 형식" 2000

      62 이병창, "정신현상학에서 헤겔의 칸트 비판" 2007

      63 황성만, "전통, 계승과 창조의 두 길" 동녘 (7) : 1993

      64 문성원, "자유주의와 정의의 문제" 2001

      65 홍영두, "자유주의와 인륜성의 문제" 2001

      66 김우철, "자본의 변증법적 모순 구조" 동녘 (5) : 1993

      67 김주일, "일제 강점기의 서양 고대철학 연구와 번역 현황에 대한 연구" 2003

      68 김동기, "일본의 번역과 근대" 2003

      69 박정하, "인문학교육으로서의 글쓰기교육, In 현실의 인문학, 변화하는 인문학 ― 인문학 어떻게 할 것인가 자료집" 2007

      70 최종덕, "인간의 진보와 자연의 진보의 비선형적 역사 모형" 동녘 (12) : 1996

      71 강순전, "이성에서 정신으로-헤겔의 이성 개념에 대한 계보학적 해명" 2007

      72 이지영, "이미지의 물질성과 내재성에 대한 연구" 2003

      73 문성원, "이미지와 표현의 문제-무한의 거울로서의 영화?" 2003

      74 황주영, "이리가레, 어머니의 육체와 여성의 정체성" 2008

      75 소홍렬, "이런 시대, 이런 철학" 동녘 (7) : 1993

      76 최종덕, "의학의 문화 상호성" 2006

      77 반덕진, "의철학, 생명의료윤리학 그리고 히포크라테스 선서" 2006

      78 김세서리아, "음양 개념의 이해에서 나타나는 성차를 넘어서" 2000

      79 연효숙, "윤리적 주체와 차이의 존재론-니체, 푸코 사유의 안과 밖 그리고 여성" 2000

      80 김범춘, "유토피아와 이데올로기" 시철출판사 (18) : 1999

      81 이정은, "유토피아와 여성-생물학적 여성과 사회 역사적 여성의 상호작용" 시철출판사 (18) : 1999

      82 서도식, "유기적 전체모델에 따른 마르크스 역사관의 재해석" 동녘 (7) : 1993

      83 김세서리아, "유교적 도덕 주체와 성주체" 2004

      84 연효숙, "위기의 니힐리즘 그리고 유토피아" 시철출판사 (18) : 1999

      85 김재현, "월북철학자들" 천지 (1) : 1990

      86 이만근, "우리는 변증법에 무엇을 줄 수 있는가" 동녘 (3) : 1991

      87 조남호, "요사이 논어 해석의 문제점" 2001

      88 강신익, "왜 인문학인가―인문의학의 관점에서, In 현실의 인문학, 변화하는 인문학 ― 인문학 어떻게 할 것인가 자료집" 2007

      89 최훈, "올바른 번역―1960년대 이후 영미철학 번역의 경우" 2004

      90 이병창, "영화의 자유간접화법과 들뢰즈의 생성의 철학" 2003

      91 조광제, "영화 이미지와 몸" 2003

      92 장춘익, "역사유물론과 역사유물론의 재구성-마르크스와 하버마스를 비교하는 한 관점" 동녘 (8) : 1994

      93 설헌영, "역사변증법과 비판이론" 동녘 (6) : 1993

      94 이훈, "역사 변증법과 문화 변증법" 2000

      95 이정은, "여성의 언어 다시 쓰기, 상상력과 의미 사이에서" 2000

      96 현남숙, "여성; 차이와 정체성" 2000

      97 주은영, "엠페도클레스의 4뿌리-파르메니데스의 진리편 및 doxa편과의 비교-" 2002

      98 김주일, "엘레아 학파의 전승과 성립" 2002

      99 박성수, "애니메이션 이미지의 미학적 특성" 2003

      100 문성원, "알뛰세르의 마르크스주의 위기론" 동녘 (5) : 1993

      101 김인곤, "아낙시만드로스의 아페이론" 2002

      102 이상훈, "실천적 역사유물론의 옹호" 동녘 (8) : 1994

      103 전호근, "신성한 경전에서 삶의 텍스트로―유가철학 원전 번역을 통해 본 우리의 근대" 2003

      104 강범석, "시각의 로고스를 넘어서-플라톤과 데카르트의 시각주의를 중심으로" 시철출판사 (18) : 1999

      105 이지영, "스피노자, 신체의 역량과 책임의 문제" 2008

      106 정해광, "스페인 철학원전 번역을 통해 본 한국의 현대―오르떼가를 중심으로" 2004

      107 이성백, "스탈린주의의 기원" 동녘 (5) : 1993

      108 우기동, "소외된 삶과 호흡하는 인문학은 가능한가, In 현실의 인문학, 변화하는 인문학 ― 인문학 어떻게 할 것인가 자료집" 2007

      109 김재현, "소련철학에서 ‘인간론’의 지평" 동녘 (2) : 1991

      110 김홍경, "성자의 유희" 2000

      111 정규훈, "성경번역을 통해 본 한국 근대" 2003

      112 김성민, "성, 문명, 해방-라이히, 마르쿠제의 프로이트 마르크스주의와 푸코를 중심으로" 2000

      113 황성만, "서체중용과 중국적 마르크스주의" 동녘 (4) : 1992

      114 강신익, "서양의학 속 몸의 역사" 2006

      115 김재홍, "서양 고전 읽기의 의의와 방법-철학적 계몽을 위하여" 2001

      116 정준영, "서양 고전 번역의 성격과 의미-희랍철학을 중심으로" 2001

      117 김주일, "서양 고대철학 원전 번역의 동향과 문제점" 2004

      118 박준건, "생태학과 사회철학" 동녘 (5) : 1993

      119 조병희, "생의학과 한의학의 사회적 관계: 갈등과 통합" 2006

      120 조광제, "삶과 죽음을 이미 넘어선 몸" 시철출판사 (18) : 1999

      121 조경란, "사회주의 중국에서의 역사유물론에 대한 철학적 검토" 동녘 (5) : 1993

      122 이만근, "사회 발전의 변증법-생산력과 생산관계를 중심으로" 동녘 (2) : 1991

      123 이상훈, "사이버 스페이스의 토포스" 시철출판사 (18) : 1999

      124 유동환, "비판계승론의 문화전략" 동녘 (4) : 1992

      125 연효숙, "비극 의식의 미학과 자의식" 2000

      126 박영욱, "분석 마르크스주의-마르크스주의의 왜곡된 현재화" 동녘 (5) : 1993

      127 김범춘, "분석 마르크스주의의 인간관 비판" 동녘 (7) : 1993

      128 이훈, "북한철학의 흐름" 동녘 (9) : 1994

      129 김교빈, "북한철학계의 전통철학 연구 경향과 앞으로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연구" 동녘 (9) : 1994

      130 이영철, "북한의 주체철학에 대하여" 천지 (1) : 1990

      131 이상훈, "북한에서의 서양철학" 동녘 (9) : 1994

      132 이훈, "변증법적 사유 그리고 변증법 연구" 동녘 (6) : 1993

      133 우기동, "변증법적 결정론과 역사법칙" 천지 (1) : 1990

      134 강순전, "변증법은 우리에게 무엇을 줄 수 있는가" 동녘 (2) : 1991

      135 우기동, "변증법은 과학적인가, 규제적인가" 동녘 (4) : 1992

      136 정남영, "백낙청-민족적 실천과 ‘지혜’ 의 철학-‘과학’을 넘어서" 동녘 (13) : 1996

      137 김재현, "박현재-비판 이론으로서 ‘민족경제론’" 동녘 (13) : 1996

      138 박경환, "민중의 철학 사상과 실천-전통 철학 계승과 극복으로서의 동학사상" 동녘 (13) : 1995

      139 이찬훈, "문화연구와 이데올로기론-문화연구에서 마르크스주의는 진보적인가" 동녘 (12) : 1996

      140 김성환, "문화 벤처를 위한 철학" 2000

      141 강지은, "맑스주의로 읽는 여성 주체와 여성성" 2004

      142 홍영두, "마르크스주의철학 연구사와 번역의 문제―1920년부터 1953년까지" 2003

      143 이병수, "마르크스주의와 인간론" 천지 (1) : 1990

      144 박준건, "마르크스의 기술관-마르크스는 기술결정론자인가" 동녘 (11) : 1995

      145 이찬훈, "마르크스가 본 인간과 자연" 동녘 (5) : 1993

      146 이상훈, "마르크스 역사이론의 재구성(Ⅰ)" 동녘 (7) : 1993

      147 박영욱, "리오타르의 형상/담론의 이분법에 대한 고찰" 2003

      148 박병기, "리영희-휴머니즘으로서 이데올로기 비판" 동녘 (13) : 1996

      149 김성민, "로자 룩셈부르크의 정치철학을 통해 본 마르크스주의" 동녘 (5) : 1993

      150 박정호, "레닌의 민주주의론에 대한 재검토" 동녘 (2) : 1991

      151 연효숙, "들뢰즈와 가타리의 유목주의와 욕망론 그리고 여성적 주체" 2004

      152 이지훈, "두 대화: 스피노자적 미학으로 읽는 현대 프랑스철학" 동녘 (14) : 1997

      153 김교빈, "동양학은 현실과 만날 수 있는가, In 현실의 인문학, 변화하는 인문학 ― 인문학 어떻게 할 것인가 자료집" 2007

      154 김시천, "동양학과 진보론-진보 관념의 검토와 동양사회정체론 비판" 동녘 (12) : 1996

      155 이숙인, "동양고전 다시 읽기-보편의 신화를 넘어서" 2001

      156 이현구, "동양 전통사회의 기술관" 동녘 (11) : 1995

      157 김교빈, "동아시아 근대민중운동에 나타난 유토피아 사상" 시철출판사 (18) : 1999

      158 홍영두, "독일 근현대 사회철학 원전번역과 우리의 현대―1950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2004

      159 이정호, "데모크리토스의 인식문제 관련 토막글 연구" 2002

      160 최종덕, "대학 교양교육의 위기와 인문학의 미래, In 현실의 인문학, 변화하는 인문학 ― 인문학 어떻게 할 것인가 자료집" 2007

      161 문성원, "당파성과 철학" 천지 (1) : 1990

      162 권인호, "김지하-저항 정신과 후천개벽적 생명 사상" 동녘 (13) : 1996

      163 강성화, "기술철학의 근본문제" 동녘 (11) : 1995

      164 박재순, "기독교의 유토피아 사상: 하나님의 나라" 시철출판사 (18) : 1999

      165 이종란, "근대로 나아가는 철학의 길-개화 운동의 철학 사상" 동녘 (13) : 1995

      166 정준영, "근대 한국 사회에서 서양 중세 철학의 수용과 번역의 문제―개화기에서 1953년까지" 2003

      167 김동기, "근대 일본 철학의 형성과 번역" 2004

      168 최종욱, "그래, 아직도 맑스냐" 동녘 (3) : 1991

      169 전호근, "광복 이후 최근까지의 유가 철학 원전 번역―『논어』를 중심으로" 2004

      170 우기동, "과학적 탐구 방법과 구체적 보편-변증법적 자연철학에 관한 시론" 동녘 (5) : 1993

      171 양운덕, "계몽적 이성에 관하여" 2007

      172 김시천, "거울과 프리즘-서양인의 <노자> 읽기" 2001

      173 서유석, "개체론적 마르크스주의의 방법론적 한계에 대하여" 동녘 (7) : 1993

      174 박성수, "가치론과 역사유물론" 동녘 (5) : 1993

      175 김은주, "“조에(zoē)”의 긍정성과 육체" 2008

      176 우기동, "‘희망’이 난무하는 시절"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9 (19): 11-17, 2008

      177 홍원식, "‘유교자본주의’와 현대중국" 동녘 (4) : 1992

      178 홍원식, "‘유교문화권’과 자본주의의 발달" 동녘 (7) : 1993

      179 우기동, "‘독일근현대철학’에 관한 연구사와 번역의 문제―일제하에서 1950년대 초까지" 2003

      180 황지윤, "Th. W. Adorno의 자유주의 비판" 2001

      181 Althusser, Louis, "Philosophy and the Spontaneous Philosophy of the Scientists & other essays" Verso 1990

      182 김성우, "Locke, 자유주의, 신자유주의" 2001

      183 이병창, "80년대 한국사회와 철학" 천지 (1) : 1990

      184 이병수, "50년대까지 영미 철학의 수용과 번역의 문제" 2003

      185 정규훈, "21세기 한국의 성경번역" 2004

      186 황희경, "1990년대 중국 학술계의 동향-인문정신논쟁을 중심으로" 동녘 (14) : 1997

      187 김덕균, "1960년대 이후 신유학 관련 원전번역의 현황과 문제" 2004

      188 김갑수, "1960년대 이후 도가 및 제자철학 원전 번역에 대한 연구" 2004

      189 김재현, "1953년 이후 철학 원전의 번역과 한국의 근대성" 2004

      190 김덕균, "1950년대 중반 이전까지의 신유학관련 철학원전 번역 실태에 나타난 근대성" 2003

      191 정준영, "1950년대 이후 서양 중세철학 원전 번역의 실태―종교성과 학문성의 갈림길" 2004

      192 우기동, "1950년대 이후 독일 근현대 철학의 원전번역과 근대적 지성―칸트, 헤겔, 하이데거를 중심으로"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10-0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A semiannually Journal of Philosophical Thought in Korea -> EPOCH AND PHILOSOPHY -A Journal of Philosophical Thought in Korea-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2 1.3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