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박은 1주에 1과를 착과하므로 다착과 작물에 비하여 낙과되는 경우 경제성이 낮아져 재배 농업인들은 착과기에 각별히 주의해서 관리해야 한다. 최근에는 꿀벌을 이용한 수분이 주를 이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87708
2021
Korean
3903
학술저널
94-94(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수박은 1주에 1과를 착과하므로 다착과 작물에 비하여 낙과되는 경우 경제성이 낮아져 재배 농업인들은 착과기에 각별히 주의해서 관리해야 한다. 최근에는 꿀벌을 이용한 수분이 주를 이루...
수박은 1주에 1과를 착과하므로 다착과 작물에 비하여 낙과되는 경우 경제성이 낮아져 재배 농업인들은 착과기에 각별히 주의해서 관리해야 한다. 최근에는 꿀벌을 이용한 수분이 주를 이루지만 아직도 농업인이 화분을 암술에 직접 수분시켜주는 경우가 많다. 지속적인 농촌 인력의 노령화와 감소는 인건비의 상승으로 이어져 착과기에 인공수분을 실시하는 농가는 꿀벌 이용 수분 처리 대비 많은 생산비를 유발하며 포복작업의 고된 노동으로 근골격계의 질환을 유발할 수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 이에 반촉성작형에서 인공수분과 꿀벌 이용 수분의 착과율, 과실특성, 경제성 등을 비교 분석하여 농업인에게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추진하였다. 반촉성 시설수박의 꿀벌을 이용한 착과시험 수행을 위하여 조생흑미를 시험품종으로 하여 3월 13일에 정식하였다. 덩굴은 활착 후 어미덩굴을 적심하여 아들덩굴 3개를 유인하였다. 인공수분은 오전에 실시하였고 화분매개곤충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충망을 설치하였으며 살충제를 사전에 살포하였다. 꿀벌 이용 수분 처리의 꿀벌은 봉군수가 5,000여 마리가 되는 벌통을 투입하였다. 조사는 화분 발아율, 착과율, 과실 및 종자특성 등을 실시하였다. 인공수분과 꿀벌 이용 수분 전에 조사한 화분 발아율은 각각 82.5%, 83.1%로 비슷하였으며, 착과기간(4일) 내 착과된 과실은 인공수분 94.6%, 꿀벌 이용 수분 93.3%로 두처리 모두 착과율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수확기 과중은 인공수분 처리가 약간 높았으며 이에 따라 과장과 과폭도 컸다. 과실 당도는 인공수분 처리와 꿀벌 수분 처리가 비슷한 경향이었으며 부위별로는 과피부위 > 중심부위 > 배꼽부위 > 과경부위 순으로 높았다. 과실의 완숙된 종자는 꿀벌 수분 처리가 695.9립으로 인공수분 처리 647.2립보다 많았으며 완숙 종자무게는 비슷하였다.
완전단감 및 수꽃 착생개체 선발을 위한 SCAR(Sequence Charcterized Amlplified Region) 분자표지 실효성 검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