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Factors influencing the water footprint of grain and commercial crops in the Philippines : 필리핀에서 생산되는 곡물 및 경제작물의 물발자국 영향 인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6566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아시안 개발 은행은 2013년 필리핀 식량안보가 고위험군에 속하고 있음을 선언하였으며,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기상현상 발생, 특히 가뭄 발생은 해마다 필리핀의 농업생산성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필리핀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지역으로써, 수도권에 최대의 식량 공급처인 칼라바 지역(Region IV-A)을 대상으로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주요 농산물의 물발자국(WF: water footprit) 변화에 영향을 주는 주요 인자를 분류하기 위하여 물발자국 네트워크 접근방식과 Least Divisia Mean Index를 적용하여 대상지역에서 생산되는 주요 농산물의 물발자국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물발자국은 대상지역 내 작물 종류와 소도시별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곡물 및 경제작물 생산량에 대한 물발자국은 2002년 4,080x106㎥에서 2020년 5,059x106㎥로 증가했으며, 연평균 증가률은 24%를 나타내었다. 물발자국을 증가시키는 주요 인자는 가상수량, 작물 생산량, 작물 종류별 재배면적 등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작물종류별 물발자국은 경제작물이 곡물보다 더 많은 물발자국 수치를 나타내었는데, 경제작물 중 코코넛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파인애플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곡물의 경우 물발자국은 쌀이 가장 높았으며, 옥수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코코넛, 망고, 바나나, 파인애플, 쌀, 옥수수 순으로 물발자국이 낮게 나타났다. 소도시별 물발자국은 퀴존(quezon)지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바탕가스(Batangas), 라구나(Laguna), 카비테(cavite), 리잘(Rizal) 순으로 낮아졌다.
      향후 보다 세분화된 지역별 물발자국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물발자국 결과를 바탕으로 물사용량과 식량안보와 연계하여 지역별 작물 재배 계획 및 정책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아시안 개발 은행은 2013년 필리핀 식량안보가 고위험군에 속하고 있음을 선언하였으며,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기상현상 발생, 특히 가뭄 발생은 해마다 필리핀의 농업생산성에 부정적 영향...

      아시안 개발 은행은 2013년 필리핀 식량안보가 고위험군에 속하고 있음을 선언하였으며,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기상현상 발생, 특히 가뭄 발생은 해마다 필리핀의 농업생산성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필리핀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지역으로써, 수도권에 최대의 식량 공급처인 칼라바 지역(Region IV-A)을 대상으로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주요 농산물의 물발자국(WF: water footprit) 변화에 영향을 주는 주요 인자를 분류하기 위하여 물발자국 네트워크 접근방식과 Least Divisia Mean Index를 적용하여 대상지역에서 생산되는 주요 농산물의 물발자국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물발자국은 대상지역 내 작물 종류와 소도시별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곡물 및 경제작물 생산량에 대한 물발자국은 2002년 4,080x106㎥에서 2020년 5,059x106㎥로 증가했으며, 연평균 증가률은 24%를 나타내었다. 물발자국을 증가시키는 주요 인자는 가상수량, 작물 생산량, 작물 종류별 재배면적 등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작물종류별 물발자국은 경제작물이 곡물보다 더 많은 물발자국 수치를 나타내었는데, 경제작물 중 코코넛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파인애플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곡물의 경우 물발자국은 쌀이 가장 높았으며, 옥수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코코넛, 망고, 바나나, 파인애플, 쌀, 옥수수 순으로 물발자국이 낮게 나타났다. 소도시별 물발자국은 퀴존(quezon)지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바탕가스(Batangas), 라구나(Laguna), 카비테(cavite), 리잘(Rizal) 순으로 낮아졌다.
      향후 보다 세분화된 지역별 물발자국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물발자국 결과를 바탕으로 물사용량과 식량안보와 연계하여 지역별 작물 재배 계획 및 정책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INTRODUCTION 1
      • 1.1 Water scarcity 1
      • 1.2 Water and food security in the Philippines 1
      • 1.3 Water footprint in the Philippines 2
      • 1.4 Study objectives 4
      • 1. INTRODUCTION 1
      • 1.1 Water scarcity 1
      • 1.2 Water and food security in the Philippines 1
      • 1.3 Water footprint in the Philippines 2
      • 1.4 Study objectives 4
      • 1.5 Scope 4
      • 2. LITERATURE REVIEW 6
      • 2.1. Water footprint accounting 6
      • 2.2. Water and food security 8
      • 2.3. Logarithmic index decomposition in water studies 9
      • 3. MATERIALS AND METHODS 11
      • 3.1 Study area 11
      • 3.2 Selected crops and data sources 13
      • 3.3 Water footprint estimation 16
      • 3.5 Decomposition analysis 22
      • 4. RESULTS AND DISCUSSIONS 25
      • 4.1 Water footprint of crops 25
      • 4.2 Spatio-temporal trend in crop production water footprints 30
      • 4.4 Driving factors of changes in water footprint 38
      • 5.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43
      • [SUMMARY] 46
      • [REFERENCES] 48
      • [ABSRACT IN KOREAN] 57
      • [APPENDIXES] 5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