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소년부터 노년까지, 체조페스티벌 참여에 따른 세대교류 경험 연구 = Intergenerational interaction through participation in exercise festival: Experience of youth through elderl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609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meaning of generational exchange experiences through physical activities of various generations from youth to the elderly in a social context.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meaning of the generation exchange experience of the gymnastics festival for the participants? Second, if you interpret the meaning of generational exchange for each generation,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Therefore, two teams from various generations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participants of the ‘Active-aging Health Exercise Festival’ held in 2019 at Yonsei University, and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18 participants in children/youth/adults/elder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meaning of the generational exchange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s was represented through three upper categories: ‘joy to be together’, ‘care or withdrawal’, and ‘transition of perception’, and the meaning of this result for each generation was analyzed.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festival became an ‘opportunity’ that led to the special experiences, new discoveries, positive changes, and mental growth of the study participants. Based on thi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quality of the integrated generational education program and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generational exchange, and for this, events such as exercise festivals should be held regularl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meaning of generational exchange experiences through physical activities of various generations from youth to the elderly in a social context.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meaning of generational exchange experiences through physical activities of various generations from youth to the elderly in a social context.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meaning of the generation exchange experience of the gymnastics festival for the participants? Second, if you interpret the meaning of generational exchange for each generation,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Therefore, two teams from various generations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participants of the ‘Active-aging Health Exercise Festival’ held in 2019 at Yonsei University, and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18 participants in children/youth/adults/elder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meaning of the generational exchange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s was represented through three upper categories: ‘joy to be together’, ‘care or withdrawal’, and ‘transition of perception’, and the meaning of this result for each generation was analyzed.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festival became an ‘opportunity’ that led to the special experiences, new discoveries, positive changes, and mental growth of the study participants. Based on thi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quality of the integrated generational education program and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generational exchange, and for this, events such as exercise festivals should be held regular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소년부터 노년까지, 체조 페스티벌 참여로 인한 세대교류 경험은 어떠한지 이해하고, 각 세대별로 이것이 의미하는 바를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조 페스티벌 참여에 따른 세대교류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 둘째, 세대교류 경험의 의미는 각 세대별로 어떠한 특성이 있는가? 이를 위해 연세대학교에서 2019년도에 개최된 ‘Active-aging 건강운동 페스티벌’ 참여자 중 다양한 세대가 참여한 두 팀을 선정하여 유소년⋅청년⋅중장년⋅노년 참여자 총 18명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여자들의 세대교류 경험의 의미는 ‘함께 하는 기쁨’, ‘배려 혹은 물러남’, ‘인식의 전환’의 세 가지 상위 범주를 통해 대표 되었으며, 이 결과가 각 세대에게 의미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유소년 참여자들에게는 긍정적 사회적지지 경험의 기회가 되었으며, 이를 통해 자기 자신과 사회 구성원들에게 긍정적 인식을 형성할 수 있게 된 교육적 의미가 있다. 청년 참여자들에게는 나이 많은 참여자들과 동등한 입장에서의 활동함을 통해 사회 경험의 틀을 확장하는 기회가 되었다. 중⋅장년 참여자들은 다른 세대 참여자들을 배려하는 자세를 보였으며, 이는 세대 간 중간자적 입장에서 이해의 폭을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노년 참여자들에게는 연령을 제약으로 인식하지 않고 사회참여를 감사한 마음으로 지속하여 성취감을 얻게 된 긍정적 의미가 있다.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세대 별 교류의 사회적 의미를 논의하였으며, 세대교류 기회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유소년부터 노년까지, 체조 페스티벌 참여로 인한 세대교류 경험은 어떠한지 이해하고, 각 세대별로 이것이 의미하는 바를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유소년부터 노년까지, 체조 페스티벌 참여로 인한 세대교류 경험은 어떠한지 이해하고, 각 세대별로 이것이 의미하는 바를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조 페스티벌 참여에 따른 세대교류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 둘째, 세대교류 경험의 의미는 각 세대별로 어떠한 특성이 있는가? 이를 위해 연세대학교에서 2019년도에 개최된 ‘Active-aging 건강운동 페스티벌’ 참여자 중 다양한 세대가 참여한 두 팀을 선정하여 유소년⋅청년⋅중장년⋅노년 참여자 총 18명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여자들의 세대교류 경험의 의미는 ‘함께 하는 기쁨’, ‘배려 혹은 물러남’, ‘인식의 전환’의 세 가지 상위 범주를 통해 대표 되었으며, 이 결과가 각 세대에게 의미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유소년 참여자들에게는 긍정적 사회적지지 경험의 기회가 되었으며, 이를 통해 자기 자신과 사회 구성원들에게 긍정적 인식을 형성할 수 있게 된 교육적 의미가 있다. 청년 참여자들에게는 나이 많은 참여자들과 동등한 입장에서의 활동함을 통해 사회 경험의 틀을 확장하는 기회가 되었다. 중⋅장년 참여자들은 다른 세대 참여자들을 배려하는 자세를 보였으며, 이는 세대 간 중간자적 입장에서 이해의 폭을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노년 참여자들에게는 연령을 제약으로 인식하지 않고 사회참여를 감사한 마음으로 지속하여 성취감을 얻게 된 긍정적 의미가 있다.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세대 별 교류의 사회적 의미를 논의하였으며, 세대교류 기회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재흥, "한국의 세대문제 : 차이와 갈등을 넘어서" 나남출판 2005

      2 이성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본 지역사회 세대 간 교류에 대한 유아교육 전문가의 인식" 유아교육연구소 22 (22): 280-302, 2020

      3 이하연, "컬렉티브하우스의 세대 간 교류를 위한 물리적 환경 및 프로그램 연구 -일본 도쿄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1 (21): 565-576, 2015

      4 황여정, "청소년의 세대통합역량 증진을 위한 지원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396, 2016

      5 한정란, "청소년과 노년 세대간 태도 분석: 상호지향성 및 중요도-실행도 분석모형을 기초로" 한국노년학회 26 (26): 381-402, 2006

      6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Ⅰ : Bricoleur" 아케데미프레스 2016

      7 고미영, "질적사례연구" 청목출판사 2009

      8 신경림, "질적 연구 방법론" 이화여자학교 출판부 2004

      9 박미진, "중간세대의 노인교육과 세대공동체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 평생교육기관 참여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10 황재홍, "인간의 협조적 행위와 강한 상호성에 대한 문헌연구" 한국사회경제학회 (45) : 7-46, 2014

      1 박재흥, "한국의 세대문제 : 차이와 갈등을 넘어서" 나남출판 2005

      2 이성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본 지역사회 세대 간 교류에 대한 유아교육 전문가의 인식" 유아교육연구소 22 (22): 280-302, 2020

      3 이하연, "컬렉티브하우스의 세대 간 교류를 위한 물리적 환경 및 프로그램 연구 -일본 도쿄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1 (21): 565-576, 2015

      4 황여정, "청소년의 세대통합역량 증진을 위한 지원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396, 2016

      5 한정란, "청소년과 노년 세대간 태도 분석: 상호지향성 및 중요도-실행도 분석모형을 기초로" 한국노년학회 26 (26): 381-402, 2006

      6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Ⅰ : Bricoleur" 아케데미프레스 2016

      7 고미영, "질적사례연구" 청목출판사 2009

      8 신경림, "질적 연구 방법론" 이화여자학교 출판부 2004

      9 박미진, "중간세대의 노인교육과 세대공동체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 평생교육기관 참여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10 황재홍, "인간의 협조적 행위와 강한 상호성에 대한 문헌연구" 한국사회경제학회 (45) : 7-46, 2014

      11 김영옥,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173-207, 2014

      12 정순둘, "연령통합에 대한 인식 및 영향요인: 연령집단별 비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6 (36): 261-285, 2016

      13 주경희, "연령집단에 대한 태도와 연령통합 인식에 대한 연구 -청년집단과 노년집단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2 (72): 71-93, 2017

      14 김주현, "연령주의(Ageism) 관점을 통한 노년의 이해" 한국사회사학회 (82) : 361-391, 2009

      15 김욱, "억압의 한 형태로서의 노인차별주의(Ageism): 사회복지적 대응과 함의"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14) : 97-118, 2002

      16 김우석, "어르신 체육 활동지원 서비스 참여 노인의 신체활동에 대한 의미 형성 과정 : 경기, 충남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체육교육학회 20 (20): 127-140, 2015

      17 나항진, "아동과 노인간의 세대공동체 구현의 의미에 관한 연구 : 세대공동체 프로그램 참여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9 (29): 1665-1683, 2009

      18 박경란, "아동과 노인 간의 관계 향상을 위한 세대통합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3 (13): 17-27, 2004

      19 김귀자, "아동·노인간의 세대공동체교육 프로그램 연구 : 프로그램 개발 및 실천" 한서대학교 대학원 2004

      20 양소영, "세대교류 증진을 위한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 배치 및 프로그램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4 (14): 293-308, 2019

      21 손병권, "세대갈등의 원인 분석: 세대계층론을 중심으로 본 20대와 70대의 갈등 원인" 분쟁해결연구센터 17 (17): 5-37, 2019

      22 원영희, "세대갈등과 세대통합에 대한 고찰: 노년교육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노년교육학회 5 (5): 63-85, 2019

      23 최윤선, "생활변인에 따른 아동의 유능감 차이검증"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3 (13): 475-496, 2016

      24 정경희, "백세시대의 노인의 연령기준 관련 논점과 정책적 함의" 18 : 16-27, 2011

      25 박나영, "문화재생을 통한 세대간 교류 공간 연구-노인과 아동을 중심으로-" 31 (31): 449-449, 2019

      26 정다슬, "단체 운동의 소속감과 구성원들 간 인터랙션 연구를 통한 서비스 디자인 모델 제안" 2 : 279-286, 2020

      27 정문경,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역량지각이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3

      28 허새나, "다(多)세대 사회의 세대 통합 : 세대공감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_ 희망제작소 <세대공감시리즈>를중심으로" 1-18, 2016

      29 이동열, "노인종합복지관에 있어서 세대 간 통합에 관한 연구 : 서울지역 노인종합복지관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공학대학원 2009

      30 신다현, "노인의 진지한 여가로서의 마스터즈 수영대회 참가의 의미" 한국체육학회 59 (59): 241-257, 2020

      31 한정란, "노인교육과 세대통합: 세대공동체 교육" 한국성인교육학회 5 (5): 91-109, 2002

      32 한정란, "노인교육과 세대 통합: 세대 공동체 교육" 23-34, 2001

      33 김완수, "건강증진을 위한 신체활동 정책 내용 고찰: 신체활동 실천율을 기반으로"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33 (33): 109-119, 2016

      34 아시아경제, "“출산을 거부해? 이기적이네!”...노인 청년 갈등 해법 없나"

      35 투데이신문, "[비혼합니다②]청년들의 이유 있는 비혼"

      36 Turner, J. C., "Towards a cognitive redefinition of the social group" 1 (1): 15-40, 1982

      37 Allport, G. W., "The nature of prejudice" Perseus Books 1954

      38 Seefeldt, C., "The effects of preschoolers' Visits to a nursing home" 27 (27): 228-232, 1987

      39 Murayama, Y., "The effect of intergenerational programs on the mental health of elderly adults" 19 (19): 306-314, 2015

      40 Stake, R. E.,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Sage Publications 1995

      41 Balatti, J., "Socioeconomic contributions of adult learning to community : A social capital perspective" 52 (52): 281-298, 2002

      42 Murayama, Y., "Social concern and the present state of intergenerational programs : An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s and a survey of organizations" 60 : 138-145, 2013

      43 Tajfel, H., "Social categorization, social identity and social comparison" Differentiation between social group 61-76, 1978

      44 Kaplan, M. S., "School-based intergenerational programs" UNESCO institute for education 2001

      45 Deal, J. J., "Retiring the generation gap: How employees young and old can find common ground (Vol. 35)" John Wiley & Sons 2007

      46 Wilner, D. M., "Residential proximity and intergroup relations in public housing projects" 8 (8): 45-69, 1952

      47 Jackson, J. W., "Realistic group conflict theory : A review and evaluation of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literature" 43 (43): 395-415, 1993

      48 Strauss AL., "Qualitative analysis for social scientis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6-34, 1987

      49 Kusano, A., "Prelude to the establishment of intergenerational studies in Japan : Current status and future" 33 : 462-471, 2011

      50 Shillair, R. J., "Not so lonely surfers: loneliness, social support, Internet use and life satisfaction in older adults" 1-12, 2015

      51 Chang, H., "Methodological developments in ethnography" Emerald Group Publishing Limited 2007

      52 Whiteland, S. R., "Making friends and making art : An intergenerational learning experience" 3 (3): 4-19, 2012

      53 Thompson Jr, E. H., "Making connections : The legacy of an intergenerational program" 56 (56): 909-918, 2016

      54 Schuller, T., "Learning, continuity and change in adult life. Wider benefits of learning research report" The centre for research on the wider benefits of learning, Institute of education 2002

      55 Yajima, S., "Japan’s first national intergenerational conference : The story behind the planning" 7 : 4-16, 2009

      56 Loewen, J., "Intergenerational learning: What if schools were places where adults and children learned together?"

      57 Pinquart, M., "Influences of socioeconomic status, social network, and competence on subjective well-being in later life : A meta-analysis" 15 (15): 187-224, 2000

      58 LeCompte, M. D., "Ethnographic data collection in evaluation research" 4 (4): 387-400, 1982

      59 Newman, S., "Elder-child interaction analysis" 20 : 129-145, 1999

      60 Dunham, C. C., "Children’s attitudes and classroom interaction in an intergenerational education program" 35 : 453-464, 2009

      61 Yin, R. K.,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Sage Publications 2003

      62 Merriam, S. B., "Case Study research in education: A qualitative approach" Jossey-Bass Publishers 1988

      63 Powers, M., "Attitudes toward older adults : Results from a fitness-based intergenerational learning experience" 11 (11): 50-61, 2013

      64 Jones, E. D., "An intergenerational group benefits both emotionally disturbed youth and older adults" 25 : 753-767, 2004

      65 Palmore, E. B., "Ageism comes of age" 43 (43): 418-420, 2003

      66 Riley, M. W., "Age integration and the lives of older people" 34 (34): 110-115, 1994

      67 Riley, M. W., "Age integration : conceptual and historical background" 40 (40): 266-270, 2000

      68 Turner, J. C., "Advances in Group Processes, 2" JAI Press 77-122, 1985

      69 효도실버신문, "Active Aging 국제학술세미나 및 시니어건간운동 페스티벌"

      70 Lothaller, H., "A Young Generation Under Pressure?"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10

      71 서울시복지재단, "2020년 서울시 노인실태조사 결과로 본 서울시 어르신의 삶"

      72 통계청, "2019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73 서울시복지재단, "2018 노인실태조사"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4 2.08 2.24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