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ICT기기 사용유형에 따른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 1인가구 고령자, 2인 이상 가구 고령자의 비교 = ICT Usage Type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Comparison by Cohabitant Statu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609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port how the use of ICT devices can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Using nationally representative time-diary data from the 2019 Korean Time Use Survey, I explored 5,654 respondents who are over 65 years old. In addition to user and non-user concept, this study focuses on the exact time amount on ICT devices and its effect on the elderly’s life satisfaction. Moreover, the usage of ICT devices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social ICT usage and instrumental ICT usage. I compare how each type affects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different cohabitant statu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CT users reported higher life satisfaction than non-ICT users. The amount of time on ICT devices showed a positive relation with the elderly’s life satisfaction. Second, for the elderly who live alone, social ICT usage helped improve their life satisfaction. For the elderly who live with others, instrumental ICT usage was helpful. These result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informatization policies for older adults. However, informatization policies would be more effective if they consider individuals’ cohabitant status and their needs for social and instrumental suppor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port how the use of ICT devices can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Using nationally representative time-diary data from the 2019 Korean Time Use Survey, I explored 5,654 respondents who are over 65 y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port how the use of ICT devices can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Using nationally representative time-diary data from the 2019 Korean Time Use Survey, I explored 5,654 respondents who are over 65 years old. In addition to user and non-user concept, this study focuses on the exact time amount on ICT devices and its effect on the elderly’s life satisfaction. Moreover, the usage of ICT devices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social ICT usage and instrumental ICT usage. I compare how each type affects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different cohabitant statu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CT users reported higher life satisfaction than non-ICT users. The amount of time on ICT devices showed a positive relation with the elderly’s life satisfaction. Second, for the elderly who live alone, social ICT usage helped improve their life satisfaction. For the elderly who live with others, instrumental ICT usage was helpful. These result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informatization policies for older adults. However, informatization policies would be more effective if they consider individuals’ cohabitant status and their needs for social and instrumental suppor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ICT기기의 사용여부와 사용시간량이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에 끼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최근의 많은 연구들은 ICT기기가 고령자에게 사회적 지지, 도구적 지지를 제공해주며 삶의 만족도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주장한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ICT기기 사용을 일괄적으로 다뤄왔거나 단편적인 부분들만을 살펴봤다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ICT기기 사용여부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사용시간량을 함께 살펴보았다. 또한 ICT기기 사용유형을 사회적 ICT기기 사용과 도구적 ICT기기 사용으로 나누고, 사용자 집단을 가구구성형태에 따라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를 위해 통계청의 2019 생활시간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65세 이상 응답자 5,654명을 대상으로 일반화된 순서형 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ICT기기의 사용은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와 긍정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ICT기기를 사용하는 시간이 많아질수록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둘째, 1인가구 고령자에게는 사회적 ICT기기 사용이 삶의 만족도와 긍정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2인 이상 가구 고령자에게는 도구적 ICT기기 사용이 삶의 만족도와 긍정적인 관계를 가진다.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정보화 교육이나 프로그램은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 증진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전체 고령자에게 일괄적으로 적용되는 프로그램보다는 고령자의 가구구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와 도구적 지지 사이의 균형을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ICT기기의 사용여부와 사용시간량이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에 끼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최근의 많은 연구들은 ICT기기가 고령자에게 사회적 지지...

      본 연구는 ICT기기의 사용여부와 사용시간량이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에 끼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최근의 많은 연구들은 ICT기기가 고령자에게 사회적 지지, 도구적 지지를 제공해주며 삶의 만족도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주장한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ICT기기 사용을 일괄적으로 다뤄왔거나 단편적인 부분들만을 살펴봤다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ICT기기 사용여부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사용시간량을 함께 살펴보았다. 또한 ICT기기 사용유형을 사회적 ICT기기 사용과 도구적 ICT기기 사용으로 나누고, 사용자 집단을 가구구성형태에 따라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를 위해 통계청의 2019 생활시간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65세 이상 응답자 5,654명을 대상으로 일반화된 순서형 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ICT기기의 사용은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와 긍정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ICT기기를 사용하는 시간이 많아질수록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둘째, 1인가구 고령자에게는 사회적 ICT기기 사용이 삶의 만족도와 긍정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2인 이상 가구 고령자에게는 도구적 ICT기기 사용이 삶의 만족도와 긍정적인 관계를 가진다.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정보화 교육이나 프로그램은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 증진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전체 고령자에게 일괄적으로 적용되는 프로그램보다는 고령자의 가구구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와 도구적 지지 사이의 균형을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범, "한국노인의 가족관계망과 삶의 만족도: 서울 지역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4 (24): 169-185, 2004

      2 "지형 공간정보체계 용어사전" 정보통신기술

      3 안지원,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스마트폰 만족도 및 활용도" 한국생활환경학회 26 (26): 540-549, 2019

      4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정보화교육-교육과정"

      5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6 강소랑, "장노년층 디지털역량 실태와 정보화 교육과정 운영방향" 서울시50플러스재단 2019

      7 유용식, "인터넷활용과 노인의 삶의 질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2 (12): 235-244, 2012

      8 석재은, "여성독거노인과 남성독거노인의 관계자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71 (71): 321-349, 2016

      9 이정관, "서울특별시 독거노인 실태에 관한 연구" 서울연구원 14 (14): 191-211, 2013

      10 김동배, "서울지역 장·노년층의 인터넷활용능력, 대인관계능력, 사회활동에 관한 연구: 잠재평균분석을 활용한 집단비교" 한국노년학회 31 (31): 733-749, 2011

      1 김영범, "한국노인의 가족관계망과 삶의 만족도: 서울 지역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4 (24): 169-185, 2004

      2 "지형 공간정보체계 용어사전" 정보통신기술

      3 안지원,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스마트폰 만족도 및 활용도" 한국생활환경학회 26 (26): 540-549, 2019

      4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정보화교육-교육과정"

      5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6 강소랑, "장노년층 디지털역량 실태와 정보화 교육과정 운영방향" 서울시50플러스재단 2019

      7 유용식, "인터넷활용과 노인의 삶의 질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2 (12): 235-244, 2012

      8 석재은, "여성독거노인과 남성독거노인의 관계자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71 (71): 321-349, 2016

      9 이정관, "서울특별시 독거노인 실태에 관한 연구" 서울연구원 14 (14): 191-211, 2013

      10 김동배, "서울지역 장·노년층의 인터넷활용능력, 대인관계능력, 사회활동에 관한 연구: 잠재평균분석을 활용한 집단비교" 한국노년학회 31 (31): 733-749, 2011

      11 이민아, "동거형태와 한국노인의 삶의 질 만족도: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가 갖는 매개효과" 한국보건사회학회 (29) : 41-67, 2011

      12 김태현,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 경험유무에 따른 심리적 복지감" 한국가족관계학회 9 (9): 81-106, 2004

      13 문지현,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탐색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8 (18): 44-54, 2018

      14 최영, "독거노인의 경제수준,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소 24 (24): 103-123, 2008

      15 황현정, "노인집단내 정보격차와 그에 따른 삶의 만족도 연구: 가구구성형태 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24 (24): 359-386, 2017

      16 권중돈, "노인의 일상생활에서의 인터넷 활용 경험과 그 의미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노년학회 32 (32): 835-850, 2012

      17 조자영, "노인의 식품미보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순서로짓회귀분석의 적용"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5 (35): 375-406, 2015

      18 김명용, "노인의 스마트폰 이용이 생활만족도, 우울, 사회활동 및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264-277, 2018

      19 김명용, "노인의 스마트폰 이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활동 참여의 매개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72 (72): 343-370, 2017

      20 박순미, "노인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도시노인과 농촌노인의 특성 비교-" 한국노인복지학회 (47) : 137-160, 2010

      21 한형수, "노인의 삶의 질의 객관적 지표와 주관적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9) : 345-370, 2008

      22 김철수,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 탐색: 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5 (25): 51-73, 2009

      23 김학실,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사회활동"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30 (30): 153-180, 2020

      24 심수진, "노인 인구집단별 삶의 만족도 분석" 통계개발원 2018

      25 오지안, "노년층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심리적 안녕감과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공관리학회 32 (32): 319-344, 2018

      26 이강진, "노년층의 ‘스마트폰’ 이용 양상에 대한 연구: 70대 이상 여성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3 (73): 193-216, 2018

      27 권중돈,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 : 61-76, 2000

      28 황남희, "노년기 정보 활용 현황 및 디지털 소외 해소 방안 모색"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29 배나래,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9 (29): 761-779, 2009

      30 조주은, "고령층의 모바일 격차 - 휴대전화의 확산, 그러나 제한된 채택" 한국사회학회 44 (44): 81-113, 2010

      31 최영, "가구형태에 따른 노인의 건강상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29) : 123-149, 2005

      32 Chen, K., "Use or non-use of gerontechnology—A qualitative study" 10 (10): 4645-4666, 2013

      33 Schehl, B., "Understanding differentiated internet use in older adults : A study of informational, social, and instrumental online activities" 97 : 222-230, 2019

      34 Williams, R.,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generalized ordered logit models" 40 (40): 7-20, 2016

      35 Zhang, R., "The stress-buffering effect of self-disclosure on Facebook : An examination of stressful life events,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among college students" 75 : 527-537, 2017

      36 Savolainen, P. T., "The statistical analysis of highway crash-injury severities : a review and assessment of methodological alternatives" 43 (43): 1666-1676, 2011

      37 Ihm, J., "The implication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use for the social well-being of older adults" 18 (18): 1123-1138, 2015

      38 Shim, H., "The health and retirement study: analysis of associations between use of the internet for health information and use of health services at multiple time points" 20 (20): e8203-, 2018

      39 Chopik, W. J., "The benefits of social technology use among older adults are mediated by reduced loneliness" 19 (19): 551-556, 2016

      40 Kim, J., "Technology access and use, and their associations with social engagement among older adults : Do women and men differ?" 72 (72): 836-845, 2017

      41 House, J. S., "Structures and processes of social support" 14 (14): 293-318, 1988

      42 Cohen, S.,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98 (98): 310-, 1985

      43 Krause, N., "Social support, stress, and well-being among older adults" 41 (41): 512-519, 1986

      44 Leist, A. K., "Social media use of older adults : a mini-review" 59 (59): 378-384, 2013

      45 Cho, J., "Roles of smartphone app use in improving social capital and reducing social isolation" 18 (18): 350-355, 2015

      46 Meng, J., "Research on social networking sites and social support from 2004 to 2015: A narrative review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20 (20): 44-51, 2017

      47 Elliot, A. J., "Predictors of older adults' technology use and its relationship to depressive symptoms and well-being" 69 (69): 667-677, 2014

      48 Lian, J. W., "Online shopping drivers and barriers for older adults : Age and gender differences" 37 : 133-143, 2014

      49 Yusif, S., "Older people, assistive technologies, and the barriers to adoption : A systematic review" 94 : 112-116, 2016

      50 Hill, R., "Older adult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digital technology : (Dis)empowerment, wellbeing, and inclusion" 48 : 415-423, 2015

      51 Elhai, J. D., "Non-social features of smartphone use are most related to depression, anxiety and problematic smartphone use" 69 : 75-82, 2017

      52 Van Deursen, A. J., "Modeling habitual and addictive smartphone behavior : The role of smartphone usage types,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stress, self-regulation, age, and gender" 45 : 411-420, 2015

      53 Campbell, S. W., "Mobile communication and civic life : Linking patterns of use to civic and political engagement" 60 (60): 536-555, 2010

      54 Yu, R. P., "Mapping the two levels of digital divide: Internet access and social network site adoption among older adults in the USA" 19 (19): 1445-1464, 2016

      55 Schwaba, T., "Log on and prosper? Little evidence for codevelopment between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technology use in older adulthood" 76 (76): 67-77, 2021

      56 Gaymu, J., "Living conditions and life satisfaction of older Europeans living alone : a gender and cross-country analysis" 30 (30): 1153-, 2010

      57 Yu, K., "Inter net use and loneliness of older adults over time : The mediating e ffect of social contact" 76 (76): 541-550, 2021

      58 Hall, L., "Instrumental support activities checklist" University of Kentucky Lexington 1987

      59 Sims, 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use is related to higher well-being among the oldest-old" 72 (72): 761-770, 2017

      60 Cotten, S. R., "Impact of internet use on loneliness and contact with others among older adults: cross-sectional analysis" 15 (15): e39-, 2013

      61 Näsi, M., "ICT activity in later life : Internet use and leisure activities amongst senior citizens in Finland" 9 (9): 169-176, 2012

      62 Leung, R., "How older adults learn to use mobile devices : Survey and field investigations" 4 (4): 1-33, 2012

      63 Williams, R., "Generalized ordered logit/partial proportional odds models for ordinal dependent variables" 6 (6): 58-82, 2006

      64 Peek, S. T., "Factor s influencing acceptance of technology for aging in place : a systematic review" 83 (83): 235-248, 2014

      65 Pee, N. C., "Factor influencing the use of smart phone by Malaysian’s elderly" 59 (59): 421-425, 2014

      66 Lo, J., "Exploring the buffer effect of receiving social support on lonely and emotionally unstable social networking users" 90 : 103-116, 2019

      67 Hur, M. H, "Empowering the elderly population through ICT-based activities : An empirical study of older adults in Korea" 29 (29): 318-333, 2016

      68 Slegers, K., "Effects of computer training and Internet usage on the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of older adults: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63 (63): P176-P184, 2008

      69 Barrera, M., "Distinctions between social support concepts, measures, and models" 14 (14): 413-445, 1986

      70 Zhitomirsky-Geffet, M., "Cross-generational analysis of predictive factors of addictive behavior in smartphone usage" 64 : 682-693, 2016

      71 Oh, J., "Converting a digital minority into a digital beneficiary : Digital skills to improve the need for cognition among Korean older adults" 0266666919888570-, 2019

      72 Levine, D. M., "Changes in everyday and digital health technology use among seniors in declining health" 73 (73): 552-559, 2018

      73 Biehl, S. A., "Causal effects of language on the exchange of social support in an online community" 19 (19): 446-452, 2016

      74 Allen, K., "Cardiovascular reactivity and the presence of pets, friends, and spouses : The truth about cats and dogs" 64 (64): 727-739, 2002

      75 Ramsey, M. A., "C ollege s tudents' u se of communication technology with parents: comparisons between two cohorts in 2009 and 2011" 16 (16): 747-752, 2013

      76 Wiederhold, B. K., "Beyond direct benefits: indirect health benefits of social media use" 20 (20): 1-2, 2017

      77 Mohadisdudis, H. M., "A study of smartphone usage and barriers among the elderly" IEEE 109-114, 2014

      78 Zhang, Y., "A review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NS)research in communication journals from 2006 to 2011" 17 (17): 1007-1024, 2015

      79 Veenhoven, R., "A comparative study of satisfaction with life in Europe" University Press 1996

      80 Trevino, L. K., "4. Under standing Manager s' Media Choices: A Symbolic Inter actionist" 71 : 1990

      81 통계청, "2020 한국의 사회지표"

      8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0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2021

      83 통계청, "2019년 생활시간조사 지침서"

      84 통계청, "2019 생활시간조사"

      85 한국갤럽조사, "2012-2020 스마트폰 사용률 & 브랜드, 스마트워치, 무선이어폰에 대한 조사"

      86 정경희, "2004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부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4 2.08 2.24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