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연근해 어선감척사업의 효과 분석 -업종간 파급효과를 고려하여- =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Fishing Vessel Buyback Program in Offshore and Coastal Fisheries : A Focus on Spillover Effects across Fishe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965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연근해 어선감척사업의 효과를 이원고정효과 패널모형에 시차 설명변수를 도입하여 효과가 발현되기까지의 시차와 지속 기간을 확인하고, 공간패널모형을 도입하여 어획 어종이 유사한 업종간 파급효과를 구하였다.
      분석 결과, 일반패널모형보다 공간패널모형(SDM)의 설명력이 우수하여 업종간 파급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어선감척 이후 3년이 지난 시점부터 4년 동안 효과가 나타나며, 그 크기는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감소하였다. 장기적으로 감척어선 비율이 1%p 증가하면 단위노력당 어획량(CPUE)가 0.545톤 증가하였고 이 가운데 41%는 직접효과, 59%는 간접효과(파급효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에 기초할 때 파급효과를 고려하여 어종 중심으로 감척사업을 실행하고, 어선감척 효과 분석에서 파급효과를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고는 연근해 어선감척사업의 효과를 이원고정효과 패널모형에 시차 설명변수를 도입하여 효과가 발현되기까지의 시차와 지속 기간을 확인하고, 공간패널모형을 도입하여 어획 어종이 유...

      본고는 연근해 어선감척사업의 효과를 이원고정효과 패널모형에 시차 설명변수를 도입하여 효과가 발현되기까지의 시차와 지속 기간을 확인하고, 공간패널모형을 도입하여 어획 어종이 유사한 업종간 파급효과를 구하였다.
      분석 결과, 일반패널모형보다 공간패널모형(SDM)의 설명력이 우수하여 업종간 파급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어선감척 이후 3년이 지난 시점부터 4년 동안 효과가 나타나며, 그 크기는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감소하였다. 장기적으로 감척어선 비율이 1%p 증가하면 단위노력당 어획량(CPUE)가 0.545톤 증가하였고 이 가운데 41%는 직접효과, 59%는 간접효과(파급효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에 기초할 때 파급효과를 고려하여 어종 중심으로 감척사업을 실행하고, 어선감척 효과 분석에서 파급효과를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Korea's fishing vessel buyback program in offshore and coastal fisheries using a two-way fixed-effects panel model with lagged explanatory variables to analyze the temporal dynamics of the program’s impact, including its onset and duration. Additionally, a spatial panel model is employed to capture spillover effects among fisher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patial panel model had better explanatory power than the general panel model, indicating that there were spillover effects among fisheries. These effects are most pronounced between the third and sixth years following vessel scrapping, with their intensity diminishing over time. In the long run, a one percentage point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vessels scrapped corresponds to a 0.593 -tonne rise in CPUE (catch per unit effort), with 40.4 % of the impact resulting from direct effects and 59.6% from indirect spillover effect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spillover effects and to implement the program by fish species and to fully incorporate spillover effects in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program.
      번역하기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Korea's fishing vessel buyback program in offshore and coastal fisheries using a two-way fixed-effects panel model with lagged explanatory variables to analyze the temporal dynamics of the program’s impact, i...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Korea's fishing vessel buyback program in offshore and coastal fisheries using a two-way fixed-effects panel model with lagged explanatory variables to analyze the temporal dynamics of the program’s impact, including its onset and duration. Additionally, a spatial panel model is employed to capture spillover effects among fisher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patial panel model had better explanatory power than the general panel model, indicating that there were spillover effects among fisheries. These effects are most pronounced between the third and sixth years following vessel scrapping, with their intensity diminishing over time. In the long run, a one percentage point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vessels scrapped corresponds to a 0.593 -tonne rise in CPUE (catch per unit effort), with 40.4 % of the impact resulting from direct effects and 59.6% from indirect spillover effect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spillover effects and to implement the program by fish species and to fully incorporate spillover effects in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program.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