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AHCI SCOPUS

      어느 시골 농부의 ‘반의사’(半醫師) 되기: 『대곡일기』로 본 1960-80년대 농촌 의료 = A Farmer Becoming a Quasi-doctor: The Daegok Diary and Rural Healthcare from the 1960s to the 198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729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ttempts to review the reality of rural health care in Korea from the 1960s to the 1980s by analyzing the Daegok Diary. There has been two myths about rural healthcare. One is that the absence of institutional medicine was replaced by fol...

      This article attempts to review the reality of rural health care in Korea from the 1960s to the 1980s by analyzing the Daegok Diary. There has been two myths about rural healthcare. One is that the absence of institutional medicine was replaced by folk medicine, which could be identified with folk remedies or shamanic healing distinguished from Western medicine.
      This is a frame that understands institutional and Western medicine as a pair and folk medicine and traditional medicine as another. Another popular belief is that rural healthcare had remained almost nonexistent, and only dramatically improved after the Regional Health Insurance was implemented. Of course, some claim that the Regional Health Insurance was disadvantageous to farmers, but it is generally understood that there was an absence of government policy regarding medical care.
      The Daegok Diary, telling many aspects of rural life, is a good source to reflect on these common notions. Unlike other farmers’ diaries, the diary of Shin Kwonsik contains a wealth of medical culture records because he chose unique ways to cure his and neighbors’ illnesses by himself. It can be summarized as the life of “quasi-doctor”. Shin was distinguished from quacks in that he practiced as an intellectual in the village rather than as a profession, and that he learned official medical knowledge and recognized the difference between a licensed physician and himself. Also, he was different from doctors because of the lack of a medical license and the limited range of diseases that he could treat.
      The life of quasi-doctor shows the social structure of rural areas in Korea from the 1960s to the 1980s. The reality of rural healthcare can be summarized in two ways. First, the medical vacuum was filled by civilian efforts. There was virtually no institutional healthcare in rural areas, but the government did little to improve the situation . The policy of sending doctors to the countryside proved to be ineffective, and the community doctor system did not work properly. Health Insurance was also a system for city workers rather than farmers. In the late 1970s, the situation only slightly improved due to reasons unrelated to the government policy regarding rural healthcare. These were improvements in traffic conditions and the increasing popularity of private insurance, which improved the physical and economic accessibility to medical institutions.
      Second, Western medicine had become a part of folk medicine.
      Those who could not go to a hospital utilized Western medicine, which had penetrated the folk medical culture. When people were sick, they bought Western drugs from pharmacies, drug dealers, and sometimes quacks. The knowledge of Western medicine also spread widely, with family medical books such as Million People’s Medicine as the medium.
      These two characteristics show that the existing myths that regard the absence of government policy as that of medical care and interpret the medical vacuum as the prevalence of folk remedies and shamanic healing are far from the truth. From the 1960s to the 1980s, gaps in institutional medicine was filled by Western medicine which had become part of the folk medicine already, and the accessibility of institutional medicine was improved through civilian efforts.
      Of course, the Daegok Diary shows more than the social structure of rural areas. It also reveals a lot about the man who wrote it, Shin Kwonsik.
      Unlike the others, Shin chose to become a quasi-doctor because of his separation from the tradition and his desire to learn. He grew up alone without parental care and later moved to Seoul by himself. This meant a break with the tradition. He joined the army in the wake of the Korean War and learned how to give injections there. After he was discharged, he devoured many books and newspapers including Million People’s Medicine. In short, the existence of a quasi-doctor like Shin was the result of the combination of the absence of i...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윤재, "해방 전후 귀속 제약회사의 동향과 한국 제약업" 한국근현대사학회 (78) : 231-260, 2016

      2 신규환, "해방 이후 약무행정의 제도적 정착과정: 1953년 「약사법」 제정을 중심으로" 대한의사학회 22 (22): 847-878, 2013

      3 양정필, "한말-일제 초 근대적 약업 환경과 한약업자의 대응- ‘매약’제조업자의 등장과 성장을 중심으로 -" 대한의사학회 15 (15): 206-186, 2006

      4 박윤재, "한말 일제 초 대형 약방의 신약 발매와 한약의 변화" 한국역사연구회 (90) : 239-265, 2013

      5 문옥륜, "한국의료보험의 발전과 역사적 함의" 34 (34): 1997

      6 경제기획원, "한국의 사회지표" 경제기획원 1978

      7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 제1-12권"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69

      8 조홍식, "한국농촌사회의 복지문제" 2 : 1992

      9 연세의사학, "한국 진단검사의학의 개척자, 이삼열" 13 (13): 2010

      10 이꽃메, "한국 보건진료원 제도의 시작" 4 (4): 2009

      1 박윤재, "해방 전후 귀속 제약회사의 동향과 한국 제약업" 한국근현대사학회 (78) : 231-260, 2016

      2 신규환, "해방 이후 약무행정의 제도적 정착과정: 1953년 「약사법」 제정을 중심으로" 대한의사학회 22 (22): 847-878, 2013

      3 양정필, "한말-일제 초 근대적 약업 환경과 한약업자의 대응- ‘매약’제조업자의 등장과 성장을 중심으로 -" 대한의사학회 15 (15): 206-186, 2006

      4 박윤재, "한말 일제 초 대형 약방의 신약 발매와 한약의 변화" 한국역사연구회 (90) : 239-265, 2013

      5 문옥륜, "한국의료보험의 발전과 역사적 함의" 34 (34): 1997

      6 경제기획원, "한국의 사회지표" 경제기획원 1978

      7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 제1-12권"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69

      8 조홍식, "한국농촌사회의 복지문제" 2 : 1992

      9 연세의사학, "한국 진단검사의학의 개척자, 이삼열" 13 (13): 2010

      10 이꽃메, "한국 보건진료원 제도의 시작" 4 (4): 2009

      11 평택군기획실, "평택군 통계연보" 평택군 1962

      12 지역문화연구소, "평택 일기로 본 농촌생활사: 평택 대곡일기, I-III" 경기문화재단 2007

      13 김영미, "평택 대곡일기를 통해서 본 1960~70년대 초 농촌마을의 공론장, 동회와 마실방" 한국사연구회 (161) : 383-416, 2013

      14 이문호, "최근 한국의 질병 변천" 32 (32): 1989

      15 이규식, "일제의 농촌 침탈과 농촌위생연구소" 10 (10): 2001

      16 송달옥, "일부 농촌지역의 민속의료이용에 관한 조사" 11 (11): 1974

      17 손현주, "일기연구의 방법, 현황, 그리고 응용" 지식과교양 2017

      18 문만용, "일기로 본 박정희 시대의 ‘농촌 과학화’" 한국지역사회학회 21 (21): 25-43, 2013

      19 송건용, "의료보험이 의료이용양상과 의료균점에 준 효과분석" 8 (8): 1988

      20 의료보험연합회, "의료보험의 발자취: 1996년까지" 의료보험연합회 1997

      21 국립민속박물관, "위도의 민속: 상, 제례, 장제, 민간의료, 민요, 설화편" 국립민속박물관 1985

      22 한명렬, "우리나라 일부농촌지역의 민속의료에 관한 조사연구" 5 (5): 1964

      23 허정, "우리나라 농촌의료에 관한 사회의학적 연구" 3 (3): 1962

      24 김영미, "어느 농민의 생활세계와 유신체제" 한국근현대사학회 (63) : 275-306, 2012

      25 한미선, "심판대에 오른 의료보험 10년" 1988

      26 송탄시, "송탄시 통계연보" 송탄시 1982

      27 왕연, "새마을운동과 1970년대 한국 농촌사회의 변화 연구" 건국대학교 2016

      28 보건사회부, "보건사회통계연보" 보건사회부 1964

      29 보건사회부, "보건사회백서: 국민보건과 사회복지" 보건사회부 1965

      30 보건사회부, "보건사회 행정의 실적과 전망: 보건사회행정백서" 보건사회부 1971

      31 김상문, "백만인의 의학" 동아출판사 1959

      32 신동면, "박정희의 맨얼굴" 시사IN북 2011

      33 조석곤, "박정희의 맨얼굴" 시사IN북 2011

      34 윤홍식, "박정희 정권시기 한국 복지체제: 반공개발국가, 복지국가의 기능적 등가물" 한국사회정책학회 25 (25): 195-229, 2018

      35 원보영, "민간의 질병인식과 치료행위에 관한 의료 민속학적 연구" 민속원 2010

      36 "매일경제"

      37 "동아일보"

      38 박경숙, "농어천의료보험제도가 의료서비스이용에 미친 효과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0

      39 안승택, "농민의 풍우(風雨) 인식에 나타나는 지식의 혼종성: 『평택 대곡일기(1959~1979)』를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소 21 (21): 249-290, 2015

      40 이준희, "농민 수탈하는 농촌의료보험" 1991

      41 "국회회의록"

      42 "국가재건최고회의회의록"

      43 "관보"

      44 "경향신문"

      45 경기도, "경기통계연보" 경기도 1981

      46 신영전, "건강보험 통합 쟁취사" 141 : 2010

      47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 제26권 민간의약" 국립문화재연구소 1996

      48 이상의, "『조선의 농촌위생』을 통해 본 일제하 조선의 농민생활과 농촌위생" 역사교육연구회 (129) : 227-259, 2014

      49 "『박정희대통령연설문집』, 제2집: 제5대편"

      50 "『박정희대통령연설문집』, 제1집: 최고회의편"

      51 안혜경, "‘평택일기’를 통해 본 일생의례와 속신" 실천민속학회 18 : 167-199, 2011

      52 이송순, "1970년대 한국 대중의 정치의식과 ‘반공국민’으로 살아가기 - 개인일기 4종을 통해 본 1970년대 대중의 정치의식" 민족문화연구원 (71) : 41-88, 2016

      53 박윤재, "1940-60년대 농촌위생연구소의 설립과 활동" 한국역사연구회 (72) : 253-287,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7-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Medical Histor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의사학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1 2.084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