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투 운동’(#Me Too)과 ‘위드 유’(#With You) 신학 ― 증언이 들리는 증인 공동체를 소망하며 = ‘#Me Too’ Movement and ‘#With You’ Theology: Towards a Community of Witness That Listens to Victims and Survivors Spea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729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n January 29, 2018 the JTBC interview with Prosecutor Seo Ji-hyun about sexual harrassment challenged theologians and churches to undertake a task one behalf of women’s flourishing. The problem does not lie in an individual woman who does not have ...

      On January 29, 2018 the JTBC interview with Prosecutor Seo Ji-hyun about sexual harrassment challenged theologians and churches to undertake a task one behalf of women’s flourishing. The problem does not lie in an individual woman who does not have courage to speak out but rather in the fact that there is lack of space where victims/survivors can speak in public about their own wounds. It is the problem of structure and politic. Although women bear witness to their own damage or suffering, there is no context where the words of women are heard and trusted.
      In this sense, we need to create a context and space where the voices of victims/survivors are respected and heard. To make the space of ‘#With you’ from a theological perspective, this paper investigates theology of Serene Jones and Shelly Rambo based on trauma theory (Judith Herman in particular).
      They analyze traditional theology from a perspective of trauma theory and offer an alternative to it. Both scholars agree that the unilinear and triumphant narrative of the cross –the resurrection and suffering– victory frame which Christianity offers, cannot offer meaningful salvation and grace for the victims/survivors who suffer from symptoms of PTSD (such as hyperaousal, intrusion, and constriction). Jones suggests that victims/ survivors must recognize that they are sinners and at the same time saints. Rambo suggests that the presence of the Spirit in the middle period/space between the cross and the resurrection, helps victims/survivors experience life and the ability to flourish. Furthermore, she takes one more step: arguing that theology based on salvation needs to move to theology based on flourishing.
      If churches are the disciples of Jesus Christ and the community of the Spirit, it is natural and reasonable that we should listen to and support the one who suffers from sexual violence, and build a society which supports them. The testimony of survivors should be heard, and church becomes witness on their behalf. Solidarity with survivors will help make rules and cultures that punish perpetrato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18년 1월 서지현 검사가 JTBC 인터뷰 중 ‘위력에 의한 성추행’ 사건을 공적으로 발화한 사건은 기독교 신학과 교회에 여성들의 안녕을 위한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 성폭력 발화에 관련된 ...

      2018년 1월 서지현 검사가 JTBC 인터뷰 중 ‘위력에 의한 성추행’ 사건을 공적으로 발화한 사건은 기독교 신학과 교회에 여성들의 안녕을 위한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 성폭력 발화에 관련된 문제들은 피해생존자가 용기가 없어서 벌어지는 개인적인 문제가 아니라 성폭력에 대해 말할 수 있는 공간이 부재한 공적이고 정치적인 문제이다.
      여성이 자신의 피해를 증언해도 그 말을 곧이곧대로 믿어주는 맥락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우리는 피해생존자의 목소리를 존중하고 그 목소리가 들리는 맥락과 공간을 만들어 가야 한다. 신학적인 관점에서 이들과 함께 (#with you) 하기 위해 본고는 서린 존스와 샐리 램보가 피해생존자의 관점으로 분석해낸 기독교 신학 비판과 그에 대한 새로운대안을 소개한다. 존스와 램보의 공통점은 트라우마라는 관점에 의거하여, 과각성, 침투, 억제 증상으로 지난한 세월을 보내고 있는 피해 생존자들에게 기독교가 제시하는 전통적인 구원교리, 십자가-부활, 고통-승리라는 단선적이고 승리주의적인 내러티브는 은혜와 구원을 가져다주지 못한다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존스는 피해생존자들이 죄인이면서 의인이라는 현실을 인정하고 일상을 살아가는 것이 도움이 되고, 램보는 십자가와 부활 사이의 중간기 동안 성령의현존이 피해 생존자에게 생명과 안녕의 경험을 누리게 해준다고 제안한다. 램보는 여기에서 ‘구원’ 개념에 의거한 신학 패러다임을 ‘안녕’ 개념으로 이행할 필요가 있다고 한 단계 더 나아간다.
      교회가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 공동체이며 성령의 공동체라면 성별위계에 의해 성폭력을 당해 쓰러진 한 사람의 목소리를 들어주고 지지해주는 사회를 만들어가는 데 함께 하는 것이 마땅한 일이다. 맥락없는 진실(unlocated truth) 속에 헛소리와 거짓으로 산산이 부서지는피해자들의 말을 교회는 들어주고, 증인이 되어 주어야 한다. 그래서이들의 피해가 공적인 증언이 되어 가해자가 처벌받는 규범과 문화를 만들어가는 과정에 함께 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성폭력 상담소"

      2 권김현영, "피해와 가해의 페미니즘" 교양인 2018

      3 정희진, "피해와 가해의 페미니즘" 교양인 2018

      4 마조리 H. 수하키, "폭력에로의 타락: 원죄에 대한 관계론적 신학의 새로운 이해" 동연 2011

      5 이나영, "페미니스트 관점에서 본 ‘미투 운동’의 사회적 의미" 5-12, 2018

      6 주디스 허먼, "트라우마: 가정폭력에서 정치적 테러까지" 열린책들 2012

      7 임옥희, "타자로서의 서구: 가야트리 스피박의 『포스트식민이성 비판』 읽기와 쓰기" 현암사 2012

      8 스티븐 모튼, "스피박 넘기" 앨피 2003

      9 권김현영, "미투, 반성폭력 운동의 윤리-정치적 전환"

      10 김현미, "미투 운동, 왜, 지금 그리고 이후" 49 (49): 4-13, 2018

      1 "한국성폭력 상담소"

      2 권김현영, "피해와 가해의 페미니즘" 교양인 2018

      3 정희진, "피해와 가해의 페미니즘" 교양인 2018

      4 마조리 H. 수하키, "폭력에로의 타락: 원죄에 대한 관계론적 신학의 새로운 이해" 동연 2011

      5 이나영, "페미니스트 관점에서 본 ‘미투 운동’의 사회적 의미" 5-12, 2018

      6 주디스 허먼, "트라우마: 가정폭력에서 정치적 테러까지" 열린책들 2012

      7 임옥희, "타자로서의 서구: 가야트리 스피박의 『포스트식민이성 비판』 읽기와 쓰기" 현암사 2012

      8 스티븐 모튼, "스피박 넘기" 앨피 2003

      9 권김현영, "미투, 반성폭력 운동의 윤리-정치적 전환"

      10 김현미, "미투 운동, 왜, 지금 그리고 이후" 49 (49): 4-13, 2018

      11 대니 노부스, "라캉 정신분석의 핵심 개념들" 문학과 지성사 2013

      12 권김현영, "더나은 논쟁을 할 권리: 페미니스트 크리틱" 휴머니스트 2018

      13 Jones, Serene, "Trauma and Grace: Theology in a Ruptured World" John Knox Press 2009

      14 Rambo, Shelly, "Spirit and Trauma: A Theology of Remaining"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10

      15 Schreiter, Robert, "Mission, Violence, and Reconciliation" Cliff College Publishing 11-28, 2004

      16 Jones, Serene, "Feminist Theory and Christian Theology: Cartographies of Grace. Guides to Theological Inquiry" Fortress Press 2000

      17 Jantzen, Grace M., "Death and the Displacement of Beauty. v. 2, Violence to Eternity" Routledge 2009

      18 Jantzen, Grace M., "Becoming Divine: Towards A Feminist Philosophy of Religion" Indiana University Press 1999

      19 여성가족부, "2016년 가정폭력 실태조사 연구"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9 0.23 0.60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