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프로이트, "쾌락원리의 저편"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09
2 진중권, "진중권의 현대미학 강의-숭고와 시뮬라르크의 이중주-" 아트북스 2003
3 변청자, "윌리엄 모리스의 예술관과 문화융합으로서의 공예 - 자유롭고 창의적인 인간 활동으로서의 공예 지향에 관하여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13 (13): 48-68, 2010
4 원가가, "외국현대파작품선 3책(하)" 상해문예출판사 1984
5 Lakoff, G., "삶으로서의 은유" 서광사 1995
6 김현화, "미술, 인간의 욕망을 말하고 도시가 되다" 한국학술정보 2010
7 아놀드 하우져,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창작과 비평사 1999
8 이재복, "몸" 하늘연못 2002
9 김명숙, "김유정 소설미학의 블랙유머적인 특징" 한국학연구소 (28) : 269-314, 2012
10 Garth Clark, "Voulkus Dilemma: Toward a Ceramic Canon"
1 프로이트, "쾌락원리의 저편"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09
2 진중권, "진중권의 현대미학 강의-숭고와 시뮬라르크의 이중주-" 아트북스 2003
3 변청자, "윌리엄 모리스의 예술관과 문화융합으로서의 공예 - 자유롭고 창의적인 인간 활동으로서의 공예 지향에 관하여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13 (13): 48-68, 2010
4 원가가, "외국현대파작품선 3책(하)" 상해문예출판사 1984
5 Lakoff, G., "삶으로서의 은유" 서광사 1995
6 김현화, "미술, 인간의 욕망을 말하고 도시가 되다" 한국학술정보 2010
7 아놀드 하우져,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창작과 비평사 1999
8 이재복, "몸" 하늘연못 2002
9 김명숙, "김유정 소설미학의 블랙유머적인 특징" 한국학연구소 (28) : 269-314, 2012
10 Garth Clark, "Voulkus Dilemma: Toward a Ceramic Canon"
11 Glenn Adamson, "Thinking through craft" Bloomsbury 2013
12 Malcom Bradbury, "The Name and Nature of Modernism" Penguin Books 1976
13 Jacques Derrida, "The Animal That Therefore I Am" Fordham Univ Press 2009
14 Bruce Metcalf, "Modernity and the Crafts" The Press of the Nova Scotia College of Art and Design 2007
15 Merrie Bergmann, "Metaphorical Assertions" 91 (91): 1982
16 Haward Risatti, "A Theory of Craft" UNC Press 2007
17 오상일, "20세기 후기조각의 내러티브 연구 : 죠지 시걸과 루이즈 부르즈와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18 유경희, "'언캐니' 개념으로 본 정신분석학적 시각예술론 연구 : 후기 신체미술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영상대학원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