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정서인식명확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 자기자비와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 = The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on Post-traumatic Growth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Meaning of Life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7577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on post-traumatic growth and whether self-compassion and the meaning of life had the mediating effects in the proces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self-report survey consisting of the Trauma Experience Questionnaire, Trait Meta Mood Scale (TMMS), Self-Compassion Scale (SCS), Meaning of in Life Questionnaire (MLQ) Scale, and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Expanded (PTGI-X) scale to 351 adults (178 males, 173 females) in their 20s to 60s residing nationwide through an online survey agency.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s by performing bootstrapping 10,000 times using SPSS 28.0 and Model No. 6 of PROCESS Macro 4.1 for data analysi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emotional clarity did not directly predict post-traumatic growth, it did predict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the mediating variables of self-compassion and meaning of life mediators.
      Second, emotional clarity had a positive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self-compassion. This implies that the more clearly the trauma experiencer recognizes the emotion, the more objectively he or she can reflect on the events occurred and can increase the level of post-traumatic growth by kindly taking care of them.
      Third, emotional clarity had a positive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the meaning of life. This implies that the more clearly one recognizes emotions, the more one has an advantage in exploring the meaning of life, which can promote post-traumatic growth.
      Fourth, emotional clarity predicted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the meaning of life after preceding self-compassion. This result means that the higher emotional clarity, the more the trauma experiencer can grow positively through self-compassion and the meaning of life.
      The study results confirmed that it is important to enhance self-compassion and the meaning of life in improving the level of post-traumatic growth in the counseling scene.
      번역하기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on post-traumatic growth and whether self-compassion and the meaning of life had the mediating effects in the proces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self-report survey consisting of the Traum...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on post-traumatic growth and whether self-compassion and the meaning of life had the mediating effects in the proces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self-report survey consisting of the Trauma Experience Questionnaire, Trait Meta Mood Scale (TMMS), Self-Compassion Scale (SCS), Meaning of in Life Questionnaire (MLQ) Scale, and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Expanded (PTGI-X) scale to 351 adults (178 males, 173 females) in their 20s to 60s residing nationwide through an online survey agency.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s by performing bootstrapping 10,000 times using SPSS 28.0 and Model No. 6 of PROCESS Macro 4.1 for data analysi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emotional clarity did not directly predict post-traumatic growth, it did predict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the mediating variables of self-compassion and meaning of life mediators.
      Second, emotional clarity had a positive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self-compassion. This implies that the more clearly the trauma experiencer recognizes the emotion, the more objectively he or she can reflect on the events occurred and can increase the level of post-traumatic growth by kindly taking care of them.
      Third, emotional clarity had a positive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the meaning of life. This implies that the more clearly one recognizes emotions, the more one has an advantage in exploring the meaning of life, which can promote post-traumatic growth.
      Fourth, emotional clarity predicted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the meaning of life after preceding self-compassion. This result means that the higher emotional clarity, the more the trauma experiencer can grow positively through self-compassion and the meaning of life.
      The study results confirmed that it is important to enhance self-compassion and the meaning of life in improving the level of post-traumatic growth in the counseling scen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정서인식명확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과정에서 자기자비와 삶의 의미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 조사 기관을 통해 전국에 거주하는 20∼60대 성인 351명(남 178명, 여 173명)에게 외상 경험 질문지(Trauma Experience Questionnaire), 정서인식명확성 척도(TMMS: Trait Meta Mood Scale), 자기자비 척도(SCS: Self-Compassion Scale), 삶의 의미 척도(MLQ: Meaning of in Life Questionnaire scale), 외상 후 성장 확장판 척도(PTGI-X;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Expanded Scale)로 구성된 자기 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28.0, PROCESS Macro 4.1의 Model 6번을 사용하여 부트스트래핑 10,000회를 실시하여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인식명확성이 외상 후 성장을 직접 예측하진 못했지만 자기자비와 삶의 의미 매개 변인들을 통해 외상 후 성장을 예측하였다.
      둘째, 정서인식명확성은 자기자비를 매개로 외상 후 성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외상 경험자가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할수록 자신에게 일어나는 일들을 객관적으로 들여다보고 친절하게 돌보는 태도를 통해 외상 후 성장 수준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정서인식명확성은 삶의 의미를 매개로 외상 후 성장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즉,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할수록 삶의 의미를 탐색하는데 이점을 가질 수 있어 외상 후 성장을 촉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넷째, 정서인식명확성은 자기자비를 선행하고 삶의 의미를 거쳐 외상 후 성장을 예측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정서인식명확성이 높을수록 자기자비, 삶의 의미를 통해 외상 경험자가 긍정적인 수준의 성장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상담장면에서 외상 후 성장 수준을 향상하는데 있어서, 자기자비와 삶의 의미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정서인식명확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과정에서 자기자비와 삶의 의미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 조사 기관을 통해 전...

      본 연구는 정서인식명확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과정에서 자기자비와 삶의 의미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 조사 기관을 통해 전국에 거주하는 20∼60대 성인 351명(남 178명, 여 173명)에게 외상 경험 질문지(Trauma Experience Questionnaire), 정서인식명확성 척도(TMMS: Trait Meta Mood Scale), 자기자비 척도(SCS: Self-Compassion Scale), 삶의 의미 척도(MLQ: Meaning of in Life Questionnaire scale), 외상 후 성장 확장판 척도(PTGI-X;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Expanded Scale)로 구성된 자기 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28.0, PROCESS Macro 4.1의 Model 6번을 사용하여 부트스트래핑 10,000회를 실시하여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인식명확성이 외상 후 성장을 직접 예측하진 못했지만 자기자비와 삶의 의미 매개 변인들을 통해 외상 후 성장을 예측하였다.
      둘째, 정서인식명확성은 자기자비를 매개로 외상 후 성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외상 경험자가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할수록 자신에게 일어나는 일들을 객관적으로 들여다보고 친절하게 돌보는 태도를 통해 외상 후 성장 수준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정서인식명확성은 삶의 의미를 매개로 외상 후 성장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즉,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할수록 삶의 의미를 탐색하는데 이점을 가질 수 있어 외상 후 성장을 촉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넷째, 정서인식명확성은 자기자비를 선행하고 삶의 의미를 거쳐 외상 후 성장을 예측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정서인식명확성이 높을수록 자기자비, 삶의 의미를 통해 외상 경험자가 긍정적인 수준의 성장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상담장면에서 외상 후 성장 수준을 향상하는데 있어서, 자기자비와 삶의 의미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제2절 연구 문제 8
      • 제3절 연구 가설 8
      • 제4절 연구 모델 8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제2절 연구 문제 8
      • 제3절 연구 가설 8
      • 제4절 연구 모델 8
      • 제2장 이론적 배경 9
      • 제1절 외상 후 성장 9
      • 1. 외상 9
      • 2. 외상 후 성장 11
      • 제2절 정서인식명확성 14
      • 1. 정서인식명확성 15
      • 2. 정서인식명확성과 외상 후 성장 16
      • 제3절 자기자비 17
      • 1. 자기자비 17
      • 2. 자기자비와 정서인식명확성 20
      • 3. 자기자비와 외상 후 성장 22
      • 제4.절 삶의 의미 24
      • 1. 삶의 의미 25
      • 2. 삶의 의미와 정서인식명확성 26
      • 3. 삶의 의미와 자기자비 27
      • 4. 삶의 의미와 외상 후 성장 28
      • 제3장 연구방법 30
      • 제1절 연구 대상 및 표집방법 30
      • 제2절 측정 도구 31
      • 제3절 분석 방법 36
      • 제4장 연구 결과 37
      • 제1절 연구 참여자의 인구 통계학적 분석 37
      • 제2절 외상 경험에 따른 특성과 주요 변인들의 상관 분석 46
      • 제3절 연구 모델 검증 49
      • 제5장 논의 55
      • 제1절 요약 및 논의 55
      • 제2절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59
      • 참고문헌 61
      • Abstract 84
      • 부록 8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