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무경, "한국인의 이념정향과 갈등" 사회과학연구소 13 (13): 6-31, 2005
2 김영경, "한국의 정치세대에 관한 경험적 연구:‘ 민주화세대’와‘신세대’의 비교를 중심으로" (41) : 119-133, 1999
3 이정진, "한국의 선거와 세대갈등: 제16대 대통령선거 과정분석" 3 (3): 51-92, 2007
4 정진민, "한국선거에서의 세대요인" 26 (26): 145-167, 1992
5 이현출, "한국 국민의 이념성향: 특성과 변화" 한국정치학회 39 (39): 321-343, 2005
6 이갑윤, "지역주의의 정치적 정향과 태도" 극동문제연구소 18 (18): 6-178, 2002
7 황아란, "정치세대와 이념성향: 민주화 성취세대를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15 (15): 123-152, 2009
8 정진민, "정치세대와 14대 국회의원 선거" 28 (28): 257-274, 1994
9 이내영, "세대정치의 등장과 지역주의" 아세아문제연구소 46 (46): 283-309, 2003
10 박병영, "세대와 정치적 정체성" 2006
1 김무경, "한국인의 이념정향과 갈등" 사회과학연구소 13 (13): 6-31, 2005
2 김영경, "한국의 정치세대에 관한 경험적 연구:‘ 민주화세대’와‘신세대’의 비교를 중심으로" (41) : 119-133, 1999
3 이정진, "한국의 선거와 세대갈등: 제16대 대통령선거 과정분석" 3 (3): 51-92, 2007
4 정진민, "한국선거에서의 세대요인" 26 (26): 145-167, 1992
5 이현출, "한국 국민의 이념성향: 특성과 변화" 한국정치학회 39 (39): 321-343, 2005
6 이갑윤, "지역주의의 정치적 정향과 태도" 극동문제연구소 18 (18): 6-178, 2002
7 황아란, "정치세대와 이념성향: 민주화 성취세대를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15 (15): 123-152, 2009
8 정진민, "정치세대와 14대 국회의원 선거" 28 (28): 257-274, 1994
9 이내영, "세대정치의 등장과 지역주의" 아세아문제연구소 46 (46): 283-309, 2003
10 박병영, "세대와 정치적 정체성" 2006
11 이내영, "세대와 정치이념" (54) : 53-79, 2002
12 정진민, "세대와 정당정치" (54) : 103-124, 2002
13 강원택, "세대, 이념과 노무현 현상" (54) : 80-102, 2002
14 전상진, "세대 개념의 과잉, 세대연구의 빈곤-세대연구 방법에 대한 고찰-" 한국사회학회 38 (38): 31-52, 2004
15 박재흥, "세대 개념에 관한 연구 코호트적 시각에서" 한국사회학회 37 (37): 1-23, 2003
16 정진민, "민주화 이후 한국의 선거정치: 세대요인을 중심으로" 33 (33): 115-134, 1999
17 이준한, "과연‘중대선거’인가?: 제17대국회의원선거에서의유권자투표결정요인 분석" 13 (13): 117-142, 2004
18 Rosow, Irving, "What is a Cohort and Why?" 21 : 65-75, 1978
19 Flanagan, Scott, "Value Change in Industrial Societies" 81 (81): 1303-1319, 1987
20 Norpoth, Helmut, "Under Way and Here to Stay: Party Realignment in the 1980s?" 51 (51): 376-391, 1987
21 Inglehart, Ronald, "The Silent Revolution: Changing Values and Political Styles among Western Public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7
22 Mannheim, Karl, "The Problem of Generation in Essays on the Sociology of Knowledge" Oxford University Press 1952
23 Beck, Paul, "The Dealignment Era in America in Electoral Change in Advanced Industrial Democrac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4
24 Ryder, Norman, "The Cohort as a Concept in the Study of Social Change" 30 : 843-861, 1965
25 Janda, Kenneth, "The Challenge of Democracy: Government in America, Brief E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1994
26 Ladd, Everett Carll, "The 1988 Elections: Continuation of the Post-New Deal System" 104 : 1-18, 1989
27 Inglehart, Ronald, "Modernization and Postmodernization: Cultural, Economic, and Political Change in 43 Societ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7
28 Lambert, Allen, "Generations and Change: Toward a Theory of Generations as a Force in Historical Process" 4 : 21-45, 1972
29 Abramson, Paul, "Generational Replacement and Value Change in Eight West European Societies" 30 : 1-25, 1986
30 Inglehart, Ronald,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0
31 Dalton, Russell, "Citizen Politics in Western Democracies: Public Opinion and Political Parties in the United States, Great Britain, West Germany and France" Chatham House Publishers 1988
32 Flanagan, Scott, "Changing Values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ies" 14 (14): 403-444, 1982
33 Erikson, Robert, "American Public Opinion, 5th ed" Allen and Bacon 1995
34 Craig, Stephen, "After the Boom: The Politics of Generation X" Rowman & Littlefield 1997
35 고원, "386세대의 정치의식변화 연구" 한국사회과학연구회 (63) : 201-224, 2005
36 박명호, "2007 대통령선거와세대: 386세대를중심으로" 1 (1): 53-70, 2007
37 박병영, "1980년대 민주화운동 세대의 정치적 정체성"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1 (31): 81-101, 2007
38 김형준, "17대 총선과 세대: 정당 지지 분석을 중심으로" (8) : 47-77, 2004
39 조중빈, "16대 대통령선거와 세대" 2003
40 어수영, ""세대와 투표양태" in 한국의선거V: 제16대대통령선거와 제17대 국회의원선거" 오름 2006
41 김욱, ""16대대선에서세대, 이념, 그리고가치의영향력" in 한국의 선거 V: 제16대 대통령선거와 제17대 국회의원선거" 오름 2006
42 강원택, ""16대 대선과 세대" in 16대 대선의 선거과정과 의의"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