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재즈 음악의 워킹 베이스 라인의 화성 리듬적 접근 : Paul Chambers 와 Ron Carter 의 Walking Bass 연주분석 = Approach to Bass Lines of Jazz Music in Harmonic Rhythm:On Performances of Paul Chambers and Ron Car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24426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781.65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85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정순도
        참고문헌: 81-83 p.

      • 소장기관
        • 동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천안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재즈 음악에서 사용되는 베이스 라인의 화성 리듬적인 접근을 통하여, 단순히 8분음표나 4분음표의 연속으로 이루어진 워킹 베이스라인이 리듬감을 가지고 다른 연주자들에게 실질적인 박자 감각을 제시 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연구 한다.
      1900년대에 뉴 올리언즈에서 재즈음악이 태어날 당시에 베이스 파트는 지금과 같은 스트링 베이스(또는, 우드베이스, 콘트라바쓰)로 연주되지 않고 튜바나 베이스 섹소폰과 같은 관악기로 연주되고 있었다. 실외에서 주로 연주되던 춤곡인 재즈는 점차 연주 위주의 음악으로 변하면서 실내악으로 변함에 따라, 관악기 편성의 거대한 소리보다는 조용한 소리가 필요하게 되면서, 튜바나 베이스 섹소폰의 사용은 점차 우드베이스의 사용으로 변하였다.
      재즈의 베이스 연주의 스타일은 크게 Two Beat Style, Four Beat Style, Broken Feel Style 등으로 나뉘어 진다.
      베이스 연주자는 주어진 코드 진행상에서 베이스 파트의 연주를 위하여 즉흥적으로 워킹 베이스라인을 만들어 낸다. 그러기 위해서 연주자는 지나가는 코드 진행과 거기에 해당하는 코드 스케일을 하모닉 리듬에 맞추어 음으로써 이루어지는 강한 리듬과, 약한 리듬을 생성하여, 다른 연주자들이 정확한 박자감각으로 타임 키핑을 할 수 있도록 베이스를 연주한다.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그루브감을 생성하는 요소가 하모닉 리듬상의 노트 선택에 있음에 주목하고 하모닉 리듬 이론, Available chord scale, Chromatic Approach, Dominant motion 등의 재즈 화성학적 기초 이론을 연구하였다. 또한, 그것을 토대로 하여 현재의 재즈 베이스 연주에 큰 영향을 준 2명의 연주자의 베이스 연주를 분석하였다.
      Paul chambers 와 Ron carter 는 모두 재즈 역사상 베이스 파트에 큰 영향을 미친 연주자들이고, 후배 연주자들은 그 들의 연주에 영향을 받았다.
      본 논문에서 분석한 각각의 연주곡들은 각각, Modal Jazz, Blues, Rhythm change, Coltrane Change, Bebop등 현대에 와서 정형, 체계화된 재즈의 주요한 형식들이다. So what 은 Modal Jazz 곡이다. Modal Jazz 는 곡의 Tonality 를 피하기 위하여 Mode 를 사용하여 기존의 화성을 무너뜨리려는 시도를 한다. Sid’ Ahead 와 같은 Blues곡 에서는 12마디의 코드진행의 패턴상에서 기존의 메이저, 마이너 화성이 아닌 새로운 Blues 화성상에서 베이스를 연주한다. Rhythm change 에서는 빠르게 변하는 멜로디 라인과 AABA 구성 위에서 워킹 베이스를 연주한다. Rhythm change 곡으로는 Oleo 의 워킹 베이스 라인을 분석하였다. Bebop 곡인 You’d be so nice to come home to 에서는 연주자가 II-V-I 의 코드진행상에서 연주되는 베이스 라인을 살펴본다.
      이러한 각각의 형식 위에서 그들의 연주가 앞서 제시한 하모닉 리듬을 토대로 다른 연주파트들이 자유롭게 연주할 수 있도록 박자감각을 제시하면서도 음의 취사 선택에 따른 강력한 그루브감을 끌어낸다.
      본 연구를 통하여 워킹 베이스 라인의 연주 분석을 통하여 재즈 베이스를 연주하는 연주자들이 자신의 연주에 이러한 내용을 응용하여 베이스 연주의 발전에 기여하였으면 하는 바 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재즈 음악에서 사용되는 베이스 라인의 화성 리듬적인 접근을 통하여, 단순히 8분음표나 4분음표의 연속으로 이루어진 워킹 베이스라인이 리듬감을 가지고 다른 연주자들에...

      본 논문에서는 재즈 음악에서 사용되는 베이스 라인의 화성 리듬적인 접근을 통하여, 단순히 8분음표나 4분음표의 연속으로 이루어진 워킹 베이스라인이 리듬감을 가지고 다른 연주자들에게 실질적인 박자 감각을 제시 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연구 한다.
      1900년대에 뉴 올리언즈에서 재즈음악이 태어날 당시에 베이스 파트는 지금과 같은 스트링 베이스(또는, 우드베이스, 콘트라바쓰)로 연주되지 않고 튜바나 베이스 섹소폰과 같은 관악기로 연주되고 있었다. 실외에서 주로 연주되던 춤곡인 재즈는 점차 연주 위주의 음악으로 변하면서 실내악으로 변함에 따라, 관악기 편성의 거대한 소리보다는 조용한 소리가 필요하게 되면서, 튜바나 베이스 섹소폰의 사용은 점차 우드베이스의 사용으로 변하였다.
      재즈의 베이스 연주의 스타일은 크게 Two Beat Style, Four Beat Style, Broken Feel Style 등으로 나뉘어 진다.
      베이스 연주자는 주어진 코드 진행상에서 베이스 파트의 연주를 위하여 즉흥적으로 워킹 베이스라인을 만들어 낸다. 그러기 위해서 연주자는 지나가는 코드 진행과 거기에 해당하는 코드 스케일을 하모닉 리듬에 맞추어 음으로써 이루어지는 강한 리듬과, 약한 리듬을 생성하여, 다른 연주자들이 정확한 박자감각으로 타임 키핑을 할 수 있도록 베이스를 연주한다.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그루브감을 생성하는 요소가 하모닉 리듬상의 노트 선택에 있음에 주목하고 하모닉 리듬 이론, Available chord scale, Chromatic Approach, Dominant motion 등의 재즈 화성학적 기초 이론을 연구하였다. 또한, 그것을 토대로 하여 현재의 재즈 베이스 연주에 큰 영향을 준 2명의 연주자의 베이스 연주를 분석하였다.
      Paul chambers 와 Ron carter 는 모두 재즈 역사상 베이스 파트에 큰 영향을 미친 연주자들이고, 후배 연주자들은 그 들의 연주에 영향을 받았다.
      본 논문에서 분석한 각각의 연주곡들은 각각, Modal Jazz, Blues, Rhythm change, Coltrane Change, Bebop등 현대에 와서 정형, 체계화된 재즈의 주요한 형식들이다. So what 은 Modal Jazz 곡이다. Modal Jazz 는 곡의 Tonality 를 피하기 위하여 Mode 를 사용하여 기존의 화성을 무너뜨리려는 시도를 한다. Sid’ Ahead 와 같은 Blues곡 에서는 12마디의 코드진행의 패턴상에서 기존의 메이저, 마이너 화성이 아닌 새로운 Blues 화성상에서 베이스를 연주한다. Rhythm change 에서는 빠르게 변하는 멜로디 라인과 AABA 구성 위에서 워킹 베이스를 연주한다. Rhythm change 곡으로는 Oleo 의 워킹 베이스 라인을 분석하였다. Bebop 곡인 You’d be so nice to come home to 에서는 연주자가 II-V-I 의 코드진행상에서 연주되는 베이스 라인을 살펴본다.
      이러한 각각의 형식 위에서 그들의 연주가 앞서 제시한 하모닉 리듬을 토대로 다른 연주파트들이 자유롭게 연주할 수 있도록 박자감각을 제시하면서도 음의 취사 선택에 따른 강력한 그루브감을 끌어낸다.
      본 연구를 통하여 워킹 베이스 라인의 연주 분석을 통하여 재즈 베이스를 연주하는 연주자들이 자신의 연주에 이러한 내용을 응용하여 베이스 연주의 발전에 기여하였으면 하는 바 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walking bass lines that Jazz bassists play. Walking bass lines usually have only 2 eighth notes or 4 eighth notes. Even though the lengths of the notes are the same, the bass lines have Rhythm stress that consists of Strong stress and weak stress. And In a jazz ensemble, it helps the other Jazz instrument player can time-keep precisely. This study include those contents
      In early 1900 years. Jazz music has born in New Orleans. In that time, Bass parts in Jazz music was played using Brass instruments like tubas or bass saxophones. But now bass part has been played using String basses which is the same called string bass or Wood bass. In that time when Jazz bass part was played using brass musical instrument .Jazz music is a loud outside live music. So, Jazz musicians had to play it using loud musical instruments like brass horn instruments. But, In process of time, jazz music that had to be loud had to change to quiet chamber music. So, loud brass-bass-instruments are not necessary any more. Gradually, String Wood basses replace the bass parts which was played in brass instruments
      There is 2beat style, 4beat style, Broken feel style in Jazz bass playing styles
      Bass players usually improvise to make walking bass lines in a given chord progression. To make the other jazz instruments players play their improvisations, Bass players use chord progressions, chord scales. And bass players also fix those notes into a harmonic rhythm pattern. So that makes pulsation of harmonic rhythm. Strong and weak stresses come out on the pulsation. Those stresses of harmonic rhythm help the other players can play in precise time beats
      In this study, I notice that grooves come out from notes which are picked up by bass players in harmonically. So I turn my attention to a theory of Harmonic rhythm, chromatic approach notes, Dominant motion which is from basic Jazz harmony theories. Moreover, I analyze walking bass lines of 2 famed bass players on those theories.
      Paul chamber and Ron carter are all famed bass players. And many bass players and walking bass lines are under the influence of those player or those player’s walking bass lines
      The performances in this study which is analyzed are consists of Modal jazz, blues, Rhythm change, Coltrane change and bebop. These are all standardized song forms of contemporary Jazz music in this time. Song called “So what” is a modal Jazz. Modal jazz avoids tonality of standard Jazz harmony system. “Sid’ ahead” is a Blues which consists of 12 bars song form made on uncommon blues harmony system. “Oleo” is a Rhythm change Jazz music. Rhythm change is usually fast and use AABA song form. “You’d be so nice to come home to “is bebop music. I pay attention to walking bass lines on II-V-I chord progression.
      On these few kings of song forms, The bass players improvise walking bass lines and make harmonic rhythm pulsations which help the other Jazz instruments play free and not to miss the rhythms. These come out with Grooves
      I wish this study could help many students. Whenever they want to make walking bass lines or play walking bass line or improvise walking bass lines in studying Jazz Bass or Jazz music.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s walking bass lines that Jazz bassists play. Walking bass lines usually have only 2 eighth notes or 4 eighth notes. Even though the lengths of the notes are the same, the bass lines have Rhythm stress that consists of Strong str...

      This study investigates walking bass lines that Jazz bassists play. Walking bass lines usually have only 2 eighth notes or 4 eighth notes. Even though the lengths of the notes are the same, the bass lines have Rhythm stress that consists of Strong stress and weak stress. And In a jazz ensemble, it helps the other Jazz instrument player can time-keep precisely. This study include those contents
      In early 1900 years. Jazz music has born in New Orleans. In that time, Bass parts in Jazz music was played using Brass instruments like tubas or bass saxophones. But now bass part has been played using String basses which is the same called string bass or Wood bass. In that time when Jazz bass part was played using brass musical instrument .Jazz music is a loud outside live music. So, Jazz musicians had to play it using loud musical instruments like brass horn instruments. But, In process of time, jazz music that had to be loud had to change to quiet chamber music. So, loud brass-bass-instruments are not necessary any more. Gradually, String Wood basses replace the bass parts which was played in brass instruments
      There is 2beat style, 4beat style, Broken feel style in Jazz bass playing styles
      Bass players usually improvise to make walking bass lines in a given chord progression. To make the other jazz instruments players play their improvisations, Bass players use chord progressions, chord scales. And bass players also fix those notes into a harmonic rhythm pattern. So that makes pulsation of harmonic rhythm. Strong and weak stresses come out on the pulsation. Those stresses of harmonic rhythm help the other players can play in precise time beats
      In this study, I notice that grooves come out from notes which are picked up by bass players in harmonically. So I turn my attention to a theory of Harmonic rhythm, chromatic approach notes, Dominant motion which is from basic Jazz harmony theories. Moreover, I analyze walking bass lines of 2 famed bass players on those theories.
      Paul chamber and Ron carter are all famed bass players. And many bass players and walking bass lines are under the influence of those player or those player’s walking bass lines
      The performances in this study which is analyzed are consists of Modal jazz, blues, Rhythm change, Coltrane change and bebop. These are all standardized song forms of contemporary Jazz music in this time. Song called “So what” is a modal Jazz. Modal jazz avoids tonality of standard Jazz harmony system. “Sid’ ahead” is a Blues which consists of 12 bars song form made on uncommon blues harmony system. “Oleo” is a Rhythm change Jazz music. Rhythm change is usually fast and use AABA song form. “You’d be so nice to come home to “is bebop music. I pay attention to walking bass lines on II-V-I chord progression.
      On these few kings of song forms, The bass players improvise walking bass lines and make harmonic rhythm pulsations which help the other Jazz instruments play free and not to miss the rhythms. These come out with Grooves
      I wish this study could help many students. Whenever they want to make walking bass lines or play walking bass line or improvise walking bass lines in studying Jazz Bass or Jazz music.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9
      • 1. 연구의 목적 = 9
      •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 10
      • II. 본론 = 14
      • 1. 재즈 음악에서의 Bass 연주의 역사 = 14
      • I. 서론 = 9
      • 1. 연구의 목적 = 9
      •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 10
      • II. 본론 = 14
      • 1. 재즈 음악에서의 Bass 연주의 역사 = 14
      • 2. 재즈 음악에서의 Bass 의 연주 스타일 = 20
      • 1) Two Beat Swing = 20
      • 2) Four Beat Swing = 22
      • 3) Broken Time Feel Style = 22
      • 3. 워킹 베이스 라인 분석 = 24
      • 1) Harmonic Rhythm = 24
      • 2) Available Chord Scale 상의 Walking Bass 의 접근 = 25
      • 3) Chromatic 상의 Walking Bass 의 접근 = 34
      • 4) Dominant Motion 상의 Walking Bass 의 접근 = 36
      • 5) Turnaround Chord Progression 상의 Bass Line 의 간략한 응용 = 45
      • 4. Paul Chambers 의 Walking Bass Line = 49
      • 1) Paul Chambers 소개 = 49
      • 2) So what = 51
      • 3) Sid’s Ahead = 62
      • 5. Ron carter의 Walking Bass Line = 69
      • 1) Ron cater 소개 = 69
      • 2) You’ de be so nice to come home to = 70
      • 3) Oleo = 75
      • III. 결론 = 82
      • 참고문헌 = 84
      • 1. 국내논저 = 84
      • 2. 국외논저 = 84
      • 3. 인터넷 정보 = 84
      • 4. 음반정보 = 85
      • ABSTRACT = 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