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국내 유통산업의 구조변화와 경제적 성과 = The Structural Change in Domestic Retailing Industry and the Perform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849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내 유통산업은 유통시장의 개방으로 인한 외국 대형유통업체의 진출, 그리고 대형할인점과 인터넷 쇼핑, T.V. 홍쇼핑 등 신 유통업태의 급격한 성장으로 인하여 급속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신 유통업태는 가격과 쇼핑 환경등의 변수를 이용하여 시장점유융을 급속히 확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내 유통산업 구조변화의 배경과 변화 내용을 살펴보고 그 성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국내 유통산업에서 대형할인점과 인터넷 상거래, 그리고 T.V. 홈 쇼핑등 대형유통점위주의 국내 유통산업의 구조변화에 대한 성과로서 우선 소비활성화 효과를 들 수 있다. 대형점의 소비활성화 효과는 우선 유통산업의 경쟁으로 인한 가격하락에 기인한 소비 활성화 부분과 소비자 친화적 쇼핑환경에 기인한 소비활성화를 들 수 있다. 또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함으로써 다른 유통업태보다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는데 보다 용이한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규모의 경제는 신유통업태의 상대적으로 높은 생산성을 가져오고 이는 국내 유통산업의 생산성을 끌어올리는 효과를 주고 있다.
      국내 유통산업의 구조변화는 소비활성화나 안정화 등을 통하여 소비자 후생의 증대와 소득증가 효과 등을 가져오고 유통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긍정적 효과를 가져왔지만 동시에 재래시장 및 동네 슈퍼마켓등 중소형 점포등을 급속히 위축시킴으로써 업태간 갈등을 야기시키고 있고, 이러한 업종의 총사자들의 소득수준을 크게 감소시키는 부정적 효과를 주고 있다. 이러한 유통산업의 구조변화로부터 야기되는 계층간 갈등은 향후 상당기간 존속할 것으로 보이며 향후 쇠퇴하고 있는 중소형 유통업태들에 대한 실질적 대안마련이 시급하다.
      번역하기

      국내 유통산업은 유통시장의 개방으로 인한 외국 대형유통업체의 진출, 그리고 대형할인점과 인터넷 쇼핑, T.V. 홍쇼핑 등 신 유통업태의 급격한 성장으로 인하여 급속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국내 유통산업은 유통시장의 개방으로 인한 외국 대형유통업체의 진출, 그리고 대형할인점과 인터넷 쇼핑, T.V. 홍쇼핑 등 신 유통업태의 급격한 성장으로 인하여 급속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신 유통업태는 가격과 쇼핑 환경등의 변수를 이용하여 시장점유융을 급속히 확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내 유통산업 구조변화의 배경과 변화 내용을 살펴보고 그 성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국내 유통산업에서 대형할인점과 인터넷 상거래, 그리고 T.V. 홈 쇼핑등 대형유통점위주의 국내 유통산업의 구조변화에 대한 성과로서 우선 소비활성화 효과를 들 수 있다. 대형점의 소비활성화 효과는 우선 유통산업의 경쟁으로 인한 가격하락에 기인한 소비 활성화 부분과 소비자 친화적 쇼핑환경에 기인한 소비활성화를 들 수 있다. 또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함으로써 다른 유통업태보다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는데 보다 용이한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규모의 경제는 신유통업태의 상대적으로 높은 생산성을 가져오고 이는 국내 유통산업의 생산성을 끌어올리는 효과를 주고 있다.
      국내 유통산업의 구조변화는 소비활성화나 안정화 등을 통하여 소비자 후생의 증대와 소득증가 효과 등을 가져오고 유통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긍정적 효과를 가져왔지만 동시에 재래시장 및 동네 슈퍼마켓등 중소형 점포등을 급속히 위축시킴으로써 업태간 갈등을 야기시키고 있고, 이러한 업종의 총사자들의 소득수준을 크게 감소시키는 부정적 효과를 주고 있다. 이러한 유통산업의 구조변화로부터 야기되는 계층간 갈등은 향후 상당기간 존속할 것으로 보이며 향후 쇠퇴하고 있는 중소형 유통업태들에 대한 실질적 대안마련이 시급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urrently Korean retailing industry experiences rapid change in its structure. Since Korean retailing industry fully opened for foreign direct investments in 1996, foreign or domestic large scale discount stores and telecommunication retailing companies have dominated Korean retailing industry.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nature of the change in Korean Retailing Industry, and it's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Korean retailing industry. Here we found that the rapid growth of new types of retail businesses such as large scale retailing discount store and telecommunication retailing contribute Korean consumers to consume more and Korean retailing industry to increase its productivity.
      These newly and rapidly emerging retailing business types in Korea can satisfy consumers' needs better than classical regional small retailing shops and peddlers, and local supermarts. Hence these retailing shops have been losing their consumers. These phenomena resembles the structural change in Korean industries during the so called Korean industrialization periods led by President Park, Jung hee.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should set up the policy to cure or to alleviate the sufferings of these classical retailing stores.
      번역하기

      Currently Korean retailing industry experiences rapid change in its structure. Since Korean retailing industry fully opened for foreign direct investments in 1996, foreign or domestic large scale discount stores and telecommunication retailing compani...

      Currently Korean retailing industry experiences rapid change in its structure. Since Korean retailing industry fully opened for foreign direct investments in 1996, foreign or domestic large scale discount stores and telecommunication retailing companies have dominated Korean retailing industry.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nature of the change in Korean Retailing Industry, and it's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Korean retailing industry. Here we found that the rapid growth of new types of retail businesses such as large scale retailing discount store and telecommunication retailing contribute Korean consumers to consume more and Korean retailing industry to increase its productivity.
      These newly and rapidly emerging retailing business types in Korea can satisfy consumers' needs better than classical regional small retailing shops and peddlers, and local supermarts. Hence these retailing shops have been losing their consumers. These phenomena resembles the structural change in Korean industries during the so called Korean industrialization periods led by President Park, Jung hee.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should set up the policy to cure or to alleviate the sufferings of these classical retailing stor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국내 유통산업의 구조변화
      • Ⅲ. 유통업태별 소비자 선택
      • Ⅳ. 국내 유통산업의 구조변화에 따른 성과
      • 요약
      • Ⅰ. 서론
      • Ⅱ. 국내 유통산업의 구조변화
      • Ⅲ. 유통업태별 소비자 선택
      • Ⅳ. 국내 유통산업의 구조변화에 따른 성과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