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막스 셸러의 철학적 인간학에 대한 하이데거의 비판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903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막스 셸러의 철학적 인간학에 대한 하이데거의 이중적 평가를 다룬다. 1920년부터 1930년까지 막스 셸러에 대한 하이데거의 평가는 시기별로 다른 모습을 보이는데, 이러한 그의 평가를 분석함으로써 논자는 하이데거가 왜 철학적 인간학을 거부하는지, 그 리고 어째서 자신의 현존재 이론이 보다 근원적이라고 주장하는지 이해하고자 한다. 이로 써 논자는 하이데거의 인간에 대한 이해와 해석의 방식이 단순한 인간학주의에 포괄될 수 없다는 점을 밝힌다. 삶 전체를 이해하기 위해 막스 셸러는 인식론적 철학으로부터 인간학적 전회를 시도하 고 세계 속 인간의 개방적 본질을 해명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그는 인간존재의 구조를 탐 구하는 기초학문으로서 현대적인 의미의 철학적 인간학을 정립한다. 그런데 하이데거는 자신의 작품 곳곳에서 막스 셸러의 철학적 인간학을 비판하고 자신의 독특한 인간학적 관 점과 구별 짓는다. 철학적 인간학은 다른 사물들의 본성 속에서 인간의 현실적 관계맺음의 의미를 고지하기 때문이다. 그러면 하이데거는 왜 철학적 인간학에 부정적이었을까? 하이 데거의 관점에서 철학은 형이상학의 완성과 더불어 몰락하고 물리학, 생물학, 심리학 등을 통해 인간학으로 전락했기 때문이다. 하이데거는 철학의 전락이 피상적으로 파악된 철학 의 목표에 근거하여 인간물음의 단초를 놓았기 때문이라고 지적하고서 철학의 중심문제가 반드시 인간이란 무엇인가 라는 물음으로 귀착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하이데거는 철학 의 시원이 인간 자체가 아니었다는 점에 착안하여 인간학이 된 철학을 비판하는 동시에 그는 인간학의 근본적인 성취에 관심을 갖는다. 이러한 이해에서 논자는 막스 셸러의 철학 적 인간학에 대한 하이데거의 비판과 그의 염려를 검토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막스 셸러의 철학적 인간학에 대한 하이데거의 이중적 평가를 다룬다. 1920년부터 1930년까지 막스 셸러에 대한 하이데거의 평가는 시기별로 다른 모습을 보이는데, 이러한 그의 평...

      본 논문은 막스 셸러의 철학적 인간학에 대한 하이데거의 이중적 평가를 다룬다. 1920년부터 1930년까지 막스 셸러에 대한 하이데거의 평가는 시기별로 다른 모습을 보이는데, 이러한 그의 평가를 분석함으로써 논자는 하이데거가 왜 철학적 인간학을 거부하는지, 그 리고 어째서 자신의 현존재 이론이 보다 근원적이라고 주장하는지 이해하고자 한다. 이로 써 논자는 하이데거의 인간에 대한 이해와 해석의 방식이 단순한 인간학주의에 포괄될 수 없다는 점을 밝힌다. 삶 전체를 이해하기 위해 막스 셸러는 인식론적 철학으로부터 인간학적 전회를 시도하 고 세계 속 인간의 개방적 본질을 해명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그는 인간존재의 구조를 탐 구하는 기초학문으로서 현대적인 의미의 철학적 인간학을 정립한다. 그런데 하이데거는 자신의 작품 곳곳에서 막스 셸러의 철학적 인간학을 비판하고 자신의 독특한 인간학적 관 점과 구별 짓는다. 철학적 인간학은 다른 사물들의 본성 속에서 인간의 현실적 관계맺음의 의미를 고지하기 때문이다. 그러면 하이데거는 왜 철학적 인간학에 부정적이었을까? 하이 데거의 관점에서 철학은 형이상학의 완성과 더불어 몰락하고 물리학, 생물학, 심리학 등을 통해 인간학으로 전락했기 때문이다. 하이데거는 철학의 전락이 피상적으로 파악된 철학 의 목표에 근거하여 인간물음의 단초를 놓았기 때문이라고 지적하고서 철학의 중심문제가 반드시 인간이란 무엇인가 라는 물음으로 귀착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하이데거는 철학 의 시원이 인간 자체가 아니었다는 점에 착안하여 인간학이 된 철학을 비판하는 동시에 그는 인간학의 근본적인 성취에 관심을 갖는다. 이러한 이해에서 논자는 막스 셸러의 철학 적 인간학에 대한 하이데거의 비판과 그의 염려를 검토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to deal with Martin Heidegger s dual understanding of Max Scheler s philosophical anthropology. In the 1920s Heidegger s criticism of Scheler s anthropology has changed, so I will examine why Heidegger refuses Scheler s idea of human being and argues that his own Dasein s theory is more essential than Schelers. I will hereby clarify Heidegger s understanding about human being. Max Scheler tries anthropological turn from epistemology and explains the open essence of a human being in the world in order to understand the whole life of man. Thus he establishes philosophical anthropology in the modern sense as a fundamental study. However Heidegger critics Scheler s philosophical anthropology and differentiates from it in his own works, because philosophical anthropology tells the meaning of human actual relations from the nature of things. If that s the case, why Heidegger is negative to it. The reason is Philosophy collapsed by the completion of Metaphysics and thereby fell into Anthropology. So Heidegger points out that the falling of philosophy was attributable to the interpreting key of man based on the superficial goal of philosophy and contends that the key cannot be the anthropological question. And then Heidegger pays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of a original accomplishment of anthropology with criticism. In this respect, Heidegger s criticism on Max Scheler s ideas and his concept of Sorge will be investigated.
      번역하기

      This thesis is to deal with Martin Heidegger s dual understanding of Max Scheler s philosophical anthropology. In the 1920s Heidegger s criticism of Scheler s anthropology has changed, so I will examine why Heidegger refuses Scheler s idea of human be...

      This thesis is to deal with Martin Heidegger s dual understanding of Max Scheler s philosophical anthropology. In the 1920s Heidegger s criticism of Scheler s anthropology has changed, so I will examine why Heidegger refuses Scheler s idea of human being and argues that his own Dasein s theory is more essential than Schelers. I will hereby clarify Heidegger s understanding about human being. Max Scheler tries anthropological turn from epistemology and explains the open essence of a human being in the world in order to understand the whole life of man. Thus he establishes philosophical anthropology in the modern sense as a fundamental study. However Heidegger critics Scheler s philosophical anthropology and differentiates from it in his own works, because philosophical anthropology tells the meaning of human actual relations from the nature of things. If that s the case, why Heidegger is negative to it. The reason is Philosophy collapsed by the completion of Metaphysics and thereby fell into Anthropology. So Heidegger points out that the falling of philosophy was attributable to the interpreting key of man based on the superficial goal of philosophy and contends that the key cannot be the anthropological question. And then Heidegger pays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of a original accomplishment of anthropology with criticism. In this respect, Heidegger s criticism on Max Scheler s ideas and his concept of Sorge will be investiga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1. 들어가는 말
      • 2. 막스 셸러의 철학적 인간학의 의의
      • 3. 막스 셸러의 철학적 인간학에 대한 하이데거의 비판
      • ⑴ 막스 셸러에 대한 하이데거의 이중적 이해
      • 요약문
      • 1. 들어가는 말
      • 2. 막스 셸러의 철학적 인간학의 의의
      • 3. 막스 셸러의 철학적 인간학에 대한 하이데거의 비판
      • ⑴ 막스 셸러에 대한 하이데거의 이중적 이해
      • ⑵ 셸러의 충박과 하이데거의 염려
      • 4. 나오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해림, "해석학적 이해와 인지과학" 집문당 2014

      2 구연상, "하이데거의 권태" 한국동서철학회 (45) : 247-268, 2007

      3 최상욱, "하이데거와 엘리아데의 성스러움에 대한 고찰" 한국하이데거학회 (10) : 2-2, 2004

      4 이기상, "하이데거에서의 존재와 성스러움" 한국철학회 65 : 2000

      5 박유정, "하이데거에 있어 현존재의 기분에 관한 연구" 한국하이데거학회 (12) : 57-80, 2005

      6 김동규, "하이데거 철학에서의 성스러움, 희생, 자기성 -세속화 시대에 성스러움의 가능성-" 한국하이데거학회 (35) : 71-105, 2014

      7 David Vandrunen, "자연법과 두나라" 부흥과개혁사 2018

      8 이서규, "쇼펜하우어의 염세주의와 의지의 형이상학에 대한 고찰" 한국동서철학회 (48) : 179-206, 2008

      9 Luc Ferry, "생물학적 인간, 철학적 인간" 푸른숲 2004

      10 금교영, "막스 셸러의 형이상학의 ‘충박’연구" 대한철학회 103 : 2007

      1 양해림, "해석학적 이해와 인지과학" 집문당 2014

      2 구연상, "하이데거의 권태" 한국동서철학회 (45) : 247-268, 2007

      3 최상욱, "하이데거와 엘리아데의 성스러움에 대한 고찰" 한국하이데거학회 (10) : 2-2, 2004

      4 이기상, "하이데거에서의 존재와 성스러움" 한국철학회 65 : 2000

      5 박유정, "하이데거에 있어 현존재의 기분에 관한 연구" 한국하이데거학회 (12) : 57-80, 2005

      6 김동규, "하이데거 철학에서의 성스러움, 희생, 자기성 -세속화 시대에 성스러움의 가능성-" 한국하이데거학회 (35) : 71-105, 2014

      7 David Vandrunen, "자연법과 두나라" 부흥과개혁사 2018

      8 이서규, "쇼펜하우어의 염세주의와 의지의 형이상학에 대한 고찰" 한국동서철학회 (48) : 179-206, 2008

      9 Luc Ferry, "생물학적 인간, 철학적 인간" 푸른숲 2004

      10 금교영, "막스 셸러의 형이상학의 ‘충박’연구" 대한철학회 103 : 2007

      11 이양호, "막스 셸러의 철학" 이문출판사 1997

      12 금교영, "막스 셸러의 윤리학적 공감론" 새한철학회 16 : 1999

      13 금교영, "막스 셸러의 르상티망론 연구" 새한철학회 88 (88): 141-160, 2017

      14 이상엽, "니체의 근원적 허무주의" 한국니체학회 (24) : 149-183, 2013

      15 박찬국, "니체와 쇼펜하우어의 비교고찰: 『비극의 탄생』을 중심으로" 한국하이데거학회 (57) : 1-38, 2020

      16 Heidegger, M., "Wegmarken" Vittorio klostermann 1976

      17 Heidegger, M., "Vorträge und Aufsätze" Günther Neske Verlag 1954

      18 Heidegger, M., "Unterwegs zur Sprache" Vittorio Klostermann 1985

      19 Frings, M. S., "The mind of Max Scheler" Marquette University Press 1997

      20 Scheler, M., "Späte Schriften" Francke Verlag 1976

      21 Heidegger, M., "Sein und Zeit" Max Niemeyer Verlag 1979

      22 Scheler, M., "Schriften aus dem Nachlaß: Zur Ethik und Erkenntnistheorie vol.1" Francke Verlag 1957

      23 Scheler, M., "Schriften aus dem Nachlaß: Philosophische Antropologie vol.3" Francke Verlag 1987

      24 Scheler, M., "Schriften aus dem Nachlass" Francke Verlag 1979

      25 Heidegger, M., "Prolegomena zur Geschichte des Zeitbegriffs" Vittorio Klostermann 1979

      26 Heidegger, M., "Phänomenologische Interpretationen Ausgewählter Abhandlungen des Aristoteles zur Ontologie und Logik" Vittorio klosterman 2005

      27 Heidegger, M., "Phänomenologie des religiösen Lebens" Vittorio Klostermann 1995

      28 Heidegger, M., "Phänomenologie der Anschauung und des Ausdrucks. Theorie der Philosophischen Begriffsbildung" Vittorio Klostermann 1993

      29 Pascal B., "Pensées" Samizdat 2016

      30 Heidegger, M., "Ontologie: Hermeneutik der Faktizität" Vittorio Klostermann 1988

      31 Scheler, M., "On the Eternal in Man" Haper 1960

      32 Heidegger, M., "Metaphysiche Anfangsgründe der Logik im Ausgang von Leibniz" Vittorio Klostermann 1978

      33 Frings, M. S., "Max Scheler: a Concise Introduction into the World of a Great Thinker" Duquesne University Press 1965

      34 Frings, M. S., "Max Scheler(1874-1928): Continental Essays" Martinus Nijhof 1974

      35 Morin, E., "L’homme et la mort" seuil 1976

      36 Scheler, M, "Liebe und Erkenntnis" Francke Verlag 1970

      37 Heidegger, M., "Kant und das Problem der Metaphysik" Vittorio Klostermann 1973

      38 Husserl, E., "Ideen zu einer reinen Phänomenologie und Phänomenologischen Philosophie. Erstes Buch: Allgemeine Einführung in die reine Phänomenologie" Martinus Nijhoff 1976

      39 Heidegger, M., "Grundfragen der Philosophie" Vittorio Klostermann 1992

      40 Heidegger, M., "Gelassenheit" Günther Neske Verlag 1959

      41 Heidegger, M., "Einleitung in die Philosophie" Vittorio Klostermann 1996

      42 Heidegger, M., "Dilthey-Jahrbuch für Philosophie und Geisteswissenschaften, Bd6" Vandenhoeck & Ruprecht in Göttingen 1989

      43 Scheler, M., "Die Stellung des Menschen im Kosmos" Francke Verlag 1976

      44 Heidegger, M., "Die Metaphysik des deutschen idealismus" Vittorio Klostermann 1991

      45 Heidegger, M., "Die Grundbegriffe der Metaphysik" Vittorio Klostermann 1983

      46 Dilthey, "Die Geistige Welt: Einleitung in die Philosophie des Lebens" Vandenhoeck und Ruprecht 1958

      47 Scheler, M., "Der Formalismus in der Ethik und die materiale Wertethik"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1973

      48 Heidegger, H., "Der Begriff der Zeit" Vittorio Klostermann 2004

      49 Buber, M., "Das Problem des Menschen" Gütersloher 2000

      50 Augustine, "Confession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51 Heidegger, M., "Beiträge zur Philosophie(vom Ereignis)" Vittorio Klostermann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53 1.021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