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태권도 시범전공 대학생의 참여동기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 The relationship among motivation,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Taekwondo demonstration students in colleg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523911

      • 저자
      • 발행사항

        의정부 : 신한대학교, 2020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73.3 판사항(6)

      • DDC

        371.33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경기도

      • 형태사항

        vii, 83장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구효진
        권말부록: 설문지 등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신한대학교 중앙도서관(제2캠퍼스–동두천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시범전공 대학생들의 참여동기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에 있다. 즉, 태권도 시범전공 대학생의 참여동기와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규명과 각 변인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통해 향후 바람직한 진로결정 방안을 고안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을 검증하기 위해 대상을 수도권, 강원·충청권, 호남권, 영남권 소재에 위치한 경희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등 14개의 대학교 태권도학과 및 태권도 관련학과 시범단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표집 하였으며, 약 2개월 동안 306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회수된 306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하다고 판단되는 설문지 10부를 제외한 총 296부의 자료를 최종 사용하였다.
      회수된 자료 처리는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통계기법은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변량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해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변인에 따른 참여동기의 차이는 성별, 연령, 학년, 종교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효능감에서는 성별, 학년, 종교에 따라 차이가 났으며, 진로결정수준에서는 태권도수련경력에 따라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동기와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참여동기는 자기효능감의 모든 하위요인인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선호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여동기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참여동기는 진로결정수준의 하위요인인 진로미결정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은 진로결정수준의 하위요인인 진로미결정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타나났다.
      이 연구는 참여동기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결과의 활용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의 대상을 태권도 시범전공 대학생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기 때문에 모든 연령의 태권도 시범전공자에게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표본의 규모를 확대하여 일반화를 위한 필요가 있다.
      둘째, 태권도의 세부 전공 중 시범전공자로 제한하여 참여동기와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 대하여 분석하고 있기 때문에 좀 더 다양한 태권도 전공자(겨루기, 품새)를 대상으로 표집의 규모를 확대하여 다양한 전공의 연구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시범전공 대학생들의 참여동기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에 있다. 즉, 태권도 시범전공 대학생의 참여동기와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이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시범전공 대학생들의 참여동기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에 있다. 즉, 태권도 시범전공 대학생의 참여동기와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규명과 각 변인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통해 향후 바람직한 진로결정 방안을 고안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을 검증하기 위해 대상을 수도권, 강원·충청권, 호남권, 영남권 소재에 위치한 경희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등 14개의 대학교 태권도학과 및 태권도 관련학과 시범단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표집 하였으며, 약 2개월 동안 306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회수된 306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하다고 판단되는 설문지 10부를 제외한 총 296부의 자료를 최종 사용하였다.
      회수된 자료 처리는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통계기법은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변량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해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변인에 따른 참여동기의 차이는 성별, 연령, 학년, 종교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효능감에서는 성별, 학년, 종교에 따라 차이가 났으며, 진로결정수준에서는 태권도수련경력에 따라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동기와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참여동기는 자기효능감의 모든 하위요인인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선호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여동기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참여동기는 진로결정수준의 하위요인인 진로미결정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은 진로결정수준의 하위요인인 진로미결정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타나났다.
      이 연구는 참여동기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결과의 활용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의 대상을 태권도 시범전공 대학생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기 때문에 모든 연령의 태권도 시범전공자에게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표본의 규모를 확대하여 일반화를 위한 필요가 있다.
      둘째, 태권도의 세부 전공 중 시범전공자로 제한하여 참여동기와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 대하여 분석하고 있기 때문에 좀 더 다양한 태권도 전공자(겨루기, 품새)를 대상으로 표집의 규모를 확대하여 다양한 전공의 연구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by college students in taekwondo demonstr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iency and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In other words, we want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devise desirable path-setting measures in the future through an analysis of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self-efficiency, level of career-setting, and the impact of each of the variables.
      To verify the purpose of the study, 14 university students, including Kyunghee University,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Gangwon and Chungcheong provinces, Honam and Gyeongsang provinces, and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Physical Education, were selected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surveyed 306 students for about two months. A total of 296 parts of the 306 collected questionnaire, excluding 10 that were deemed to be disloyal, were finally used.
      Recovered data processing used the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and statistical techniques use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varianc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nalyzed through these methods and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in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by the background spokesperson was found to be different among groups according to gender, age, grade and religion, and in self-efficiency,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gender, grade and religion, and at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 in taekwondo.
      Second,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elf-efficiency showed that participation motivation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all sub-factors of self-efficiency: confidence, self-control effectiveness,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s.
      Third,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participation and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revealed that the motive for participatio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 sub-factor of the level of career determination.
      Fourth, after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elf-efficiency and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the sense of self-efficiency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to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which is a sub-factor of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level.
      This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and the level of self-efficiency and career decision,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uggestions for utiliz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ecause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selected as a taekwondo demonstration major and conducted the study, there are some limitations to generalize it to taekwondo practitioners of all ages. Therefore, subsequent studies need to expand the sample size for generalization.
      Second, because we are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elf-efficiency and career-deciding level by limiting the number of taekwondo practitioners among the detailed majors, it is believed that the scale of the list should be expanded to cover a wide variety of taekwondo majors (Kyorugi, Poomsae) to study various majors.
      번역하기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by college students in taekwondo demonstr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iency and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In other words, we want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devise des...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by college students in taekwondo demonstr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iency and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In other words, we want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devise desirable path-setting measures in the future through an analysis of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self-efficiency, level of career-setting, and the impact of each of the variables.
      To verify the purpose of the study, 14 university students, including Kyunghee University,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Gangwon and Chungcheong provinces, Honam and Gyeongsang provinces, and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Physical Education, were selected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surveyed 306 students for about two months. A total of 296 parts of the 306 collected questionnaire, excluding 10 that were deemed to be disloyal, were finally used.
      Recovered data processing used the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and statistical techniques use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varianc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nalyzed through these methods and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in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by the background spokesperson was found to be different among groups according to gender, age, grade and religion, and in self-efficiency,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gender, grade and religion, and at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 in taekwondo.
      Second,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elf-efficiency showed that participation motivation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all sub-factors of self-efficiency: confidence, self-control effectiveness,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s.
      Third,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participation and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revealed that the motive for participatio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 sub-factor of the level of career determination.
      Fourth, after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elf-efficiency and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the sense of self-efficiency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to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which is a sub-factor of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level.
      This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and the level of self-efficiency and career decision,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uggestions for utiliz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ecause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selected as a taekwondo demonstration major and conducted the study, there are some limitations to generalize it to taekwondo practitioners of all ages. Therefore, subsequent studies need to expand the sample size for generalization.
      Second, because we are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elf-efficiency and career-deciding level by limiting the number of taekwondo practitioners among the detailed majors, it is believed that the scale of the list should be expanded to cover a wide variety of taekwondo majors (Kyorugi, Poomsae) to study various majo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연구변인 및 가설 4
      • 1) 연구변인 4
      • 제 1 장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연구변인 및 가설 4
      • 1) 연구변인 4
      • 2) 연구가설 5
      • 4. 연구의 제한점 5
      • 5. 용어의 정의 6
      • 1) 태권도 시범 6
      • 2) 참여동기 6
      • 3) 자기효능감 6
      • 4) 진로결정수준 7
      • 제 2 장 이론적 배경 8
      • 1. 태권도 시범 8
      • 1) 태권도 시범의 정의와 목적 8
      • 2) 현재의 태권도 시범(공연, 예술화) 9
      • 2. 태권도 시범단 10
      • 1) 태권도 시범단의 역사 10
      • 2) 대학 시범단의 창단 12
      • 3. 참여동기 13
      • 1) 참여동기의 정의 13
      • 2) 참여동기의 분류 14
      • (1) 내적동기 14
      • (2) 외적동기 16
      • (3) 무동기 18
      • 3) 참여동기와 스포츠 활동 19
      • 4. 자기효능감 21
      • 1) 자기효능감의 정의 21
      • 2) 자기효능감의 구성요인 23
      • (1) 자신감 24
      • (2) 자기조절효능감 25
      • (3) 과제난이도 25
      • 3) 자기효능감과 스포츠 활동 26
      • 4. 진로결정수준 26
      • 1) 진로결정 26
      • 2) 진로결정수준의 개념 27
      • 3) 대학생 시기 진로결정수준의 중요성 30
      • 제 3 장 연구방법 32
      • 1. 연구대상 32
      • 2. 측정도구 34
      • 1) 인구통계학적 특성 35
      • 2) 참여동기 척도 35
      • 3) 자기효능감 척도 35
      • 4) 진로결정수준 척도 36
      • 3. 설문지 타당도 및 신뢰도 36
      • 1) 설문지의 타당도 36
      • 2) 설문지의 신뢰도 40
      • 3) 상관계수 분석 41
      • 4. 조사절차 및 자료처리방법 42
      • 제 4 장 결 과 43
      • 1. 배경변인에 따른 참여 동기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차이 43
      • 1) 배경변인에 따른 참여동기의 차이 43
      • 2) 배경변인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 45
      • 3) 배경변인에 따른 진로결정수준의 차이 46
      • 2. 태권도 시범전공 대학생의 참여동기와 자기효능감의 관계 48
      • 1) 태권도 시범전공 대학생의 참여동기와 자신감의 관계 48
      • 2) 태권도 시범전공 대학생의 참여동기와 자기조절효능감의 관계 49
      • 3) 태권도 시범전공 대학생의 참여동기와 과제난이도선호의 관계 49
      • 3. 태권도 시범전공 대학생의 참여동기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50
      • 4. 태권도 시범전공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51
      • 제 5 장 논 의 52
      • 1. 태권도 시범전공 대학생의 참여동기와 자기효능감 52
      • 2. 태권도 시범전공 대학생의 참여동기와 진로결정수준 54
      • 3. 태권도 시범전공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 55
      • 제 6 장 결론 및 제언 57
      • 1. 결론 57
      • 2. 제언 58
      • 참고문헌 60
      • Abstract 75
      • 부 록 7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