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라도 강진 私立金陵學校의 설립과 성격 = The Foundation and Nature of the Private Geumreung School in Gangjin, Jeolla Provi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590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ivate Geumreung School was founded as Gangjin's first modern school in August, 1906 and became a public primary school in the area in 1911. Jo Jung-gwan, the county governor, played huge roles in the opening of the school. Upon his arrival as the new county governor, he started to build a school building, invite teachers, and recruit students to found a school. He also pushed forward the idea of converting the private school into a public one himself by taking advantage of his connections in Seoul. His involvement was also personal in persuading opponents and bystanders and encouraging their participation. He also put Ijoks in the publication office or under his command into the foundation and management of the school and provided military funds, as well. There is no doubt that he made enormous contributions to the school, but the participation of all walks of life in the county was the biggest driving force behind the opening and settlement of the school. First, the noblemen, who had dominated the community as the biggest power, and the Confucian scholars, who had insisted only on the old study, participated in the project in large numbers. Of them, conservative and traditional Confucian scholars took big part in the project with reformed ones taking the leading role in it. In addition, the Ijoks of Gangjin took comprehensive part in the project. Not only did they made donations, but they also took charge in the practical affairs of the school including general affairs, clerk works, and accounting based on their administrative experiences over the years. Of the participants including Confucian scholars and Ijoks, many passed the state exam, held public office, or accumulated wealth through land ownership and management, port commerce, and moneylending business.
      번역하기

      The private Geumreung School was founded as Gangjin's first modern school in August, 1906 and became a public primary school in the area in 1911. Jo Jung-gwan, the county governor, played huge roles in the opening of the school. Upon his arrival as th...

      The private Geumreung School was founded as Gangjin's first modern school in August, 1906 and became a public primary school in the area in 1911. Jo Jung-gwan, the county governor, played huge roles in the opening of the school. Upon his arrival as the new county governor, he started to build a school building, invite teachers, and recruit students to found a school. He also pushed forward the idea of converting the private school into a public one himself by taking advantage of his connections in Seoul. His involvement was also personal in persuading opponents and bystanders and encouraging their participation. He also put Ijoks in the publication office or under his command into the foundation and management of the school and provided military funds, as well. There is no doubt that he made enormous contributions to the school, but the participation of all walks of life in the county was the biggest driving force behind the opening and settlement of the school. First, the noblemen, who had dominated the community as the biggest power, and the Confucian scholars, who had insisted only on the old study, participated in the project in large numbers. Of them, conservative and traditional Confucian scholars took big part in the project with reformed ones taking the leading role in it. In addition, the Ijoks of Gangjin took comprehensive part in the project. Not only did they made donations, but they also took charge in the practical affairs of the school including general affairs, clerk works, and accounting based on their administrative experiences over the years. Of the participants including Confucian scholars and Ijoks, many passed the state exam, held public office, or accumulated wealth through land ownership and management, port commerce, and moneylending busin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사립금릉학교는 강진 최초의 근대학교로 1906년 8월에 개교하여 1911년에 강진공립보통학교로 이어졌다. 금릉학교 개교에는 군수 조중관의 역할이 컸다. 그는 부임하자마자 학교를 설립하여 본인 스스로 건물을 짓고, 교사를 초빙하고, 학생을 모집했다. 서울 지인들을 통해 몸소 공립으로의 전환도 추진했다. 반대자나 방관자를 설득하여 참여시키는 일도 직접 행했다. 그리고 자신의 책실이나 휘하의 이족들을 개교⋅운영에 투입했고, 군 재정도 지원했다. 군수의 역할도 컸지만, 관내 각계각층의 동참이 금릉학교 개교와 안착에 가장 큰 동력이 되었다. 우선 그 동안 지역의 최고 집단으로 군림해온 양반, 구학문을 고집하는 유림층이 대거 참여했다. 그 가운데 개신유림들이 선도적인 역할을 했지만, 보수적인 전통유림도 적지 않게 참여했다. 그리고 강진의 이족들이 광범위하게 참여했다. 그들은 후원금만 내는 것이 아니라 그간의 행정경험을 토대로 총무⋅서기⋅회계 등을 맡아 학교 실무를 맡기도 했다. 유림이건 이족이건 간에 참여자 가운데는 과거 합격자나 관직 역임자 또는 지주경영이나 포구상업 및 사채업을 통해 재력을 축적한 이가 적지 않았다.
      번역하기

      사립금릉학교는 강진 최초의 근대학교로 1906년 8월에 개교하여 1911년에 강진공립보통학교로 이어졌다. 금릉학교 개교에는 군수 조중관의 역할이 컸다. 그는 부임하자마자 학교를 설립하여 ...

      사립금릉학교는 강진 최초의 근대학교로 1906년 8월에 개교하여 1911년에 강진공립보통학교로 이어졌다. 금릉학교 개교에는 군수 조중관의 역할이 컸다. 그는 부임하자마자 학교를 설립하여 본인 스스로 건물을 짓고, 교사를 초빙하고, 학생을 모집했다. 서울 지인들을 통해 몸소 공립으로의 전환도 추진했다. 반대자나 방관자를 설득하여 참여시키는 일도 직접 행했다. 그리고 자신의 책실이나 휘하의 이족들을 개교⋅운영에 투입했고, 군 재정도 지원했다. 군수의 역할도 컸지만, 관내 각계각층의 동참이 금릉학교 개교와 안착에 가장 큰 동력이 되었다. 우선 그 동안 지역의 최고 집단으로 군림해온 양반, 구학문을 고집하는 유림층이 대거 참여했다. 그 가운데 개신유림들이 선도적인 역할을 했지만, 보수적인 전통유림도 적지 않게 참여했다. 그리고 강진의 이족들이 광범위하게 참여했다. 그들은 후원금만 내는 것이 아니라 그간의 행정경험을 토대로 총무⋅서기⋅회계 등을 맡아 학교 실무를 맡기도 했다. 유림이건 이족이건 간에 참여자 가운데는 과거 합격자나 관직 역임자 또는 지주경영이나 포구상업 및 사채업을 통해 재력을 축적한 이가 적지 않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성신문"

      2 "해남윤씨대동보"

      3 박찬승, "한말 호남학회 연구" 53 : 1994

      4 유한철, "한말 사립학교령 이후 일제의 사학탄압과 그 특징" 2 : 1988

      5 유승렬, "한말 교육 운동의 추이와 객주" 81 : 2002

      6 김태웅, "한국근대 지방재정 연구" 아카넷 2012

      7 민족문제연구소, "친일인명사전" 3-, 2009

      8 "청주김씨족보"

      9 "조선총독부관보"

      10 김덕진, "조선의 상업과 강진" 8 : 2015

      1 "황성신문"

      2 "해남윤씨대동보"

      3 박찬승, "한말 호남학회 연구" 53 : 1994

      4 유한철, "한말 사립학교령 이후 일제의 사학탄압과 그 특징" 2 : 1988

      5 유승렬, "한말 교육 운동의 추이와 객주" 81 : 2002

      6 김태웅, "한국근대 지방재정 연구" 아카넷 2012

      7 민족문제연구소, "친일인명사전" 3-, 2009

      8 "청주김씨족보"

      9 "조선총독부관보"

      10 김덕진, "조선의 상업과 강진" 8 : 2015

      11 윤희면, "조선시대 전라도 司馬案 연구 -강진 사마안 사례-" 호남학연구원 (53) : 67-114, 2013

      12 윤희면, "조선시대 전남의 향교 연구" 전남대학교 출판부 2015

      13 박맹수, "전라도 유교지식인의 동학농민군 인식과 대응" 한국근현대사학회 (51) : 108-138, 2009

      14 김종준, "일진회의 문명화론과 친일활동" 신구문화사 2010

      15 이기훈, "일제하 강진 지역의 민족운동의 전개와 의의" 10 : 2017

      16 홍영기, "오기호⋅윤주찬의 민족운동, in 20세기 강진의 갈등과 치유" 2018

      17 김태웅, "신식 소학교의 탄생과 학생의 삶" 서해문집 2017

      18 "승정원일기"

      19 "송은당유고"

      20 김덕진, "손에 잡히는 강진역사" 남양미디어 2015

      21 권수용, "성균관박사 이흠李嶔의 입격과정과 경의문대" 한국국학진흥원 (32) : 91-120, 2017

      22 "봉남일기"

      23 백양교회, "백양교회 97년사 백양마을사" 시와 사람 1998

      24 "목포시사"

      25 국립중앙박물관, "명문문기류"

      26 "매일신보"

      27 "대한매일신보"

      28 류시현, "금릉학교의 운영과 학생활동, in 강진지역의 근대화와 그 반향" 2014

      29 권수용, "근대 강진 유학자의 강학활동과 연파, in 강진지역의 근대화와 그 반향" 2014

      30 "강진향토지"

      31 "강진일보"

      32 "韓國地方史資料叢書"

      33 "金海金氏松亭派世譜"

      34 韓國農村經濟硏究院, "農地改革時 被分配地主 및 日帝下 大地主 名簿"

      35 "秀巖祠養儒契案"

      36 "湖南學報"

      37 "桂陽遺稿"

      38 "朝鮮紳士大同譜"

      39 "景晦集"

      40 "慶州金氏太師公派俊鼎派譜"

      41 "康津鄕校誌"

      42 金淇森, "康津郡의 民族運動硏究" 조선대 사회과학연구소 1995

      43 "康津郡마을史"

      44 "康津郡誌"

      45 "壽星堂誌"

      46 "君子書院誌"

      47 "南康書院誌"

      48 "公文編案"

      49 "『학교연혁사』1⋅2"

      50 김윤희, "<일본유학가(日本留學歌)>에 형상화된 유학(留學) 체험과 가사 문학적 특질" 한민족문화학회 (40) : 95-120, 2012

      51 김덕진, "19세기말 藥局 판매장부를 통해 본 의약 거래관행" 호남사학회 (69) : 239-277, 2018

      52 권수용, "19세기 해남 鄕吏 鄭愚衡의 수신간찰 연구" 한국고문서학회 51 : 263-284, 2017

      53 박찬승, "1920,30년대 康津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역사문화학회 14 (14): 151-202,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전남사학 -> 역사학연구 KCI등재
      2006-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전남사학회 -> 호남사학회
      영문명 : Chonnam Historical Association -> Honam Historical Associ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 1.18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