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許穆의 『先祖永言』과 別曲의 개념 형성 과정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2032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writing intends to define the concept of Byeolgok, a kind of an unrhymed verse based on the examples of the connected literature. The clue of the solution can be found in Sehosabal written by Heomok. He asserted that the first title Sehosa was ch...

      This writing intends to define the concept of Byeolgok, a kind of an unrhymed verse based on the examples of the connected literature. The clue of the solution can be found in Sehosabal written by Heomok. He asserted that the first title Sehosa was changed into Seho-byeolgok because it was registered at Akbu. So this writing focused on tracing the meaning of its registration at Akbu. Such efforts could find out the following fact. When a work was assigned to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office called Akbu and it was entitled as the official song, the term of Byeolgok could be given.
      Byeolgok was performed by gisaeng and professional musician who belonged to government official and it was the high class music which was enjoyed by the nobles. Also, Byeolgok was a creative piece which had one on one lyric with melody. Therefore, two concepts were contained in the term of Byeolgok, which was used for playing the music instrument as well as for singing the song.
      When the age of Josun(Lee dynasties) began, no other new piece for the performance was made. As the result the concept of for playing instruments gradually fade. Byeolgok for singing had the long form mainly, which had set in. Regardless of the types, the term of Byeolgok as a byname of Jangga vs. Danga lasted to the end of Josu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先祖永言』에서 제기되는 별곡의 문제
      • 3. ‘載之樂府’와 별곡
      • 4. 長歌와 별곡
      • 5. 결론
      • 1. 서론
      • 2. 『先祖永言』에서 제기되는 별곡의 문제
      • 3. ‘載之樂府’와 별곡
      • 4. 長歌와 별곡
      • 5.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賢輔, "聾巖集"

      2 송방송, "한국음악통사" 일조각 1995

      3 정병욱,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1993

      4 "태종실록"

      5 서수생, "청산별곡 소고"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1 : 27-47, 1963

      6 김사엽, "이조시대의 가요연구" 대양출판사 1956

      7 박경우, "이른바 '別曲'이란 명칭에 대한 재론" 국어국문학회 141 : 371-399, 2005

      8 성호경, "우전 신호열선생 고희기념논총" 창작과비평사 1983

      9 황위주, "악부시의 개념과 양식적 특징" 남명학연구원 12 : 47-61, 2007

      10 "세종실록"

      1 李賢輔, "聾巖集"

      2 송방송, "한국음악통사" 일조각 1995

      3 정병욱,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1993

      4 "태종실록"

      5 서수생, "청산별곡 소고"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1 : 27-47, 1963

      6 김사엽, "이조시대의 가요연구" 대양출판사 1956

      7 박경우, "이른바 '別曲'이란 명칭에 대한 재론" 국어국문학회 141 : 371-399, 2005

      8 성호경, "우전 신호열선생 고희기념논총" 창작과비평사 1983

      9 황위주, "악부시의 개념과 양식적 특징" 남명학연구원 12 : 47-61, 2007

      10 "세종실록"

      11 "세조실록"

      12 "성종실록"

      13 김창규, "별곡체가 연구(1)" 국어교육학회 3 : 43-64, 1971

      14 김태준, "별곡의 연구"

      15 "동문선 권13, 권21, 권22"

      16 장사훈, "국악대사전" 세광음악출판사 1961

      17 이병기, "국문학전사" 신구문화사 1957

      18 김택규, "고려시대의 언어와 문학" 형설출판사 1975

      19 "고려사 제71권"

      20 최정여, "고려가요연구" 정음사 1979

      21 曺友仁, "頤齋集"

      22 權近, "陽村先生文集"

      23 李滉, "退溪先生文集"

      24 吳道一, "西坡集"

      25 成俔, "虛白堂文集"

      26 李齊賢, "益齋亂稿"

      27 安瑺, "琴合字譜"

      28 金尙憲, "淸陰先生集"

      29 白光弘, "岐峯集"

      30 郭期壽, "寒碧堂文集"

      31 "大樂後譜" 국립국악원 1979

      32 許穆, "先祖永言"

      33 김현식, "<서호별곡>과 <서호사>의 변이양상과 그 의미" 한국고전문학회 (25) : 184-215, 2004

      34 류속영, "16세기 사대부 가요의 전개와 향유 양상" 부산대학교 2011

      35 이창신, ""腔"과 "葉"의 음악적 관계에 대하여" 서울대학교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0.99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