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정보를 가상공간에 구축 할 때 연속성을 가지면서 정확하고 정밀하게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최근, 정육면체, 십이면체 등 입체도형을 활용하는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그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338684
202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11(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실정보를 가상공간에 구축 할 때 연속성을 가지면서 정확하고 정밀하게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최근, 정육면체, 십이면체 등 입체도형을 활용하는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그러...
현실정보를 가상공간에 구축 할 때 연속성을 가지면서 정확하고 정밀하게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최근, 정육면체, 십이면체 등 입체도형을 활용하는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타원형인 지구와 정보를 정확하고 정밀하게 저장, 관리하기 위해서는 정육면체와 십이면체의 특성으로 부족하다. 따라서 정육면체와 십사면체의 한계를 극복하고 가상지구의 공간을 균등하게 분할하여 위치를 참조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고자 했다. 가상지구를 균등하게 분할하기 위한 다면체로 십사면체가 사용되어야 하는 이유를 정육면체, 십이면체와 비교를 통해 제시했다. 비교결과 십사면체는 통로구조의 직선적인 표현과 곡선의 표현이 모두 가능하고, 동일한 부피의 공간을 더 세밀하게 분할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십사면체의 특성을 바탕으로 십사면체 기반 가상지구 모형을 제시했다. 이 가상지구 모형은 공간을 균등하게 분할하고 3차원 공간정보를 저장, 관리하기 위한 위치참조체계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research in the field of spatial information was conducted on ways to utilize stereoscopic shapes such as cubes and dodecahedrons to have continuity and use them precisely when real-world information was built in virtual space. However, to s...
Recently, research in the field of spatial information was conducted on ways to utilize stereoscopic shapes such as cubes and dodecahedrons to have continuity and use them precisely when real-world information was built in virtual space. However, to store and manage the ellipsoid earth and its information accurately and precisely, the properties of cubes and dodecahedrons are not enough. In this study, show how discrete to 3D the space of a virtual earth representing real-world information and refer to its location. First of all, presented a model for dividing the virtual earth using tetradecahedrons and a reason why it should be used to divide equally. Through comparison of cubes, dodecahedrons, tetradecahedrons suggests a reason for the use of tetradecahedrons. Results of comparisons show that tetradecahedron can represent linear continuity and curves, and can segment the same space more precisely and detail than a cub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etradecahedrons, suggested the Tetradecahedrons Virtual Earth(TVE). This model will feasible utilized as georeference system for managing, storing 3D spatial data.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수희, "대용량 3차원 포인트 클라우드를 위한 파일참조 옥트리의 구현" 한국측량학회 32 (32): 109-115, 2014
2 양승찬, "다단계 정육면체 격자 기반의 가상점 생성을 통한 대용량 3D point cloud 가시화" 한국측량학회 30 (30): 335-342, 2012
3 김지은, "건축 MEP 역설계 지침을 위한 라이다 기반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 자료 구조 및 프로세스 기초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5695-5706, 2015
4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User manual of grid ocean information service"
5 Lim, S. Y., "The study on the strategies for linking and utilizing realistic world and virtual world agains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KRIHS 2017
6 Goodchild, M. F., "The map reader: theories of mapping practice and cartographic representation" John Wiley & Sons, Ltd 141-146, 2011
7 Wright, D. J., "The emergence of spatial cyberinfrastructure, PNAS Journal" 108 (108): 5488-5491, 2011
8 Denis Weaire, "The Kelvin Problem – Foam Structures of Minimal Surface Area" Taylor&Francis 1996
9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ocal coordinate system" 2009
10 Gang W., "Sphere shell space 3D grid" XL-4/W2 : 77-82, 2013
1 한수희, "대용량 3차원 포인트 클라우드를 위한 파일참조 옥트리의 구현" 한국측량학회 32 (32): 109-115, 2014
2 양승찬, "다단계 정육면체 격자 기반의 가상점 생성을 통한 대용량 3D point cloud 가시화" 한국측량학회 30 (30): 335-342, 2012
3 김지은, "건축 MEP 역설계 지침을 위한 라이다 기반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 자료 구조 및 프로세스 기초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5695-5706, 2015
4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User manual of grid ocean information service"
5 Lim, S. Y., "The study on the strategies for linking and utilizing realistic world and virtual world agains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KRIHS 2017
6 Goodchild, M. F., "The map reader: theories of mapping practice and cartographic representation" John Wiley & Sons, Ltd 141-146, 2011
7 Wright, D. J., "The emergence of spatial cyberinfrastructure, PNAS Journal" 108 (108): 5488-5491, 2011
8 Denis Weaire, "The Kelvin Problem – Foam Structures of Minimal Surface Area" Taylor&Francis 1996
9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ocal coordinate system" 2009
10 Gang W., "Sphere shell space 3D grid" XL-4/W2 : 77-82, 2013
11 Lee, S. M., "Spatial information strategy improvement direction for seoul" The Seoul Institute 2019
12 Kang, H. K., "Position identification scheme for ubiquitous spatial computing" 280-285, 2008
13 OGC, "OGC city Geography Markup Language (CityGML) encoding standard"
14 Craglia, M., "NextGeneration digital earth" 3 : 146-167, 2008
15 ISO, "ISO/CD19170-1 Geographic informationdiscrete global grid systems"
16 Mahdavi-Amiri, A., "Geospatial data organization methods with emphasis on aperture 3 hexagonal discrete global grid systems" 2018
17 Goer, A., "Digital earth: understanding our planet in the 21st century" 43 (43): 89-91, 1998
18 Hiromichi, H., "Digital earth for sustainable future" KRIHS 321 : 65-77, 2008
19 Cragila, M., "Digital earth 2020:towards the vision for the next decade" Talor &Francis 5 (5): 4-21, 2012
20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Development of integrated land management support technology based on 3dimensional geospatial grid system" 2019
21 Ryu J. S., "Concept and framework of 3D geo-spatial grid system" 136-149, 2019
22 Berry, J. K., "Beyond mapping compilation series - GIS modeling: applying map applying map analysis tools and techniques" BASIS Press 2009
23 Kim, M. J., "At 4th industrial revolution, direction of spatial information strategy" KRIHS 423 : 37-43, 2017
24 Ryu, J. S., "A study on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3D grid system development" 230-233, 2017
25 Sagong, H. S., "A study on the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strategies for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KRIHS 2017
26 Sagong, H. S., "A study on policy directions for geospatial information in a hyper-connected society" KRIHS 2016
빅 데이터 웨어하우스 시스템에서 분산 공간 색인과 질의 처리의 설계와 구현
스마트도시 정보 관리를 위한 도시 데이터 분류체계 정립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9-03-1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대한공간정보학회지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2019-01-29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공간정보학회 -> 대한공간정보학회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5-03-3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3-01-0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지형공간 정보학회지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0-05-07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GIS학회 -> 한국공간정보학회영문명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ssociation Of Korea ->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KSIS)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3 | 0.83 | 0.7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3 | 0.61 | 0.947 | 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