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선거경합도와 투표율의 관계: 한국 역대 국회의원선거 통합분석 = How Electoral Closeness Affects Voter Turnout: Korean Assembly Elections from 1988 to 2012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905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후보자 간 득표율이 접전일 때 과연 투표율이 높아지는가 하는 점에 대해 우리나라국회의원선거 중 민주화 이후 치러진 모든 선거결과를 대상으로 선거구별로 선거경합도와 투표율 간의 상관관계를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투표율을 종속변수로 하여 독립변수로 선거구별 1위와 2위 후보자 간의 득표율 차이인 선거경합도와 지역주의 변수 그리고 후보자 수를통제변수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기존 연구 등이 가정하고 있는 바와 같이 선거가 박빙일수록투표율이 올라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단순히 투표율과 선거경합도에 관한 스캐터플롯을 그려보았을 때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처럼 보였지만 다른 변수들을 통제하거나 보다 정확한 통계치 등을 가지고 살펴보면 다르게 나온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지역주의가 여전히 투표율증가에 기여하고 이 변수를 통제할 때에도 선거경합성이 투표율 증가에 기여한다고 본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후보자 간 득표율이 접전일 때 과연 투표율이 높아지는가 하는 점에 대해 우리나라국회의원선거 중 민주화 이후 치러진 모든 선거결과를 대상으로 선거구별로 선거경합도와 투표...

      이 연구는 후보자 간 득표율이 접전일 때 과연 투표율이 높아지는가 하는 점에 대해 우리나라국회의원선거 중 민주화 이후 치러진 모든 선거결과를 대상으로 선거구별로 선거경합도와 투표율 간의 상관관계를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투표율을 종속변수로 하여 독립변수로 선거구별 1위와 2위 후보자 간의 득표율 차이인 선거경합도와 지역주의 변수 그리고 후보자 수를통제변수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기존 연구 등이 가정하고 있는 바와 같이 선거가 박빙일수록투표율이 올라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단순히 투표율과 선거경합도에 관한 스캐터플롯을 그려보았을 때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처럼 보였지만 다른 변수들을 통제하거나 보다 정확한 통계치 등을 가지고 살펴보면 다르게 나온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지역주의가 여전히 투표율증가에 기여하고 이 변수를 통제할 때에도 선거경합성이 투표율 증가에 기여한다고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eals with how electoral closeness affects voter turnout in the National Assembly elections from 1988 to 2012, using district-level election results. In our model, the dependent variable is voter turnout at the district level. The independent variable of primary interest is electoral closeness measured in terms of the difference in vote share between the winner and the runner-up. The model has two control variables: regionalism and the nominal number of candidates. We confirm that close elections tend to increase voter turnout, as in other earlier studies. In particular, we find that electoral closeness still positively affects turnout, even when regionalism is placed under control. The effect of the number of candidates, however, does not seem to affect turnout, which needs further verific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deals with how electoral closeness affects voter turnout in the National Assembly elections from 1988 to 2012, using district-level election results. In our model, the dependent variable is voter turnout at the district level. The independe...

      This study deals with how electoral closeness affects voter turnout in the National Assembly elections from 1988 to 2012, using district-level election results. In our model, the dependent variable is voter turnout at the district level. The independent variable of primary interest is electoral closeness measured in terms of the difference in vote share between the winner and the runner-up. The model has two control variables: regionalism and the nominal number of candidates. We confirm that close elections tend to increase voter turnout, as in other earlier studies. In particular, we find that electoral closeness still positively affects turnout, even when regionalism is placed under control. The effect of the number of candidates, however, does not seem to affect turnout, which needs further verifi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진만, "한국 재?보궐선거의 결정요인 분석" 한국정치학회 40 (40): 75-98, 2006

      2 윤성호, "투표참여의 경제학: 제18대 국회의원선거 투표율 결정요인 분석" 한국경제학회 58 (58): 221-254, 2010

      3 조성대, "투표참여와 기권의 정치학: 합리적 선택이론의 수리모형과 17대 총선" 한국정치학회 40 (40): 51-74, 2006

      4 정수현, "투표율과 사회경제적 지위모델: 제4회와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투표율 분석"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1 (21): 27-54, 2012

      5 김욱, "투표율 제고를 위한 제도적 방안" 2 (2): 175-196, 2009

      6 조기숙, "총선연대의 낙선운동이 16대 총선 투표율을 낮추었나?" 한국정치학회 36 (36): 163-183, 2002

      7 류재성, "지역구 선거경쟁과 국회의원 선거 투표율: 제14∼18대 총선" 대한정치학회 17 (17): 235-259, 2009

      8 이종수, "지방선거 투표율에 관한 국가 간 비교와 한국 지방선거의 투표율 결정요인 고찰" 2000

      9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제19대 국회의원선거 총람" 2012

      10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제18대 국회의원선거 총람" 2008

      1 조진만, "한국 재?보궐선거의 결정요인 분석" 한국정치학회 40 (40): 75-98, 2006

      2 윤성호, "투표참여의 경제학: 제18대 국회의원선거 투표율 결정요인 분석" 한국경제학회 58 (58): 221-254, 2010

      3 조성대, "투표참여와 기권의 정치학: 합리적 선택이론의 수리모형과 17대 총선" 한국정치학회 40 (40): 51-74, 2006

      4 정수현, "투표율과 사회경제적 지위모델: 제4회와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투표율 분석"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1 (21): 27-54, 2012

      5 김욱, "투표율 제고를 위한 제도적 방안" 2 (2): 175-196, 2009

      6 조기숙, "총선연대의 낙선운동이 16대 총선 투표율을 낮추었나?" 한국정치학회 36 (36): 163-183, 2002

      7 류재성, "지역구 선거경쟁과 국회의원 선거 투표율: 제14∼18대 총선" 대한정치학회 17 (17): 235-259, 2009

      8 이종수, "지방선거 투표율에 관한 국가 간 비교와 한국 지방선거의 투표율 결정요인 고찰" 2000

      9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제19대 국회의원선거 총람" 2012

      10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제18대 국회의원선거 총람" 2008

      11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제17대 국회의원선거 총람" 2004

      12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제16대 국회의원선거 총람" 2000

      13 정대화, "제16대 국회의원 총선거와 시민 운동 단체의 정치 개입-투표율, 지역, 감정, 세대교체와 총선연대 낙선 운동의 상관성" 45 : 35-70, 2000

      14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제15대 국회의원선거 총람" 1996

      15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제14대 국회의원선거 총람" 1992

      16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제13대 국회의원선거 총람" 1988

      17 한정훈, "유권자의 합리적 선택과 정치엘리트의 전략적 행위가 투표율 변화에 미치는 영향: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사례분석"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18 (18): 51-82, 2009

      18 강경태, "역대 한국선거(1987-2006) 투표율 분석" 국제지역연구원 15 (15): 119-140, 2008

      19 이현우, "세대 투표가 선거결과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나? — 서울시장 선거를 중심으로" 11 : 1-11, 2010

      20 황아란, "선거환경 변화가 당선경쟁과 투표율에 미친 영향: 제 18대 총선에서 영남의 경우" 한국정당학회 7 (7): 83-110, 2008

      21 박경미, "선거별 투표율 결정 요인: 서울시 선거구의 집합자료 분석(1987~2010)" 한국정당학회 13 (13): 95-122, 2014

      22 황아란, "선거구 특성이 투표율에 미치는 영향: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분석" 30 (30): 285-298, 1996

      23 김상은, "선거경합도가 득표율과 재선에 미치는 영향:19대 국회의원선거에 대한 경험적 분석" 현대정치연구소 6 (6): 69-93, 2013

      24 정진민, "민주화 이후 한국의 선거정치: 세대요인을 중심으로" 33 (33): 115-134, 1999

      25 조진만, "민주화 이후 한국 재·보궐선거의 투표율 결정요인 분석" 한국정당학회 8 (8): 5-34, 2009

      26 김준석, "도전자의 역량이 선거구의 투표율과 도전자의 당선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제18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대한정치학회 16 (16): 73-98, 2009

      27 황아란, "기초단체 지방선거 투표율의 결정요인 분석: 2010년 지방선거의 변화와 특징" 한국지방자치학회 23 (23): 5-24, 2011

      28 이갑윤, "국회의원선거에서 후보자 요인의 영향력" 34 (34): 149-170, 2000

      29 황아란, "광역 및 기초 단체장 선거경쟁이 동시선거 투표율에 미친 영향: 2010년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5 (45): 283-299, 2011

      30 Wolfinger, M, "Who Votes?" Yale University Press 1980

      31 Choi, Jungug, "Votes, Party Systems and Democracy in Asia" Routledge 2012

      32 Arnold, Felix, "Turnout and Closeness: Evidence From 60 Years of Bavarian Mayoral Elections" DIW Berin 2015

      33 Nickerson, David W, "The Science of Voter Mobilization" 10-27, 2005

      34 Lazarsfeld, P., "The People’s Choic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44

      35 Jackson, Robert A, "The Mobilization of U.S. State Electorates in the 1988 and 1990Elections" 59 : 520-537, 1997

      36 Fauvelle-Aymar, Christine, "The Impact of Closeness on Turnout:An empirical relation based on a study of a two-round ballot" 127 (127): 469-491, 2006

      37 Matsusaka, J. G., "The Downsian Voter Meets the Ecological Fallacy"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and The Fraser Institute 1991

      38 Smith, Mark A., "The Contingent Effects of Ballot Initiatives and Candidate Races on Turnout" 45 (45): 700-706, 2001

      39 Filer, E., "Redistribution, Income, and Voting" 37 (37): 63-87, 1993

      40 Aldrich, John H., "Rational Choice and Turnout" 37 (37): 246-278, 1993

      41 Millbrath, L, "Political Participation: How and Shy Do People Get Involved in Politics?" Rand Mcnally College Publishing Company 1977

      42 Verba, S, "Political Participation in America: Political Democracy and Social Equality" Harper and Row 1972

      43 Jackman, Robert W., "Political Institution and Voter Turnout in the Industrial Democracies" 81 (81): 405-424, 1987

      44 Barzel, Y., "Is the Act of Voting Rational?" 16 : 51-58, 1973

      45 Jackson, Robert A., "Gubernatorial and Senatorial Campaign Mobilization of Voters" 55 (55): 825-844, 2002

      46 Shachar, Ron, "Follow the Leader: Theory and Evidence of Political Participation" 89 (89): 525-547, 1999

      47 Lehoucq, Fabrice, "Explaining Voter Turnout Rates in New Democracies:Guatemala" 23 : 485-500, 2003

      48 Norris, P., "Electoral Engineering: Voting Rules and Political Behavi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49 John G. Matsusaka, "Election closeness and voter turnout: Evidence from California ballot proposition" 76 : 313-334, 1993

      50 Matsusaka, J. G, "Election Closeness and Voter Turnout: Evidence from California Ballot Propositions" 17 : 313-334, 1993

      51 Blais, A., "Does Proportional Representation Foster Voter Turnout?" 34 : 771-802, 1990

      52 Dubois, Eric, "Do Closeness and Stake Increase Voter Turnout? Evidence from Election Results in Small French Towns in Brittany" 1-11, 2016

      53 Cox, Gary W., "Closeness, Expenditures, and Turnout in the 1982 U.S. House Election" 83 : 217-231, 1989

      54 Cox, G. W, "Closeness and turnout: A methodological note" 50 : 768-775, 1988

      55 Endersby, James W., "Closeness Counts in Canada: Voter Participation in Canadian Federal Elections" 64 : 610-631, 2002

      56 Hillygus, D. Sunshine, "Campaign Effects and Dynamics of Turnout Intention in Election 2000" 67 (67): 50-68, 2000

      57 Down, Anthony, "An Economic Theory of Democracy" Harper and Low 1957

      58 Powell, GB Jr, "American Voter Turnout in Comparative Perspective" 80 (80): 17-43, 1986

      59 Riker, William H., "A Theory of the Calculus of Voting" 62 : 25-43, 1968

      60 박명호, "2008 총선에서 나타난 세대 효과와 연령 효과에 관한 분석: 386 세대를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 8 (8): 65-86, 2009

      61 조진만, "17대 총선에 나타난 정당투표 결정요인" 한국정치정보학회 9 (9): 203-221, 2006

      62 윤종빈, "17대 대선과 후보자 요인" 42 (42): 283-299,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