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교사의 갈등관리유형과 갈등요인 및 학교조직효과성과의 관련성 탐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862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갈등관리유형과 갈등요인 및 학교조직효과성과의 관련성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초등교사가 학교에서 가장 크게 갈등을 느끼고 있는 두 대상인 학교행정가와 ...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갈등관리유형과 갈등요인 및 학교조직효과성과의 관련성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초등교사가 학교에서 가장 크게 갈등을 느끼고 있는 두 대상인 학교행정가와 동료교사와의 갈등관리유형을 세분화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사와 학교행정가 간의 갈등에서 ’행정가 의존형‘은 갈등을 거의 보이지 않은 반면에 ’업무상요인과 의사소통요인‘ 에서 ’개인욕구충족형‘이 ’다수의견수용형‘보다 갈등이 나타날 확률이 높았다. 또한 교사와 동료교사 간의 갈등에서는 ’개인적인 요인‘에서 유일하게 ’무관심형‘이 갈등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초등교사의 갈등관리유형과 학교조직효과성과의 관련성은 교사와 학교행정가 사이에서는 개인욕구충족형>행정가의존형>다수의견수용형 순으로 직무성과, 직무만족, 조직적응이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와 동료교사 사이에서는 ’무관심형‘이 ’주인의식 강조형‘이나 ’개인욕구충족형‘보다 직무만족과 직무성과가 높게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잠재집단별 특성과 집단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초도구로 잠재프로파일 분석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flict management types, conflict factors and school organization effectiveness. In order to disaggregate the types of conflict management between tea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flict management types, conflict factors and school organization effectiveness. In order to disaggregate the types of conflict management between teachers, school administrators, teachers and fellow teachers, two subjects whose primary teachers are most at odds in school, the study conducted a Latent profile analysis. Through this, "conflict was intend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shown by existing research by confirming that there was one or more types of features.
      As a result, the conflict between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showed little conflict between "administration-dependent" while in "business-related and communication factors", "personal desire-referring" was more likely than "multiple dog-acceptance". Also, in the conflict between teachers and fellow teachers, the only personal factor was that "non-interesting" was more likely to conflict. The association between conflict management typ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effectiveness of school organizations is that among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the individual desire fulfillment type is high in the order in which the majority of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are satisfied with their job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adaptability are all higher, and among teachers and fellow teachers, the "non-interest type" is higher than the "main"s emphasis" or "personal motivation." These findings could be used as a basic tool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otential group and the meaning of the group.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방법
      • Ⅳ. 연구 결과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방법
      • Ⅳ. 연구 결과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온영두, "학교조직의 갈등과 성격특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갈등해결과 조직분위기의 매개변수를 대상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8

      2 허경애, "학교조직에서의 갈등현상 및 갈등관리에 관한 연구 : 충주시 초·중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충주대학교 경영행정외국어대학원 2005

      3 김나영, "학교조직갈등과 학교조직효과성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 윤종건, "학교경영" 갑을출판사 1983

      5 김주후, "학교갈등 이해와 해결방안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2004

      6 김영아, "학교 조직풍토와 학교 효과성과의 관계 연구"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7 서영란, "초등학교장의 리더십 생활기술이 학교 조직문화와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6

      8 신범철, "초등교사의 갈등관리 유형 연구:교사 배경, 학교급지, 승진가산점 차이를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소 30 (30): 79-102, 2017

      9 최인양, "초등교사의 갈등 요인과 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0 안창선, "초등 교사의 교직에서의 갈등 인식 실태" 20 : 183-223, 2003

      1 온영두, "학교조직의 갈등과 성격특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갈등해결과 조직분위기의 매개변수를 대상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8

      2 허경애, "학교조직에서의 갈등현상 및 갈등관리에 관한 연구 : 충주시 초·중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충주대학교 경영행정외국어대학원 2005

      3 김나영, "학교조직갈등과 학교조직효과성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 윤종건, "학교경영" 갑을출판사 1983

      5 김주후, "학교갈등 이해와 해결방안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2004

      6 김영아, "학교 조직풍토와 학교 효과성과의 관계 연구"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7 서영란, "초등학교장의 리더십 생활기술이 학교 조직문화와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6

      8 신범철, "초등교사의 갈등관리 유형 연구:교사 배경, 학교급지, 승진가산점 차이를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소 30 (30): 79-102, 2017

      9 최인양, "초등교사의 갈등 요인과 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0 안창선, "초등 교사의 교직에서의 갈등 인식 실태" 20 : 183-223, 2003

      11 이영봉, "조직 내 갈등관리전략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2011

      12 김종운, "인간관계 심리학" 학지사 2011

      13 김기용,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학교 효과성과 교장 리더십, 학교 풍토 및 교사 교수활동의 관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7 (37): 57-72, 2005

      14 박종효,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한 청소년의 사이버 괴롭힘 피해경험의 발달 유형화와전통적 괴롭힘과의 관련성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25 (25): 217-242, 2017

      15 권재기, "범주형 혼합모형의 잠재계층 수 결정을 위한 적합도 지수의 평가 :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16 이군현, "교직사회 갈등해소 방안 정책연구"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2004

      17 민석홍, "교장의 관리적 리더십, 교육적 리더십 및 변혁적 리더십과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관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1

      18 옥장흠, "교육조직에서 갈등요인들 간의 관계 분석" 13 (13): 125-154, 1995

      19 조성일, "교육조직 행위론의 탐구" 동문사 2006

      20 이용남, "교육리더십" 교육과학사 217-235, 2004

      21 이상철, "교사의 갈등관리유형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6 (26): 95-124, 2008

      22 박대휘, "교사리더십과 학교조직문화 및 학교조직효과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동아대학교 2014

      23 이성은, "교사들이 경험하는 갈등에 관한 현상학적 접근" 13 (13): 183-207, 1995

      24 신재흡,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학교 조직문화 및 학교 조직 효과성 간의 관계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2

      25 최연인,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교사 집단의 임파워먼트 및 학교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5

      26 김동춘, "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의 관계 연구" 서울女子大學校 大學院 1998

      27 이남호, "교사가 인식하는 갈등현상과 교장의 갈등관리 관계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19 (19): 319-340, 2006

      28 권혁제, "고등학교 교사의 갈등요인 및 관리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29 강상진, "갈등해결의 지혜" 일빛 2009

      30 金昌杰, "校長의 指導性行爲·狀況 및 組織效果性間의 關係硏究" 중앙대학교 대학원 1984

      31 柳永國, "敎育組織의 葛藤管理에 관한 연구"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2

      32 Levin, D., "Unusually effective schools: A review and analysis of research and practice" US National Center 1990

      33 Georgopoulos, B., "The study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22 (22): 534-540, 1957

      34 Longaretti, L., "The impact of perceptions on conflict management" 29 (29): 3-15, 2006

      35 Mott, P., "The characteristics of effectiveness organization" Harper& Row 1972

      36 Robbins, S., "Organizational behavior: Concepts, controversies, and applications" Premtoce-Hall 2005

      37 Robbins, S., "Organizational behavior" Pearson Education, Inc 2003

      38 Harris, O., "Managing people to work" John Wiley & Sons, Inc 1976

      39 Campbll, R., "Introduction to educational administration" Allyn and Bacon, Inc 1983

      40 Filley, A., "Interpersonal conflict resolution" Scott, Foresman 1975

      41 Muthén, B., "Integrating person‐centered and variable‐centered analyses : Growth mixture modeling with latent trajectory classes" 24 (24): 882-891, 2000

      42 Thomas, K.,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Rand McNally 889-935, 1976

      43 Hoy, W.,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McGraw-Hill, Inc 2013

      44 Hanson, E.,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organizational behavior" Pearson Education, Inc 2003

      45 Nagin D., "Analyzing developmental trajectories: A semiparametric, group-based approach" 4 : 139-157, 1999

      46 Bergman, L, "A person-oriented approach in research on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 1997

      47 Rahim, M., "A measure of styles of handling interpersonal conflict" 26 (26): 368-376, 1983

      48 Pastor, D., "A Latent profile analysis of collage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32 (32): 8-47,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6 1.76 1.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2 2.06 1.84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