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AHCI SCOPUS

      조선시대 용뇌(龍腦)의 의료적 활용과 유통 = Medical Applications and Distribution of Borneol during the Joseon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568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용뇌는 독특한 효능을 가지고 있는 향료이자 약재였지만 열대 동남아시아에서만 생산되어 국제적인 교역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었다. 또한 원료 식물과 가공 방식이 다르지만 ...

      용뇌는 독특한 효능을 가지고 있는 향료이자 약재였지만 열대 동남아시아에서만 생산되어 국제적인 교역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었다. 또한 원료 식물과 가공 방식이 다르지만 물질적 특성이 유사한 장뇌가 개발되어 용뇌의 저렴한 대체품으로 유통되었다. 조선에서도 용뇌와 장뇌를 서로 별개의 약재로 인식하고 고급품인 용뇌를 입수하고자 노력하였다. 용뇌는 염증과 통증을 완화시키고 막힌 것을 통하게 하는 독특한 효과가 있어서, 다양한 질병에서 증상을 완화시킬 목적으로 널리 활용될 수 있었다.
      조선시대 용뇌는 대외교역을 통해서만 구할 수 있는 희귀한 물품으로서 향료와 방충 등의 용도로도 쓰였으나 의약품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었다. 용뇌를 왕실 가족에게 실제 처방한 기록이 다수 확인되며, 의학서에도 용뇌를 사용한 의약품과 유효한 증상이 다수 기재되어 있다. 용뇌는 조정 관료에게 매년 섣달에 ‘납약(臘藥)’을 나누어주는 관행에 힘입어 널리 조선 사회에 확산될 수 있었다. 납약은 평소에는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할 경우에 언제든 편리하게 쓸 수 있는 ‘상비약’ 용도였는데, 다양한 증상에 적용 가능한 용뇌가 들어간 환약이 이런 목적으로 활용되기에 적합했다.
      용뇌는 적지 않은 의료적 수요에도 불구하고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는 ‘당약재’ 중 하나였다. 조선시대 용뇌는 중국과 일본을 통해서 수입되었는데, 진품 용뇌는 구하기 어려워 사행무역의 예물로서 유입되는 경우가 많았다. 장뇌도 함께 유입되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국가적인 수요를 반영한 관찬 기록이나 의학서에는 잘 언급되지 않는다. 국가적인 수요나 의학적 효능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고급품인 용뇌의 확보를 우선적으로 추구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17세기 전반에는 명과의 사행로가 불안해짐에 따라 해로를 통해서 용뇌를 수입해야 했고, 그 결과 물량 확보와 품질 관리에 문제가 생기면서 일본산 용뇌에 대한 국가적 관심이 일시적으로 높아지기도 했다. 그러나 대청 관계가 안정되면서 연례적인 사행 무역을 통해서 국가적으로 필요한 용뇌 등 당약재를 수입해 오는 체계가 정착되었다. 내의원에서 당약재 확보를 주관하되 비용은 호조에서 지급한 은을 사용하였다. 납제에 사용되는 당약재의 양이 적지 않았기 때문에 재정에 부담이 될 정도로 약재를 확보해야 했다.
      당약재 물량 확보를 위해 내의원은 ‘납자’ 또는 ‘공물주인’ 등으로 불린 공납업자를 활용했는데, 이들의 출현은 용뇌를 비롯한 당약재 무역에 민간 상인이 적극 개입했음을 보여준다. 민간 상인의 활동에 따른 약재 시장의 형성은 용뇌의 유통과 활용이 널리 확대되는 데 크게 기여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Yongnoe(龍腦, borneol) was a fragrance and medicinal ingredient with unique efficacy. However, it was characterized by being produced only in tropical Southeast Asia and being obtained only through international trade. In addition, jangnoe(樟腦, c...

      Yongnoe(龍腦, borneol) was a fragrance and medicinal ingredient with unique efficacy. However, it was characterized by being produced only in tropical Southeast Asia and being obtained only through international trade. In addition, jangnoe(樟腦, camphor) with similar material properties was developed and distributed as an inexpensive replacement for yongnoe, although the processing method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existing yongnoe. Even in Joseon, yongnoe and jangnoe were recognized as separate medicines, and efforts were made to obtain a high-quality product, yongnoe. Yongnoe has a unique effect of relieving inflammation, pain and heavy feeling, so it could be widely used for the purpose of treating symptoms in various diseases.
      During the Joseon Dynasty, yongnoe was a rare item that could only be obtained through foreign trade, and it was also used for perfumes and insect repellents, but it was most widely used as a medicine. There are many records of actually prescribing yongnoe to the royal family, and medical books also contain many medicines containing yongnoe and its effective symptoms. Yongnoe was able to spread widely in Joseon society thanks to the practice of distributing ‘nabyak(臘藥)’ to court officials every year in the twelfth month of the lunar canlendar. Since nabyak was used as a household medicine that was stored and used when necessary, pills containing yongnoe that could be applied to various symptoms were suitable for this purpose.
      Despite considerable medical demand, yongnoe was one of the dangyakjae(唐藥材), or Chinese medicines, that relied entirely on imports. During the Joseon Dynasty, yongnoe were imported through China and Japan, but genuine yongnoe was difficult to obtain, so they were often introduced as gifts of envoy trade. It is thought that jangnoe was also imported, but it is not well mentioned in official records or medical books reflecting national demand. Perhaps this is because the government prioritized securing high-end molten brain in order to maximize national demand or medical efficacy.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the route of envoys to the Ming Dynasty became unstable, forcing the import of molten iron by sea. As a result, there were problems securing supplies and quality control, and national interest in Japanese camphor temporarily increased. However, as the relationship with the Qing Dynasty stabilized, a system was established to import Chinese medicines, such as yongnoe, which was required nationally through the annual envoy trade. Naeuiwon(內醫院), the medical center for the royal family is in charge of securing and using Chinese medicines, but the cost was covered by the silver paid by Hojo(戶曹), the ministry of finance of Joseon Dynasty.
      Since the amount of Chinese medicines used in the preparation of nabyak was not small, it was necessary to import enough medicines to burden finances. The purveyors for government played a role in supplying Chinese medicines to the government. Their appearance shows that private merchants were actively involved in the trade of Chinese medicines, including yongnoe. The formation of the medicinal market by private merchants' activities greatly contributed to the widespread expansion of the distribution and use of yongno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