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오랜 역사를 지닌 한자교학은 주로 아동을 대상으로 전개되었다. 현재의 아동을 대상으 로 하는 한자교육은 취학전 아동 및 학령아동을 상대로 진행된다. 만 6세 이하의 취학 전 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에서 오랜 역사를 지닌 한자교학은 주로 아동을 대상으로 전개되었다. 현재의 아동을 대상으 로 하는 한자교육은 취학전 아동 및 학령아동을 상대로 진행된다. 만 6세 이하의 취학 전 아...
중국에서 오랜 역사를 지닌 한자교학은 주로 아동을 대상으로 전개되었다. 현재의 아동을 대상으 로 하는 한자교육은 취학전 아동 및 학령아동을 상대로 진행된다. 만 6세 이하의 취학 전 아동에 대한 한자교육은 보통 유아식자교육이라 일컬으며, 기초교육단계의 학령아동(6~12세)에 대한 한 자교육은 학령아동 한자교육이라고 부른다.
현재 학계에서는 아동 한자교육의 실행 및 연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취학 전 아동인 유아한자교육은 주로 식자에 중점을 두고 있다. 하지만 학령아동 한자교육 연구도 유아한자교육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식자에만 제한되어, 교육의 다양화 확대 및 제고를 실현하지 못하였다.
본고에서는 주로 학령아동 한자교육 대상인 초등학교 6세~12세 학생들이 학습하는 한자지식 내 용을 연구대상으로 삼고, 기초교육한자 교학 및 연구자들에게 다음의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첫 째, 기초교육단계에서 식자가 여전히 유일한 교학목표인가? 둘째, 학령아동에게 체계적인 한자 지 식을 전달할 수 있도록, 아동 식자교육의 개선 및 확대를 제고할 필요성은 없는가?
본고에서는 문헌조사, 정책분석, 설문조사 및 교학실천의 네 가지 방안을 토대로 학령아동을 대 상으로 한 확대된 한자교육 내용에 대해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inese characters are not a mess but have inner link of the organic combination of system, and so does Chinese Character theory. The children couldn’t get the Chinese Character theory and idea simply by mass literacy, but under the guidance of educ...
Chinese characters are not a mess but have inner link of the organic combination of system, and so does Chinese Character theory. The children couldn’t get the Chinese Character theory and idea simply by mass literacy, but under the guidance of educator. Through literature research, we review the teaching and research status of early childhood literacy education and primary school character education, and intend to explore the necessity of teaching Chinese characters knowledge for primacy school-age children. Through policy consulting, questionnaire survey and teaching practice, we explore the feasibility of it.
To follow up Chinese literacy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and provide scientific idea and systematic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it is an important task i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We have to remix and reorganize this knowledge so as to adapt children’s psychological cognitive level and learning ability. Be different of literacy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is Chinese character education focus on how to make elementary school children have correct theoretical idea, systematic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 and good traditional cultur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洪映熙, "論漢字學理論建設與漢字教學" 3 : 108-111, 2004
2 王寧, "科學選擇並講解識字教學的基礎字" 12 : 2014
3 王寧, "科學講解漢字的字理" 10 : 2010
4 王寧, "漢字構形學導論" 商務印書館 2015
5 李運富, "漢字構形原理與中小學漢字教學" 長春出版社 2001
6 王寧, "漢字教與學" 東教育出版社 1999
7 王寧, "漢字教學的原理與各類教學方法的科學運用" 10/11 : 1-5, 2002
8 李運富, "漢字教學中的形體分析法" 4 : 2016
9 ZHANG, Sufeng, "漢字學理論在識字教學中的應用" 5 : 149-151, 2010
10 王寧, "漢字學概要" 北京師範大學出版社 2001
1 洪映熙, "論漢字學理論建設與漢字教學" 3 : 108-111, 2004
2 王寧, "科學選擇並講解識字教學的基礎字" 12 : 2014
3 王寧, "科學講解漢字的字理" 10 : 2010
4 王寧, "漢字構形學導論" 商務印書館 2015
5 李運富, "漢字構形原理與中小學漢字教學" 長春出版社 2001
6 王寧, "漢字教與學" 東教育出版社 1999
7 王寧, "漢字教學的原理與各類教學方法的科學運用" 10/11 : 1-5, 2002
8 李運富, "漢字教學中的形體分析法" 4 : 2016
9 ZHANG, Sufeng, "漢字學理論在識字教學中的應用" 5 : 149-151, 2010
10 王寧, "漢字學概要" 北京師範大學出版社 2001
11 王寧, "漢字分析與漢字教學為什麼要掌握“部件”的概念" 7 : 2009
12 劉玉環, "幼兒識字教育研究綜述" 12 : 103-107, 2012
13 王寧, "对「说文解字」学术价值的再认识" 2 : 82-84, 1992
14 中華人民共和國教育部, "完善中華優秀傳統文化教育指導綱要"
15 賈國均, "字理识字是解决汉字初学繁难问题的有效途徑" 1 : 26-33, 1995
16 賈國均, "字理识字教学法" 3 : 44-46, 1996
17 李運富, "字理與字理教學" 2 : 129-134, 2005
18 沈曉明, "兒科學" 人民衛生出版社 2008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8-1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 The Korea Association For Han-character and classical written language Education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 | 0.3 | 0.2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 | 0.3 | 0.534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