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從新加坡學生日常使用漢字字頻談新加坡華文課程與教學規劃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981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싱가폴에서 중국어를 배우는 학생들은 어느 정도의 한자를 학습해야 할까? 한자교육은 어떤 교육의 순서를 따라야 생산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까? 중국어 교육에서 한자 교육의 양과 순서는 싱가폴 중국어 교육계의 일관된 관심거리였다.
      싱가폴에서 이전에 중국어 교육과정을 설계할 당시에 중국어 기초 한자어휘표(예를 들어, 《南洋․ 星洲聯合早報用字用詞調查報告》)를 공표하거나 대학의 개별 하가들이 어문교재에서 사용되는 한 자와 어휘의 양을 조사하여 참고하는 자료를 제작하여 字表를 제작하여 교재를 편찬할 때 사용한 바 있다. 이러한 코퍼스 자료들과 연구 성과는 일정한 과학적 방법에 근거하였다. 그러나 당시 학생들의 실제 언어 생활에 대한 충분한 자료 조사에 근거하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제2언어 학습으 로서의 중국어 교육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는 어려웠다. 싱가폴의 복잡한 이중언어 환경 하에서 학생들이 한자를 학습하는 문제는 당연히 “用”의 관점에서 출발하여, 언어 환경 아래에서 학생들이 사용하는 한자를 이용하는 상황을 이해하여야 한다.
      바꾸어 말하면, 싱가폴에서 중국어 교육과정과 교재를 편찬할 때에는 반드시 학생들의 생활 경험 에 근거하고 그들의 읽기에 대한 흥미를 고려한 후 일정한 코퍼스 자료를 수집하여 학생들이 가장 많이 접하는 한자의 수량을 수집하고, 이들 다시 과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한 후에야 비교적 올바른 한자의 학습량과 순서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용을 중점에 두고 한자의 교육 목적을 설정하여야 한다는 의미이다. 본문은 한자 교육의 순서를 “優習指數”의 개념을 통해 결정하였다. 이 지수는 기존의 방법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는 선진적인 방법일 뿐 아니라, 미래에 더 나은 방법을 모색하려 는 방향성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싱가폴에서 중국어를 배우는 학생들은 어느 정도의 한자를 학습해야 할까? 한자교육은 어떤 교육의 순서를 따라야 생산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까? 중국어 교육에서 한자 교육의 양과 순...

      싱가폴에서 중국어를 배우는 학생들은 어느 정도의 한자를 학습해야 할까? 한자교육은 어떤 교육의 순서를 따라야 생산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까? 중국어 교육에서 한자 교육의 양과 순서는 싱가폴 중국어 교육계의 일관된 관심거리였다.
      싱가폴에서 이전에 중국어 교육과정을 설계할 당시에 중국어 기초 한자어휘표(예를 들어, 《南洋․ 星洲聯合早報用字用詞調查報告》)를 공표하거나 대학의 개별 하가들이 어문교재에서 사용되는 한 자와 어휘의 양을 조사하여 참고하는 자료를 제작하여 字表를 제작하여 교재를 편찬할 때 사용한 바 있다. 이러한 코퍼스 자료들과 연구 성과는 일정한 과학적 방법에 근거하였다. 그러나 당시 학생들의 실제 언어 생활에 대한 충분한 자료 조사에 근거하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제2언어 학습으 로서의 중국어 교육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는 어려웠다. 싱가폴의 복잡한 이중언어 환경 하에서 학생들이 한자를 학습하는 문제는 당연히 “用”의 관점에서 출발하여, 언어 환경 아래에서 학생들이 사용하는 한자를 이용하는 상황을 이해하여야 한다.
      바꾸어 말하면, 싱가폴에서 중국어 교육과정과 교재를 편찬할 때에는 반드시 학생들의 생활 경험 에 근거하고 그들의 읽기에 대한 흥미를 고려한 후 일정한 코퍼스 자료를 수집하여 학생들이 가장 많이 접하는 한자의 수량을 수집하고, 이들 다시 과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한 후에야 비교적 올바른 한자의 학습량과 순서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용을 중점에 두고 한자의 교육 목적을 설정하여야 한다는 의미이다. 본문은 한자 교육의 순서를 “優習指數”의 개념을 통해 결정하였다. 이 지수는 기존의 방법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는 선진적인 방법일 뿐 아니라, 미래에 더 나은 방법을 모색하려 는 방향성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inese educators in Singapore have long debated on the quantity of Chinese characters that students of Chinese as a second language should master and the effective sequence of teaching Chinese characters. The Chinese curriculum planning department in Singapore used to adopt one of two approaches to compile characters list for Chinese instructional materials: to either take reference from a character and word table published by local Chinese newspapers (such as Lianhe Zaobao’s word utility survey report), or to take reference from surveys of character lists in Chinese language curriculum conducted by individual academics from higher institutions. These corpus and texts may be scientifically researched, however, the language environment of local students may not have been taken into consideration, hence the language needs of the second language learners may not be fully reflected. To better solve the challenge of Chinese characters learning in Singapore's complex bilingual context, we should begin with the aspect of utilization of Chinese Characters (Hanzi) among local students. In other words, the development of Chinese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s has to be based on the actual living experience of local students and their reading interest. A systematic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of the most frequently used Chinese corpus can then follow before deciding on the appropriate quantity and teaching sequence of Chinese characters. To achieve the objective of learning Chinese characters for daily use, the author proposes to use a concept of Priority Index in the determination of teaching sequence of Chinese characters. The calculating process of the index will be discussed. Some ideas for future research will also be mentioned.
      번역하기

      Chinese educators in Singapore have long debated on the quantity of Chinese characters that students of Chinese as a second language should master and the effective sequence of teaching Chinese characters. The Chinese curriculum planning department in...

      Chinese educators in Singapore have long debated on the quantity of Chinese characters that students of Chinese as a second language should master and the effective sequence of teaching Chinese characters. The Chinese curriculum planning department in Singapore used to adopt one of two approaches to compile characters list for Chinese instructional materials: to either take reference from a character and word table published by local Chinese newspapers (such as Lianhe Zaobao’s word utility survey report), or to take reference from surveys of character lists in Chinese language curriculum conducted by individual academics from higher institutions. These corpus and texts may be scientifically researched, however, the language environment of local students may not have been taken into consideration, hence the language needs of the second language learners may not be fully reflected. To better solve the challenge of Chinese characters learning in Singapore's complex bilingual context, we should begin with the aspect of utilization of Chinese Characters (Hanzi) among local students. In other words, the development of Chinese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s has to be based on the actual living experience of local students and their reading interest. A systematic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of the most frequently used Chinese corpus can then follow before deciding on the appropriate quantity and teaching sequence of Chinese characters. To achieve the objective of learning Chinese characters for daily use, the author proposes to use a concept of Priority Index in the determination of teaching sequence of Chinese characters. The calculating process of the index will be discussed. Some ideas for future research will also be mention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新加坡華文教學的獨特性
      • Ⅱ. 從“學以致用”的角度思考新加坡華文課程中漢字教學的需要
      • Ⅲ. 如何掌握學生需要學習的漢字範圍?
      • Ⅳ. 應用書面語語料庫產出規劃新加坡的漢字教學
      • 1. 在語料庫基礎上解決漢字教學量和教學順序的問題
      • Ⅰ. 新加坡華文教學的獨特性
      • Ⅱ. 從“學以致用”的角度思考新加坡華文課程中漢字教學的需要
      • Ⅲ. 如何掌握學生需要學習的漢字範圍?
      • Ⅳ. 應用書面語語料庫產出規劃新加坡的漢字教學
      • 1. 在語料庫基礎上解決漢字教學量和教學順序的問題
      • 2. 從字頻與文本分佈率思考新加坡華文課程的漢字數量
      • 3. 根據“優習指數”規劃新加坡華文課程的漢字教學順序
      • Ⅴ. 總結
      • ▮參考文獻 Reference
      • ▮中文摘要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馮麗萍, "非漢字背景留學生漢字形音識別的影響因素" 3 : 47-49, 2002

      2 尤浩傑, "筆劃數, 部件數和拓撲結構類型對非漢字文化圈學習者漢字掌握的影響" 2 : 72-81, 2003

      3 張金橋, "留學生漢語單字詞識別的筆劃數效應, 詞頻效應和詞素頻效應" 1 : 22-29, 2008

      4 黃貞姬, "漢語水平漢字等級大綱 中的漢字與韓國教育用漢字構詞能力的比較" 1 : 51-55, 2000

      5 江新, "漢字頻率和構詞數對非漢字圈學生漢字學習的影響" 38 (38): 489-496, 2006

      6 李泉, "漢字難學 之教學對策" 4 : 83-90, 2012

      7 韓秀娟, "漢字部件教學和部件關聯式資料庫的建設, In 國際跨語言與文化:對外漢語部件教學法之探討" 339-343, 2012

      8 沈烈敏, "漢字識別中筆劃數與字頻效應的研究" 17 (17): 245-247, 1994

      9 王寧, "漢字構形學講座" 上海教育出版社 2002

      10 彭聃齡, "漢字加工的基本單元:來自筆劃數效應和部件數效應的證據" 29 (29): 8-16, 1997

      1 馮麗萍, "非漢字背景留學生漢字形音識別的影響因素" 3 : 47-49, 2002

      2 尤浩傑, "筆劃數, 部件數和拓撲結構類型對非漢字文化圈學習者漢字掌握的影響" 2 : 72-81, 2003

      3 張金橋, "留學生漢語單字詞識別的筆劃數效應, 詞頻效應和詞素頻效應" 1 : 22-29, 2008

      4 黃貞姬, "漢語水平漢字等級大綱 中的漢字與韓國教育用漢字構詞能力的比較" 1 : 51-55, 2000

      5 江新, "漢字頻率和構詞數對非漢字圈學生漢字學習的影響" 38 (38): 489-496, 2006

      6 李泉, "漢字難學 之教學對策" 4 : 83-90, 2012

      7 韓秀娟, "漢字部件教學和部件關聯式資料庫的建設, In 國際跨語言與文化:對外漢語部件教學法之探討" 339-343, 2012

      8 沈烈敏, "漢字識別中筆劃數與字頻效應的研究" 17 (17): 245-247, 1994

      9 王寧, "漢字構形學講座" 上海教育出版社 2002

      10 彭聃齡, "漢字加工的基本單元:來自筆劃數效應和部件數效應的證據" 29 (29): 8-16, 1997

      11 林進展, "新加坡學生日常華文用詞頻率詞典(新加坡學生日常華文用語調查系列)" 南大-新加坡華文教研中心出版社 2014

      12 吳福煥, "新加坡學生日常華文用詞頻率詞典(新加坡學生日常華文用語調查系列)" 南大-新加坡華文教研中心出版社 2013

      13 高定國, "字頻影響常用漢字認知速度的實驗研究" 18 (18): 225-256, 1995

      14 周清海, "字詞頻率與語文學習成效的相關研究" 87-92, 1992

      15 江新, "外國學生漢語字詞學習的影響因素-兼論《漢語水平大綱》字詞的選擇與分級" 2 : 14-22, 2006

      16 趙果, "初級階段歐美留學生識字量與字的構詞數" 3 : 106-112, 2008

      17 國家語言資源監測與研究中心, "中國語言生活狀況報告(下編)" 商務印書館 2006

      18 Nunan, D, "The Learner-centred Curriculum: a Study in Second Language Teach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19 Benson, P, "Teaching and Researching Autonomy in Language Learning" Pearson Education Limited 2001

      20 Harington, "Input driven language learning" 24 : 261-268, 2002

      21 Tarone, E, "Focus on the Language Learner"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8-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 The Korea Association For Han-character and classical written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 0.53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