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 학습장애 연구에 대한 최근 동향 및 중재특성 (학술지를 중심으로) = Recent Trends and Intervention Characteristics of Study on Learning Disabilities in Korea (Centered on academic journa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955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4년부터 2020년까지의 학습장애 관련 연구를 실시한 학술지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학습장애의 연구동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총 165편의 학습장애 연구 논문을 대상으로 연...

      본 연구는 2014년부터 2020년까지의 학습장애 관련 연구를 실시한 학술지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학습장애의 연구동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총 165편의 학습장애 연구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방법, 연구대상, 연구주제, 선별방법, 중재, 진단평가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 실험연구, 조사연구, 인식 및 기타, 검사 도구 개발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을 분석한 결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다. 연구 대상의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대부분의 연구 제목이 학습장애로 명시된 연구들이 많았다. 연구주제를 살펴보면 인식 및 동향에 관련된 연구들이 많았다. 둘째, 국내 학습장애 중재 연구의 특성을 살펴보면 지능검사, 기초학습기능검사, 학업성취도 결과, 한국학습장애학회의 진단기준을 가장 많이 사용한 것으로 알 수 있었다. 중재전략을 살펴보면 학습장애, 읽기장애, 수학 장애, 쓰기 장애를 대상으로 한 논문으로 많았으며 실험연구 중에서 중재전략을 살펴보면 읽기영역에 관련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진단평가를 살펴보면 대부분이 중재전략에 맞춰서 효과성을 보기위한 도구를 직접 제작하는 경우가 많이 나타났다. 그 결과 학습 장애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도구개발, 사회성 연구가 부족함을 보이고 있으며 초등학생 대상연구로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중재전략에서 단일성 목표만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가 많았으며 학습장애의 하위특성별로 나누어진 연구가 아니라 융합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특히나 과학적이면서 자세하게 다룰 수 있는 질적인 지표에 이루어진 연구가 이루어져야하는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learning disabilities by focusing on the journals that conducted research on learning disabilities from 2014 to 2020. A total of 165 research papers on learning disability were analyzed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learning disabilities by focusing on the journals that conducted research on learning disabilities from 2014 to 2020. A total of 165 research papers on learning disability were analyzed on research methods, subjects, research subjects, screening methods, arbitration and diagnostic evaluati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ed that first, the methods of research were written in the order of literature research, experimental research, investigation research, recognition and other research, and inspection tool development research. According to an analysis of research targets, there were many studies on primary school subjects. If you look at the sub-area of the study, there were many studies whose titles were mostly specified as learning disabilities. Looking at the research topics, there were many studies related to perception and trends. Second, if you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mestic study disorder arbitration research, you can see that the intelligence test, basic learning function test, academic achievement result, and the diagnosis criteria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Learning Scholarship were used the most. If you look at the arbitration strategy, there were many papers for learning disabilities, reading disorders, math problems, and writing disorders, and if you look at the arbitration strategy during experimental research, many studies related to reading areas have been conducted. If you look at the diagnostic evaluation, most of them often produce their own tools to see their effectiveness in line with the arbitration strategy. As a result, research on learning disabilities has been carried out steadily, but there is a lack of tool development and social studies, and it is biased toward research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isting studies have shown that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in the arbitration strategy to achieve only one goal, and convergence studies are needed, not those divided by the sub-characteristics of learning disabilities. In particular, he mentioned the need for research to be done on qualitative indicators that are scientific and detail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애화, "학습장애학생을 위한 중재연구에 관한 문헌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265-299, 2006

      2 김애화,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생애단계별 맞춤형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특수교육연구소 35 (35): 127-155, 2019

      3 변찬석, "학습장애 진단기준 변경 전ㆍ후 실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7 (57): 221-242, 2018

      4 허유성, "학습장애 및 학습장애 학생에 관한 국내 블로그 내용의 양적 분석" 한국학습장애학회 6 (6): 85-104, 2009

      5 강혜진, "학습장애 및 위험군 선별․진단 모델에 관한 문헌 연구: 2008~2019년 국내학술지 중심" 특수교육연구소 35 (35): 135-161, 2019

      6 김민경,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를 위한 어휘교수전략에 관한 고찰: 국내 연구 동향 및 효과 분석" 한국학습장애학회 12 (12): 227-246, 2015

      7 이대식, "학습 어려움, 어떻게 이해하고 대처할 것인가?: 국내 학습장애 교육 발전을 위한 과제와 방향" 한국학습장애학회 16 (16): 1-32, 2019

      8 강위영,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교육부 2018

      9 서화자, "통합 상황에서 학습장애 아동을 위한 또래교수 중재 연구동향 및 효과 분석" 한국학습장애학회 9 (9): 81-104, 2012

      10 허유성, "질적 지표에 의거한 최근 10년간 학습장애 집단 실험 연구 동향 분석 및 학습장애 연구에 주는 시사점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469-498, 2010

      1 김애화, "학습장애학생을 위한 중재연구에 관한 문헌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265-299, 2006

      2 김애화,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생애단계별 맞춤형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특수교육연구소 35 (35): 127-155, 2019

      3 변찬석, "학습장애 진단기준 변경 전ㆍ후 실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7 (57): 221-242, 2018

      4 허유성, "학습장애 및 학습장애 학생에 관한 국내 블로그 내용의 양적 분석" 한국학습장애학회 6 (6): 85-104, 2009

      5 강혜진, "학습장애 및 위험군 선별․진단 모델에 관한 문헌 연구: 2008~2019년 국내학술지 중심" 특수교육연구소 35 (35): 135-161, 2019

      6 김민경,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를 위한 어휘교수전략에 관한 고찰: 국내 연구 동향 및 효과 분석" 한국학습장애학회 12 (12): 227-246, 2015

      7 이대식, "학습 어려움, 어떻게 이해하고 대처할 것인가?: 국내 학습장애 교육 발전을 위한 과제와 방향" 한국학습장애학회 16 (16): 1-32, 2019

      8 강위영,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교육부 2018

      9 서화자, "통합 상황에서 학습장애 아동을 위한 또래교수 중재 연구동향 및 효과 분석" 한국학습장애학회 9 (9): 81-104, 2012

      10 허유성, "질적 지표에 의거한 최근 10년간 학습장애 집단 실험 연구 동향 분석 및 학습장애 연구에 주는 시사점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469-498, 2010

      11 변찬석,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에 대한 예비중등교사들의 지식수준과 교수효능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8 (58): 149-170, 2019

      12 전윤희, "수학학습장애 연구 동향 메타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26 (26): 543-563, 2016

      13 강종구, "국내 학습장애의 최근 경향에 관한 고찰" 11 (11): 15-28, 2009

      14 김소희, "국내 학습장애아 교육 관련 연구동향의 분석: 1996-2006년 학술지 수록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특수아동학회 9 (9): 223-256, 2007

      15 강옥려, "국내 학습장애 학생 쓰기능력 평가에 대한 동향" 초등교육연구원 26 (26): 341-361, 2015

      16 김동일, "국내 학습장애 연구의 동향 분석" 교육연구소 10 (10): 283-347, 2009

      17 안정애, "국내 읽기학습장애 연구의 판별방법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311-329, 2006

      18 정은주, "국내 수학 학습장애 연구의 선별 및 진단 방법 분석: 2000-2010년 학술지 수록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45 (45): 115-133, 2010

      19 Lee, E., "focused on the learning disability all research in Korea= An Analysis of Recent Research Trend in Learning Disabled Children" 14 (14): 247-269, 1998

      20 Slavin, R., "What works? Issues in synthesizing educational program evaluations" 37 (37): 5-14, 2008

      21 Brantlinger, E., "Using ideology; Cases of nonrecognition of the politics of research and practice in special education" 67 (67): 429-459, 1997

      22 Skrtic, T. M., "The special education paradox : Equity as the way to excellence" 61 (61): 148-206, 1991

      23 Covy, H., "Social perccption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bistory" Charles C. Thomas Publisher 1998

      24 Son, S. H., "Review of Literature on Teaching Word Recognition to LD or At-Risk Readers" 3 (3): 139-160, 2006

      25 Kim, R.,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for Teaching Mathematics : A Review" 5 (5): 428-438, 2014

      26 김주연, "ADHD 읽기이해, 읽기 유창성에 대한 중재방안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9 (59): 109-132, 2020

      27 Trout, A. L., "A Review of non-medication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academic performance of children and youth with ADHD" 28 (28): 207-226, 2007

      28 교육부, "2020년 특수교육통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6 1.464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