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미술치료 회기에서 다뤄진 내담자의 미술작업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체험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38668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7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615.85156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on Lived of Art Therapists on Clients’ Art Works from Art Therapy Sessions

      • 형태사항

        114 장.: 삽도; 26cm.

      • 일반주기명

        서울여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장연집
        부록: 연구 참여 동의서
        참고문헌: p. 103-107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서울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an art therapy is considered of having three features, which are an art therapist, the art, and a client, during art therapy sessions, these features do not exist individually; they rather interact with each other. During the session, a client works on his or her art work using artwork materials with an art therapist together and the art therapist intervenes therapeutically by managing the client’s whole art producing process, which is expressed, discovered, and incorporated by the client.

      There are many studies regarding clients’ artworks in the art therapy research. These studies focus on finding meanings from the forms or context of artworks of a client (Kaplan, 2013), and the majority of them deal with the effectiveness, advantages, and distinctiveness of the client’s artworks have. Compared to these studies, qualitative research regarding various phenomena of a whole process that a client expresses, explores, and incorporates through his or her artworks during sessions is rather insufficient.

      If the art therapist, the artwork of a client, and the client form a triangular relationship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the art therapist’s process of interacting and treating the client’s artwork becomes vita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meaning the art therapist assigns to the client’s artwork and how the therapist felt toward this exper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experiences of therapists, who acquired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during art sessions that come from dealing with clients’ artworks, and to explore the therapists’ diverse experiences.

      Therefore, the question that this study asks is “What do art therapists experience regarding the artworks of clients during art therapy sessions and what are the meaning and the nature of them?”

      To discover the answer to this question, this study followed Max van Manen’s Hermeneutical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o study the vivid experiences of art therapists when they work with clients’ artworks during sessions. Also, this study conducted eleven steps of research which are consisted of focusing on the nature of the experience itself, discovering existential experience study, and reflecting and writing in hermeneutical and phenomenological way.

      A total of thirteen people have participated in this study, who all have acquired Master’s degrees or above in art therapy from six graduate schools. They are experienced art therapists who have been working in the field at most seven years and are continuously working in art therapy field; this enables them to explain their diverse experience regarding the subject of this study in a detailed manner.

      The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May to December 2016. In addition to the interview data of the participants, writings about clients’ art works and their reactions were acquired as well and additional materials from literature and art that are related to the topic of this study are included for reference.

      By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according to Max van Manen’s Hermeneutical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following nine essential themes and twenty-six sub themes were concluded.

      <The art therapists guide the client to have active experience through art producing>, <The art therapists felt that the artwork was the link between the client and them>, <The art therapists noticed how the client was being expressed in many ways through the artwork>, <The art therapists discovered the powerful advantage that only could come from artwork>, <The art therapists realized how the client started to grow as the art producing sessions progressed>, <The lives of the art therapists influenced the mind of art therapists when they work with clients’ artworks>, <The art therapists are in need of care as well since they often felt overwhelmed by the artworks of the clients>, <The art therapists endeavored to lead the art producing process to make it helpful for the clients>, <The art therapists became more comfortable with the clients’ artworks as they gained more professional experience as art therapists>

      Based on these essential themes, existential experience study, and writings, conclusions about the nature 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art therapists as they dealt with clients’ artworks during art therapy sessions are the followings:
      First, art therapists communicate with clients through their artworks, which are the language of the clients, and from this process, they acquire the experience of understanding their clients more.
      Second, art therapists experience the therapeutic advantages of artworks as they see the clients visualizing their psychological troubles through art and resolving inner conflicts. The art therapists apply this experience to their upcoming sessions and discover the growth of their clients.
      Third, the art therapists notice how their life experience influence the way they work with the clients’ artworks; in turn, the experience the therapists gained from working with the clients’ artworks influenced the lives of the art therapists.
      Fourth, art therapists felt the necessity of a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process of treating the clients’ artworks. As the therapists go through continuous training, they became more comfortable when dealing with clients’ artworks and became capable of leading art therapy flexibly, experiencing their growth as art therapists.

      This study contributes to art therapy as a discipline and art therapy as fieldwork in the following way.
      First, this study looked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 therapist and the artwork of the client in a triangular relationship of an art therapist, artwork of a client, and a client, which are the three features of art therap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way that it is a lived experience study, which has discovered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n art therapist and a client’s artwork once again.
      Second, this study is a qualitative research, which reveals the experience of the art therapists regarding the clients’ artworks that contributes to art therapy by expanding the diversity of the research about clients’ artworks.
      Third, for the training of a student in a Master’s degree program in art therapy,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basic educational tool for establishing one’s identity as an art therapist. It can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an artwork that is created during sessions.

      The following i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have all acquired a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However, the study did not categorize the undergraduate majors or doctorate majors of them in a strict manner when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and collecting other data. The art therapists’ experience with the clients’ artworks can vary depending on their undergraduate or doctorate major.

      The following is the proposal for this study.
      This study did not classify the four detailed types of an art therapy. It researched in the incorporated way to study the experience of an art therapist with a client’s artwork. For a follow-up study, classifying clients according to the four detailed types of art therapy is necessary. In addition, the lived experience of an art therapist regarding this matter is needed as well.
      번역하기

      As an art therapy is considered of having three features, which are an art therapist, the art, and a client, during art therapy sessions, these features do not exist individually; they rather interact with each other. During the session, a client work...

      As an art therapy is considered of having three features, which are an art therapist, the art, and a client, during art therapy sessions, these features do not exist individually; they rather interact with each other. During the session, a client works on his or her art work using artwork materials with an art therapist together and the art therapist intervenes therapeutically by managing the client’s whole art producing process, which is expressed, discovered, and incorporated by the client.

      There are many studies regarding clients’ artworks in the art therapy research. These studies focus on finding meanings from the forms or context of artworks of a client (Kaplan, 2013), and the majority of them deal with the effectiveness, advantages, and distinctiveness of the client’s artworks have. Compared to these studies, qualitative research regarding various phenomena of a whole process that a client expresses, explores, and incorporates through his or her artworks during sessions is rather insufficient.

      If the art therapist, the artwork of a client, and the client form a triangular relationship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the art therapist’s process of interacting and treating the client’s artwork becomes vita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meaning the art therapist assigns to the client’s artwork and how the therapist felt toward this exper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experiences of therapists, who acquired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during art sessions that come from dealing with clients’ artworks, and to explore the therapists’ diverse experiences.

      Therefore, the question that this study asks is “What do art therapists experience regarding the artworks of clients during art therapy sessions and what are the meaning and the nature of them?”

      To discover the answer to this question, this study followed Max van Manen’s Hermeneutical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o study the vivid experiences of art therapists when they work with clients’ artworks during sessions. Also, this study conducted eleven steps of research which are consisted of focusing on the nature of the experience itself, discovering existential experience study, and reflecting and writing in hermeneutical and phenomenological way.

      A total of thirteen people have participated in this study, who all have acquired Master’s degrees or above in art therapy from six graduate schools. They are experienced art therapists who have been working in the field at most seven years and are continuously working in art therapy field; this enables them to explain their diverse experience regarding the subject of this study in a detailed manner.

      The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May to December 2016. In addition to the interview data of the participants, writings about clients’ art works and their reactions were acquired as well and additional materials from literature and art that are related to the topic of this study are included for reference.

      By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according to Max van Manen’s Hermeneutical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following nine essential themes and twenty-six sub themes were concluded.

      <The art therapists guide the client to have active experience through art producing>, <The art therapists felt that the artwork was the link between the client and them>, <The art therapists noticed how the client was being expressed in many ways through the artwork>, <The art therapists discovered the powerful advantage that only could come from artwork>, <The art therapists realized how the client started to grow as the art producing sessions progressed>, <The lives of the art therapists influenced the mind of art therapists when they work with clients’ artworks>, <The art therapists are in need of care as well since they often felt overwhelmed by the artworks of the clients>, <The art therapists endeavored to lead the art producing process to make it helpful for the clients>, <The art therapists became more comfortable with the clients’ artworks as they gained more professional experience as art therapists>

      Based on these essential themes, existential experience study, and writings, conclusions about the nature 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art therapists as they dealt with clients’ artworks during art therapy sessions are the followings:
      First, art therapists communicate with clients through their artworks, which are the language of the clients, and from this process, they acquire the experience of understanding their clients more.
      Second, art therapists experience the therapeutic advantages of artworks as they see the clients visualizing their psychological troubles through art and resolving inner conflicts. The art therapists apply this experience to their upcoming sessions and discover the growth of their clients.
      Third, the art therapists notice how their life experience influence the way they work with the clients’ artworks; in turn, the experience the therapists gained from working with the clients’ artworks influenced the lives of the art therapists.
      Fourth, art therapists felt the necessity of a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process of treating the clients’ artworks. As the therapists go through continuous training, they became more comfortable when dealing with clients’ artworks and became capable of leading art therapy flexibly, experiencing their growth as art therapists.

      This study contributes to art therapy as a discipline and art therapy as fieldwork in the following way.
      First, this study looked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 therapist and the artwork of the client in a triangular relationship of an art therapist, artwork of a client, and a client, which are the three features of art therap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way that it is a lived experience study, which has discovered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n art therapist and a client’s artwork once again.
      Second, this study is a qualitative research, which reveals the experience of the art therapists regarding the clients’ artworks that contributes to art therapy by expanding the diversity of the research about clients’ artworks.
      Third, for the training of a student in a Master’s degree program in art therapy,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basic educational tool for establishing one’s identity as an art therapist. It can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an artwork that is created during sessions.

      The following i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have all acquired a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However, the study did not categorize the undergraduate majors or doctorate majors of them in a strict manner when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and collecting other data. The art therapists’ experience with the clients’ artworks can vary depending on their undergraduate or doctorate major.

      The following is the proposal for this study.
      This study did not classify the four detailed types of an art therapy. It researched in the incorporated way to study the experience of an art therapist with a client’s artwork. For a follow-up study, classifying clients according to the four detailed types of art therapy is necessary. In addition, the lived experience of an art therapist regarding this matter is needed as wel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미술치료가 미술치료사, 미술, 내담자 삼요소로 구성된다고 볼 때, 미술치료 회기에서 이들 각각의 요소들은 개별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서로 상호작용한다. 미술치료 회기에서 내담자는 미술치료사와 한 공간에서 미술 재료를 활용하여 미술작업을 하며, 미술치료사는 내담자가 미술작업을 통해 표현, 탐색, 통합하는 전 과정에 치료적인 개입을 한다.
      미술치료학 연구에는 내담자의 미술작업에 대한 여러 연구물들이 있다. 이는 내담자의 미술작업의 형태 또는 내용 속에서 의미를 찾는 것에 초점을 맞춰(Kaplan, 2013), 내담자의 미술작업이 가진 효과 및 이점 그리고 특수성에 대한 연구결과들이 주를 이룬다. 이에 비해 미술치료 현장에서 내담자가 미술작업을 통해 표현, 탐색, 통합하는 전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현상에 대한 질적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한 실정이다.
      미술치료 회기 내에서 미술치료사, 내담자의 미술작업, 내담자가 삼각구도를 이루며 서로 상호작용을 한다고 볼 때, 미술치료사가 내담자의 미술작업을 접하고 이를 치료적으로 다루는 과정은 중요하다. 따라서 미술치료 회기에서 미술치료사가 내담자의 미술작업에 대하여 어떤 의미를 부여하며 그 경험은 어떠한지 연구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학 전공의 석사학위를 취득한 미술치료사가 미술치료 회기에서 내담자의 미술작업을 다루면서 체험하는 내용들을 상세히 기술하고, 그들의 다양한 체험을 탐구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미술치료 회기에서 다뤄진 내담자의 미술작업에 대해 미술치료사는 어떤 체험을 하며 그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가 미술치료 회기에서 내담자의 미술작업을 다루며 겪는 생생한 체험을 탐구하기 위하여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따랐으며, 체험의 본질에 집중, 실존적 체험 탐구,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로 구성된 총 11단계의 연구 절차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 이상의 취득자로 총 13명이다. 이들의 미술치료 현장 경력은 석사학위 취득 후 7년까지로, 본 연구 주제에 대해 다양한 경험을 하여 풍부한 진술을 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지속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6년 5월부터 12월에 걸쳐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심층 면담자료 뿐만 아니라, 내담자의 미술작업에 대한 반응 작업과 관련된 글까지 수집하였으며, 본 연구 주제와 관련되는 문학 및 예술 작품을 통해서도 참고자료를 수집하였다.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따라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9개의 대주제와 26개의 하위주제로 도출되었다.
      <미술치료사는 내담자가 미술작업을 통하여 주도적인 경험을 하도록 이끔>, <미술치료사는 내담자의 미술작업이 내담자와 연결되는 다리로 느껴짐>, <미술치료사는 내담자의 미술작업에 내담자가 입체적으로 담기는 것을 느낌>, <미술치료사는 미술작업만이 다뤄줄 수 있는 강력한 이점이 있음을 알게 됨>, <미술치료사는 내담자의 미술작업을 다룬 회기가 진행되면서 내담자가 성장해 가는 것을 느낌>, <미술치료사의 삶에 따라 내담자의 미술작업을 대하는 미술치료사의 마음가짐이 달라짐>, <내담자의 미술작업을 접하며 압도적인 감정을 느끼는 미술치료사에게 돌봄이 필요함>, <미술치료사는 내담자에게 도움이 되는 미술작업으로 이끌기 위해 애씀>, <미술치료사로서 전문적인 역량이 쌓여갈수록 내담자의 미술작업을 다뤄내는데 여유로워짐>
      이와 같은 주제 도출과 실존적 체험 탐구 및 글쓰기 등을 토대로 미술치료 회기에서 다뤄진 내담자의 미술작업에 대하여 미술치료사가 한 체험의 본질과 의미에 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 회기에서 미술치료사는 내담자의 언어인 미술작업을 접하면서 내담자와 소통하며, 그 과정에서 내담자에 대한 이해가 점점 깊어지는 체험을 한다.
      둘째, 미술치료사는 내담자가 미술작업을 통해 심리적인 어려움을 시각화하여 탐색할 수 있고, 내면의 쌓인 감정을 해소하는 등 미술작업이 가지고 있는 치료적인 이점들을 생생하게 체험하며, 이를 통해 내담자가 성장해가는 것을 느낀다.
      셋째, 미술치료사는 자신의 삶의 경험이 내담자의 미술작업을 다루는 과정에 영향을 주며, 역으로 미술치료사가 내담자의 미술작업을 다루는 과정에서 겪는 경험 또한 미술치료사의 삶으로 이어지는 것을 체험한다.
      넷째, 미술치료사는 내담자의 미술작업을 다루는데 전문적인 훈련이 필요함을 느낀다. 미술치료사는 지속적인 훈련을 받으면서 내담자의 미술작업을 다룰 때 여유로워지고, 내담자와 미술치료 환경에 따라 유연하게 미술치료를 이끌어 가며 미술치료사로서 성숙되어 감을 체험한다.
      본 연구가 미술치료학 및 미술치료 현장에 대해 기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미술치료의 삼요소인 미술치료사, 내담자의 미술작업, 내담자가 이루는 삼각구도 내에서 미술치료사와 내담자의 미술작업 간의 관계를 미술치료 현장을 경험하는 미술치료사의 목소리를 통해 조망하였다. 이를 통해 미술치료에서 미술치료사와 내담자의 미술작업이 맺는 관계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밝혀낸 체험연구로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질적 연구로서 내담자의 미술작업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체험을 드러내어 내담자의 미술작업에 대한 연구의 다양성을 확장하여 미술치료학에 기여한다.
      셋째,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 과정생이 미술치료사가 되기 위한 훈련 과정에서, 미술작업의 중요성을 가지고 미술치료사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적인 교육 자료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연구참여자들은 모두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이다. 그러나 연구참여자들의 학부 전공 또는 박사 전공은 엄격하게 구분하지 않고 심층면담 및 기타 자료수집을 하였다.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를 취득한 미술치료사의 학부 전공 또는 박사 전공에 따라서 내담자의 미술작업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체험이 다를 수 있겠다.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의 4가지 세부유형을 구분하지 않고 모두 포괄하는 내담자가 창작한 미술작업에 대하여 미술치료사가 어떤 체험을 하는지 연구하였다. 이후의 연구에서는 미술치료의 4가지 세부유형을 따라 내담자를 구분하여, 그에 따른 내담자의 미술작업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체험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미술치료가 미술치료사, 미술, 내담자 삼요소로 구성된다고 볼 때, 미술치료 회기에서 이들 각각의 요소들은 개별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서로 상호작용한다. 미술치료 회기에서 내담자는 미...

      미술치료가 미술치료사, 미술, 내담자 삼요소로 구성된다고 볼 때, 미술치료 회기에서 이들 각각의 요소들은 개별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서로 상호작용한다. 미술치료 회기에서 내담자는 미술치료사와 한 공간에서 미술 재료를 활용하여 미술작업을 하며, 미술치료사는 내담자가 미술작업을 통해 표현, 탐색, 통합하는 전 과정에 치료적인 개입을 한다.
      미술치료학 연구에는 내담자의 미술작업에 대한 여러 연구물들이 있다. 이는 내담자의 미술작업의 형태 또는 내용 속에서 의미를 찾는 것에 초점을 맞춰(Kaplan, 2013), 내담자의 미술작업이 가진 효과 및 이점 그리고 특수성에 대한 연구결과들이 주를 이룬다. 이에 비해 미술치료 현장에서 내담자가 미술작업을 통해 표현, 탐색, 통합하는 전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현상에 대한 질적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한 실정이다.
      미술치료 회기 내에서 미술치료사, 내담자의 미술작업, 내담자가 삼각구도를 이루며 서로 상호작용을 한다고 볼 때, 미술치료사가 내담자의 미술작업을 접하고 이를 치료적으로 다루는 과정은 중요하다. 따라서 미술치료 회기에서 미술치료사가 내담자의 미술작업에 대하여 어떤 의미를 부여하며 그 경험은 어떠한지 연구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학 전공의 석사학위를 취득한 미술치료사가 미술치료 회기에서 내담자의 미술작업을 다루면서 체험하는 내용들을 상세히 기술하고, 그들의 다양한 체험을 탐구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미술치료 회기에서 다뤄진 내담자의 미술작업에 대해 미술치료사는 어떤 체험을 하며 그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가 미술치료 회기에서 내담자의 미술작업을 다루며 겪는 생생한 체험을 탐구하기 위하여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따랐으며, 체험의 본질에 집중, 실존적 체험 탐구,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로 구성된 총 11단계의 연구 절차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 이상의 취득자로 총 13명이다. 이들의 미술치료 현장 경력은 석사학위 취득 후 7년까지로, 본 연구 주제에 대해 다양한 경험을 하여 풍부한 진술을 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지속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6년 5월부터 12월에 걸쳐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심층 면담자료 뿐만 아니라, 내담자의 미술작업에 대한 반응 작업과 관련된 글까지 수집하였으며, 본 연구 주제와 관련되는 문학 및 예술 작품을 통해서도 참고자료를 수집하였다.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따라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9개의 대주제와 26개의 하위주제로 도출되었다.
      <미술치료사는 내담자가 미술작업을 통하여 주도적인 경험을 하도록 이끔>, <미술치료사는 내담자의 미술작업이 내담자와 연결되는 다리로 느껴짐>, <미술치료사는 내담자의 미술작업에 내담자가 입체적으로 담기는 것을 느낌>, <미술치료사는 미술작업만이 다뤄줄 수 있는 강력한 이점이 있음을 알게 됨>, <미술치료사는 내담자의 미술작업을 다룬 회기가 진행되면서 내담자가 성장해 가는 것을 느낌>, <미술치료사의 삶에 따라 내담자의 미술작업을 대하는 미술치료사의 마음가짐이 달라짐>, <내담자의 미술작업을 접하며 압도적인 감정을 느끼는 미술치료사에게 돌봄이 필요함>, <미술치료사는 내담자에게 도움이 되는 미술작업으로 이끌기 위해 애씀>, <미술치료사로서 전문적인 역량이 쌓여갈수록 내담자의 미술작업을 다뤄내는데 여유로워짐>
      이와 같은 주제 도출과 실존적 체험 탐구 및 글쓰기 등을 토대로 미술치료 회기에서 다뤄진 내담자의 미술작업에 대하여 미술치료사가 한 체험의 본질과 의미에 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 회기에서 미술치료사는 내담자의 언어인 미술작업을 접하면서 내담자와 소통하며, 그 과정에서 내담자에 대한 이해가 점점 깊어지는 체험을 한다.
      둘째, 미술치료사는 내담자가 미술작업을 통해 심리적인 어려움을 시각화하여 탐색할 수 있고, 내면의 쌓인 감정을 해소하는 등 미술작업이 가지고 있는 치료적인 이점들을 생생하게 체험하며, 이를 통해 내담자가 성장해가는 것을 느낀다.
      셋째, 미술치료사는 자신의 삶의 경험이 내담자의 미술작업을 다루는 과정에 영향을 주며, 역으로 미술치료사가 내담자의 미술작업을 다루는 과정에서 겪는 경험 또한 미술치료사의 삶으로 이어지는 것을 체험한다.
      넷째, 미술치료사는 내담자의 미술작업을 다루는데 전문적인 훈련이 필요함을 느낀다. 미술치료사는 지속적인 훈련을 받으면서 내담자의 미술작업을 다룰 때 여유로워지고, 내담자와 미술치료 환경에 따라 유연하게 미술치료를 이끌어 가며 미술치료사로서 성숙되어 감을 체험한다.
      본 연구가 미술치료학 및 미술치료 현장에 대해 기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미술치료의 삼요소인 미술치료사, 내담자의 미술작업, 내담자가 이루는 삼각구도 내에서 미술치료사와 내담자의 미술작업 간의 관계를 미술치료 현장을 경험하는 미술치료사의 목소리를 통해 조망하였다. 이를 통해 미술치료에서 미술치료사와 내담자의 미술작업이 맺는 관계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밝혀낸 체험연구로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질적 연구로서 내담자의 미술작업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체험을 드러내어 내담자의 미술작업에 대한 연구의 다양성을 확장하여 미술치료학에 기여한다.
      셋째,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 과정생이 미술치료사가 되기 위한 훈련 과정에서, 미술작업의 중요성을 가지고 미술치료사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적인 교육 자료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연구참여자들은 모두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이다. 그러나 연구참여자들의 학부 전공 또는 박사 전공은 엄격하게 구분하지 않고 심층면담 및 기타 자료수집을 하였다.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를 취득한 미술치료사의 학부 전공 또는 박사 전공에 따라서 내담자의 미술작업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체험이 다를 수 있겠다.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의 4가지 세부유형을 구분하지 않고 모두 포괄하는 내담자가 창작한 미술작업에 대하여 미술치료사가 어떤 체험을 하는지 연구하였다. 이후의 연구에서는 미술치료의 4가지 세부유형을 따라 내담자를 구분하여, 그에 따른 내담자의 미술작업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체험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3
      • 3. 조작적 정의 3
      • II . 문헌고찰 4
      • I .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3
      • 3. 조작적 정의 3
      • II . 문헌고찰 4
      • 1. 미술치료 4
      • 1) 미술치료의 3요소 4
      • 2) 미술치료사의 정체성 5
      • 2. 미술치료에서의 미술과 내담자의 미술작업 6
      • 1) 미술치료에서 미술의 의미 6
      • 2) 내담자의 미술작업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접근 8
      • III . 연구방법 및 절차 12
      • 1.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 12
      • 2. 체험 본질에 집중 15
      • 1) 현상 지향 15
      • 2) 현상학적 질문 형성 16
      • 3) 연구자의 선 이해와 가정 16
      • 3. 실존적 체험 탐구 18
      • 1) 연구자의 경험 18
      • 2) 어원 추적 25
      • 3) 문학과 예술작품의 경험적 묘사 32
      • 4) 연구 참여자 42
      • 5) 자료 수집 43
      • 6) 연구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44
      • 7)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44
      • IV .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과 글쓰기 47
      • 1.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47
      • 2.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 80
      • V . 논의 및 결론 90
      • 참고문헌 103
      • 부록 1. 연구 참여 동의서 108
      • ABSTRACT 1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