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SCOPUS

      송정과 칠광의 소환, 1910년 채용신의 〈칠광도(七狂圖)〉: 이미지를 통해 전하는 도강 김씨 문중의 메시지 = Summoning Songjŏng and Ch’ilgwang (Seven Madmen): The Message of the Togang Kim Family in Ch’ae Yongsin’s 1910 Ch’ilgwangd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1417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칠광(七狂)’은 광해군대 1613년 계축옥사를 계기로 낙향하여 자연을 벗삼으며 세월을 보내던 김대립 등 7명을 의미한다. 이들 중 5명에 다른 5명을 더해 ‘송정’이라는 정자에서 음풍명월하던 이들을 ‘십현(十賢)’이라 불렀다. 채용신이 1910년에 모사하여 그린 〈칠광도〉와 〈송정십현도〉 두 그림은 20세기 전반에 수백년 전 역사 속 인물을 당시 실제 산수를 배경으로 그린 것이다.
      〈칠광도〉는 계회도와 초상화, 별서도 성격이 융합된 것이었다. 18세기까지 전해 내려오는 〈칠광도〉의 전래 상황을 살펴보았고, 이상형의 6세손이 〈칠광도〉를 보여주며 선조의 활약상을 설명하는 기록을 통해 시각 이미지의 역할에 대해 주목하였다. 19세기 이후 도강 김씨 문중은 태인 지역에서의 문중의 위상을 강화하고자 송정을 반복적으로 중수하고 후송정과 영당을 건립하였을 뿐 아니라, 실경의 자세한 묘사에 능했던 채용신에게 주문하여 칠광의 시각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송정을 포함한 태인 풍경을 넓게 조망하고 그 안에 칠광을 그린 것은, 실제 소유지 풍경을 묘사한 오준선(吳駿善, 1851~1931)의 용진정사(湧珍精舍)를 그린 〈용진정사도〉와 산수화 병풍을 배설한 〈채면묵 초상〉과 마찬가지로 산수와 초상이 교차하며 대대로 지역에서 명성과 세력을 유지해 온 가문의 역사와 위상을 함께 드러내고자 한 것으로 생각된다.
      번역하기

      ‘칠광(七狂)’은 광해군대 1613년 계축옥사를 계기로 낙향하여 자연을 벗삼으며 세월을 보내던 김대립 등 7명을 의미한다. 이들 중 5명에 다른 5명을 더해 ‘송정’이라는 정자에서 음풍명월...

      ‘칠광(七狂)’은 광해군대 1613년 계축옥사를 계기로 낙향하여 자연을 벗삼으며 세월을 보내던 김대립 등 7명을 의미한다. 이들 중 5명에 다른 5명을 더해 ‘송정’이라는 정자에서 음풍명월하던 이들을 ‘십현(十賢)’이라 불렀다. 채용신이 1910년에 모사하여 그린 〈칠광도〉와 〈송정십현도〉 두 그림은 20세기 전반에 수백년 전 역사 속 인물을 당시 실제 산수를 배경으로 그린 것이다.
      〈칠광도〉는 계회도와 초상화, 별서도 성격이 융합된 것이었다. 18세기까지 전해 내려오는 〈칠광도〉의 전래 상황을 살펴보았고, 이상형의 6세손이 〈칠광도〉를 보여주며 선조의 활약상을 설명하는 기록을 통해 시각 이미지의 역할에 대해 주목하였다. 19세기 이후 도강 김씨 문중은 태인 지역에서의 문중의 위상을 강화하고자 송정을 반복적으로 중수하고 후송정과 영당을 건립하였을 뿐 아니라, 실경의 자세한 묘사에 능했던 채용신에게 주문하여 칠광의 시각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송정을 포함한 태인 풍경을 넓게 조망하고 그 안에 칠광을 그린 것은, 실제 소유지 풍경을 묘사한 오준선(吳駿善, 1851~1931)의 용진정사(湧珍精舍)를 그린 〈용진정사도〉와 산수화 병풍을 배설한 〈채면묵 초상〉과 마찬가지로 산수와 초상이 교차하며 대대로 지역에서 명성과 세력을 유지해 온 가문의 역사와 위상을 함께 드러내고자 한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ilgwang (七狂, Seven Madmen) a group of seven individuals, including Kim Taerip, who sought refuge in nature following the significant political event, Kyech’uk Oksa (癸丑獄事), in 1613 during the reign of King Kwanghae. Of these seven, five were later joined by another five, who together embraced an ideal, tranquil lifestyle at a pavilion known as Songjŏng. This larger group came to be known collectively as Sip’yŏn (十賢, Ten Sages). Ch’ae Yongsin’s 1910 paintings, Ch’ilgwangdo (七狂圖, Painting of the Seven Madmen) and Songjŏng sip’yŏndo (松亭十賢圖, Painting of the Ten Sages at Songjŏng), feature these historical figures from centuries past set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early 20th century landscapes. Ch’ilgwangdo integrates the visual features of three painting genres, gathering painting (kyehoedo), portraiture, and estate painting (pyŏlsŏdo).
      This paper examines the transmission of Ch’ilgwangdo up to the 18th century and brings to bear the role of visual imagery by analyzing an account by Yi Sanghyŏng’s sixth-generation descendant, who showcased the painting and explained his ancestor’s significant achievements. Post-the 19th century, the Togang Kim family initiated several projects to elevate their clan’s status in the T’aein region. These projects included multiple renovations of Songjŏng, construction of the Rear Songjŏng, and an ancestral shrine. Commissioning Ch’ae Yongsin, known for his detailed expressions and real scenery landscape paintings, was part of this effort to visualize the Seven Madmen. The placement of Ch’ilgwang figures within the broader landscape of Taein, including Songjŏng, in Ch’ae’s painting echoes a similar intent found in O Chunsŏn’s (1851~1931) Yongjin chŏngsado (湧珍精舍圖, Painting of Yongjin Private Residence for Educating Students) and Portrait of Ch’ae Myŏnmuk, both of which portray the actual landscapes of his estates. This interplay of landscape and figure representation underscores the history and status of the Kim family, which has upheld its high renown and influence in the region for generations.
      번역하기

      Ch’ilgwang (七狂, Seven Madmen) a group of seven individuals, including Kim Taerip, who sought refuge in nature following the significant political event, Kyech’uk Oksa (癸丑獄事), in 1613 during the reign of King Kwanghae. Of these seven, f...

      Ch’ilgwang (七狂, Seven Madmen) a group of seven individuals, including Kim Taerip, who sought refuge in nature following the significant political event, Kyech’uk Oksa (癸丑獄事), in 1613 during the reign of King Kwanghae. Of these seven, five were later joined by another five, who together embraced an ideal, tranquil lifestyle at a pavilion known as Songjŏng. This larger group came to be known collectively as Sip’yŏn (十賢, Ten Sages). Ch’ae Yongsin’s 1910 paintings, Ch’ilgwangdo (七狂圖, Painting of the Seven Madmen) and Songjŏng sip’yŏndo (松亭十賢圖, Painting of the Ten Sages at Songjŏng), feature these historical figures from centuries past set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early 20th century landscapes. Ch’ilgwangdo integrates the visual features of three painting genres, gathering painting (kyehoedo), portraiture, and estate painting (pyŏlsŏdo).
      This paper examines the transmission of Ch’ilgwangdo up to the 18th century and brings to bear the role of visual imagery by analyzing an account by Yi Sanghyŏng’s sixth-generation descendant, who showcased the painting and explained his ancestor’s significant achievements. Post-the 19th century, the Togang Kim family initiated several projects to elevate their clan’s status in the T’aein region. These projects included multiple renovations of Songjŏng, construction of the Rear Songjŏng, and an ancestral shrine. Commissioning Ch’ae Yongsin, known for his detailed expressions and real scenery landscape paintings, was part of this effort to visualize the Seven Madmen. The placement of Ch’ilgwang figures within the broader landscape of Taein, including Songjŏng, in Ch’ae’s painting echoes a similar intent found in O Chunsŏn’s (1851~1931) Yongjin chŏngsado (湧珍精舍圖, Painting of Yongjin Private Residence for Educating Students) and Portrait of Ch’ae Myŏnmuk, both of which portray the actual landscapes of his estates. This interplay of landscape and figure representation underscores the history and status of the Kim family, which has upheld its high renown and influence in the region for generation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