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병하, "한국 농교육의 정체성 위기: 현상과 과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465-489, 2007
2 교육부, "특수교육통계" 교육부 2014
3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연차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2006
4 최성규, "통합교육환경 청각장애 청소년의 교육환경에 대한이해와 정체성 인식 연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 (2): 47-68, 2011
5 김수향, "통합교육환경 청각장애 청소년의 교육환경에 대한 이해와 정체성 인식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2
6 임명순, "통합교육을 받는 청각장애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7 권순우, "통합교육 환경에서 청각장애학생의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언어치료학회 19 (19): 133-153, 2010
8 최상배, "청각장애학생 통합교육 실태와 개선방안- 교육 수화통역을 중심으로 -"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55-77, 2012
9 최성규, "청각장애학교 교사를 위한 교사재교육 심화교육과정 모형 개발" 국립특수교육원 15 (15): 179-204, 2008
10 이서영, "청각장애인이 경험한 통합교육에 관한 질적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2
1 김병하, "한국 농교육의 정체성 위기: 현상과 과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465-489, 2007
2 교육부, "특수교육통계" 교육부 2014
3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연차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2006
4 최성규, "통합교육환경 청각장애 청소년의 교육환경에 대한이해와 정체성 인식 연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 (2): 47-68, 2011
5 김수향, "통합교육환경 청각장애 청소년의 교육환경에 대한 이해와 정체성 인식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2
6 임명순, "통합교육을 받는 청각장애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7 권순우, "통합교육 환경에서 청각장애학생의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언어치료학회 19 (19): 133-153, 2010
8 최상배, "청각장애학생 통합교육 실태와 개선방안- 교육 수화통역을 중심으로 -"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55-77, 2012
9 최성규, "청각장애학교 교사를 위한 교사재교육 심화교육과정 모형 개발" 국립특수교육원 15 (15): 179-204, 2008
10 이서영, "청각장애인이 경험한 통합교육에 관한 질적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2
11 이정렬, "청각장애아의 문장력향상을 위한 교수법의 탐색" 대구대학교 대학원 1993
12 김선애, "청각장애아동 통합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질적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9
13 최희정, "청각장애아 언어교육 설계를 위한 탐색적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1998
14 최성규, "청각장애아 언어 교육방법론에 대한 패러다임 이동-이중문화와 이중언어 접근의 정당성" 33 (33): 121-143, 1999
15 권순우, "청각장애 학교교육과정 재구조화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5
16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Ⅱ : Methods" 아카데미프레스 2013
17 조경호, "진정한 부흥 로마서" 생명의 말씀사 2010
18 이율하, "이중언어주의에 근거한 언어교육이 농아동의 언어능력과 가족간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나사렛대학교 대학원 2004
19 김미은, "이중언어 교육이 농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나사렛대학교 대학원 2007
20 김병하, "우리나라 특수교육교사 직전교육의 문제와 쟁점" 3 (3): 1-27, 2008
21 홍사중, "역사의 연구" 동서문화사 2015
22 조용환, "대안학교의 가능성과 한계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1 (1): 113-155, 1998
23 김영욱, "농학생의 이중언어 능통을 위한 이중언어 교육 성공 조건 탐색" 한국특수교육학회 39 (39): 31-59, 2004
24 이한나, "농학생의 기능적 문해능력 신장을 위한 ‘Inserting’ 이중언어교육 체제 모색: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 분석을 통하여"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239-258, 2009
25 정운기, "농아동의 이중언어접근법에 관련된 제반요소 탐색"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6 (6): 405-424, 2005
26 곽정란, "농아동을 둔 농부모의 양육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언어 선택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329-349, 2011
27 김지원, "농부모를 둔 청각장애대학생의 생애사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5
28 이와이, "농문화의 이해" 농아사회정보원 2002
29 권순황, "농문화 인식에 따른 농학생의 이중언어 선호 연구" 27 (27): 19-38, 2004
30 "http://dic.daum.net/word/view.do?wordid=kkw000215917&q=%EC%9E%90%EC%97%B0"
31 "http://dic.daum.net/word/view.do?wordid=ekw000111594&q=natural"
32 Johnson, R. E., "Unlocking the Curriculum: Principles for Achieving Access in Deaf Education" Gallaudet University 1989
33 Wauters, L., "Social integration of deaf children in inclusive settings" 13 : 21-36, 2008
34 Stinson, M. S., "Participation of deaf and hard of hearing students in classes with hearing students" 4 : 191-202, 1999
35 Spencer, P. E., "Evidence-based Practice in Educating Deaf and Hard-of-hearing Students"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36 Bowen, S. K., "Coenrollment for students who are deaf of hard of hearing : friendship patterns and social interactions" 154 (154): 285-293, 2008
37 Marschark, M., "Bilingualism and Bilingual Deaf Educ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38 Svartholm, K., "Bilingual education for deaf children in Sweden" 13 (13): 159-174, 2010
39 Luckner, J. L., "An examination of two coteaching classrooms" 144 (144): 24-34, 1999
40 Kreimeyer, K. H., "Academic and social benefits of a co-enrollment model of inclusive education for deaf and hard-of-hearing children" 5 (5): 175-185, 2000
41 윤미선, "21세기의 농교육: 주제와 경향" 시그마프레스 2014
42 김영신, "'농(聾)문화를 소재로 한 창작동화'가 농학생의 농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