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중언어 농학생의 동반입학 지원을 위한 창조적 소수의 도전 = The challenges of the creative minority towards supporting co-enrollment of sign-bilingual Deaf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279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describes the experience of those that supported the co-enrollment of two deaf children into general school. Through the research, it identifies the motivation behind the parents in enrolling their deaf-children into the general school, the implications of the experience on successful settling process, and what they suggest on the deaf education as a whole. The analysis of this research concludes the following: First, the parents of deaf children chose general school due to negative experience at their past deaf school and decided to co-enroll in general school with another deaf child to resolve the possible feeling of isolation. Second, issues such as assigning sign language interpreter, improving the interpreter's work conditions, as well as accommodating sign language were brought up to support successful co-enrollment. Last, the need to build sign-bilingual education was mentioned to help deaf children achieve academic success. The specific topic of this research is on the co-enrollment of deaf children but implications apply to the deaf education as a whole.
      번역하기

      This research describes the experience of those that supported the co-enrollment of two deaf children into general school. Through the research, it identifies the motivation behind the parents in enrolling their deaf-children into the general school, ...

      This research describes the experience of those that supported the co-enrollment of two deaf children into general school. Through the research, it identifies the motivation behind the parents in enrolling their deaf-children into the general school, the implications of the experience on successful settling process, and what they suggest on the deaf education as a whole. The analysis of this research concludes the following: First, the parents of deaf children chose general school due to negative experience at their past deaf school and decided to co-enroll in general school with another deaf child to resolve the possible feeling of isolation. Second, issues such as assigning sign language interpreter, improving the interpreter's work conditions, as well as accommodating sign language were brought up to support successful co-enrollment. Last, the need to build sign-bilingual education was mentioned to help deaf children achieve academic success. The specific topic of this research is on the co-enrollment of deaf children but implications apply to the deaf education as a who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두 농학생의 일반학교 동반입학 과정을 지원한 사람들의 경험을 기술함으로써 청각장애교육에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동반입학 과정을 지원한 농학생의 농부모 2명, 수화통역사 3명, 사회복지사 1명, 특수교사 1명, 통합학급 담임교사 1명과 면담을 실시하여 자문화기술지 방법으로 기술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첫째, 농부모는 과거 농학교의 부정적 경험으로 일반학교를 선택하였고, 농자녀가 일반학교에서 겪게 될 고립감을 해결하기 위해 동반입학을 결정하였다. 둘째, 동반입학과정에서 수화통역사 배치의 어려움 및 근무 여건의 열악함, 구화와 수화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나 향후 동반입학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서는 교육수화통역사의 제도화와 농학생의 교육에서 수화에 대한 인식 전환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수화를 통한 농학생과 일반학생의 상호작용이 형성되고 있어서 이를 촉진할 수 있는 협력교수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셋째, 청각장애학생 교육 전반에 걸쳐 제기되는 낮은 학업성취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기 이중언어환경 구축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따라서 이중언어 농학생의 동반입학 제도는 농학생의 학업성취에 대한 낮은 수준과 통합교육 상황에서 교육 주체의 소외감을 해결할 수 있는 청각장애학생 통합교육의 실천적 모델로써 적용 가능성이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두 농학생의 일반학교 동반입학 과정을 지원한 사람들의 경험을 기술함으로써 청각장애교육에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동반입학 과정을 지원한 농학생의 농...

      본 연구는 두 농학생의 일반학교 동반입학 과정을 지원한 사람들의 경험을 기술함으로써 청각장애교육에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동반입학 과정을 지원한 농학생의 농부모 2명, 수화통역사 3명, 사회복지사 1명, 특수교사 1명, 통합학급 담임교사 1명과 면담을 실시하여 자문화기술지 방법으로 기술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첫째, 농부모는 과거 농학교의 부정적 경험으로 일반학교를 선택하였고, 농자녀가 일반학교에서 겪게 될 고립감을 해결하기 위해 동반입학을 결정하였다. 둘째, 동반입학과정에서 수화통역사 배치의 어려움 및 근무 여건의 열악함, 구화와 수화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나 향후 동반입학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서는 교육수화통역사의 제도화와 농학생의 교육에서 수화에 대한 인식 전환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수화를 통한 농학생과 일반학생의 상호작용이 형성되고 있어서 이를 촉진할 수 있는 협력교수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셋째, 청각장애학생 교육 전반에 걸쳐 제기되는 낮은 학업성취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기 이중언어환경 구축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따라서 이중언어 농학생의 동반입학 제도는 농학생의 학업성취에 대한 낮은 수준과 통합교육 상황에서 교육 주체의 소외감을 해결할 수 있는 청각장애학생 통합교육의 실천적 모델로써 적용 가능성이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병하, "한국 농교육의 정체성 위기: 현상과 과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465-489, 2007

      2 교육부, "특수교육통계" 교육부 2014

      3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연차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2006

      4 최성규, "통합교육환경 청각장애 청소년의 교육환경에 대한이해와 정체성 인식 연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 (2): 47-68, 2011

      5 김수향, "통합교육환경 청각장애 청소년의 교육환경에 대한 이해와 정체성 인식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2

      6 임명순, "통합교육을 받는 청각장애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7 권순우, "통합교육 환경에서 청각장애학생의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언어치료학회 19 (19): 133-153, 2010

      8 최상배, "청각장애학생 통합교육 실태와 개선방안- 교육 수화통역을 중심으로 -"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55-77, 2012

      9 최성규, "청각장애학교 교사를 위한 교사재교육 심화교육과정 모형 개발" 국립특수교육원 15 (15): 179-204, 2008

      10 이서영, "청각장애인이 경험한 통합교육에 관한 질적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2

      1 김병하, "한국 농교육의 정체성 위기: 현상과 과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465-489, 2007

      2 교육부, "특수교육통계" 교육부 2014

      3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연차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2006

      4 최성규, "통합교육환경 청각장애 청소년의 교육환경에 대한이해와 정체성 인식 연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 (2): 47-68, 2011

      5 김수향, "통합교육환경 청각장애 청소년의 교육환경에 대한 이해와 정체성 인식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2

      6 임명순, "통합교육을 받는 청각장애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7 권순우, "통합교육 환경에서 청각장애학생의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언어치료학회 19 (19): 133-153, 2010

      8 최상배, "청각장애학생 통합교육 실태와 개선방안- 교육 수화통역을 중심으로 -"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55-77, 2012

      9 최성규, "청각장애학교 교사를 위한 교사재교육 심화교육과정 모형 개발" 국립특수교육원 15 (15): 179-204, 2008

      10 이서영, "청각장애인이 경험한 통합교육에 관한 질적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2

      11 이정렬, "청각장애아의 문장력향상을 위한 교수법의 탐색" 대구대학교 대학원 1993

      12 김선애, "청각장애아동 통합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질적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9

      13 최희정, "청각장애아 언어교육 설계를 위한 탐색적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1998

      14 최성규, "청각장애아 언어 교육방법론에 대한 패러다임 이동-이중문화와 이중언어 접근의 정당성" 33 (33): 121-143, 1999

      15 권순우, "청각장애 학교교육과정 재구조화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5

      16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Ⅱ : Methods" 아카데미프레스 2013

      17 조경호, "진정한 부흥 로마서" 생명의 말씀사 2010

      18 이율하, "이중언어주의에 근거한 언어교육이 농아동의 언어능력과 가족간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나사렛대학교 대학원 2004

      19 김미은, "이중언어 교육이 농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나사렛대학교 대학원 2007

      20 김병하, "우리나라 특수교육교사 직전교육의 문제와 쟁점" 3 (3): 1-27, 2008

      21 홍사중, "역사의 연구" 동서문화사 2015

      22 조용환, "대안학교의 가능성과 한계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1 (1): 113-155, 1998

      23 김영욱, "농학생의 이중언어 능통을 위한 이중언어 교육 성공 조건 탐색" 한국특수교육학회 39 (39): 31-59, 2004

      24 이한나, "농학생의 기능적 문해능력 신장을 위한 ‘Inserting’ 이중언어교육 체제 모색: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 분석을 통하여"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239-258, 2009

      25 정운기, "농아동의 이중언어접근법에 관련된 제반요소 탐색"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6 (6): 405-424, 2005

      26 곽정란, "농아동을 둔 농부모의 양육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언어 선택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329-349, 2011

      27 김지원, "농부모를 둔 청각장애대학생의 생애사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5

      28 이와이, "농문화의 이해" 농아사회정보원 2002

      29 권순황, "농문화 인식에 따른 농학생의 이중언어 선호 연구" 27 (27): 19-38, 2004

      30 "http://dic.daum.net/word/view.do?wordid=kkw000215917&q=%EC%9E%90%EC%97%B0"

      31 "http://dic.daum.net/word/view.do?wordid=ekw000111594&q=natural"

      32 Johnson, R. E., "Unlocking the Curriculum: Principles for Achieving Access in Deaf Education" Gallaudet University 1989

      33 Wauters, L., "Social integration of deaf children in inclusive settings" 13 : 21-36, 2008

      34 Stinson, M. S., "Participation of deaf and hard of hearing students in classes with hearing students" 4 : 191-202, 1999

      35 Spencer, P. E., "Evidence-based Practice in Educating Deaf and Hard-of-hearing Students"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36 Bowen, S. K., "Coenrollment for students who are deaf of hard of hearing : friendship patterns and social interactions" 154 (154): 285-293, 2008

      37 Marschark, M., "Bilingualism and Bilingual Deaf Educ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38 Svartholm, K., "Bilingual education for deaf children in Sweden" 13 (13): 159-174, 2010

      39 Luckner, J. L., "An examination of two coteaching classrooms" 144 (144): 24-34, 1999

      40 Kreimeyer, K. H., "Academic and social benefits of a co-enrollment model of inclusive education for deaf and hard-of-hearing children" 5 (5): 175-185, 2000

      41 윤미선, "21세기의 농교육: 주제와 경향" 시그마프레스 2014

      42 김영신, "'농(聾)문화를 소재로 한 창작동화'가 농학생의 농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 With Special Need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4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아동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15 1.374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