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역사 수업의 지향과 실행에 대한 인식 - 교사 설문을 중심으로 - = What does the Nation-wide Teacher Survey Tell Us about the Orientation and Practice of History Teach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424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cent emphasis on history teaching based on national - social change and research outcomes, provides a rich repertoire to teachers, including teaching historical thinking and contestability, inspiring values and competences as a democratic citizen, and students as active participants in history classroom.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way in which history teachers perceive current theoretical foci in teaching history. To do so, the nation wide survey was conducted and participated by about 300 history teachers working at middle and high schools nationwide.
      To their instructional orientation and the degree to which they are actually implemented in class, teachers’ reponses include that they tend to solve most significant problems related to history teaching with their colleagues and/or personal trials. While novice teachers required the mastery of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for a good teaching, expert teachers emphasized understanding of and communication skills with students. Most teachers confirmed student󰠏centered approaches specific to the subject of history rather than the application of any particular teaching strategies sugges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research.
      In light of teaching careers, school levels, and regions, this survey results will be able to provide considerations to assess the appropriateness of educational policy.
      번역하기

      The recent emphasis on history teaching based on national - social change and research outcomes, provides a rich repertoire to teachers, including teaching historical thinking and contestability, inspiring values and competences as a democratic citize...

      The recent emphasis on history teaching based on national - social change and research outcomes, provides a rich repertoire to teachers, including teaching historical thinking and contestability, inspiring values and competences as a democratic citizen, and students as active participants in history classroom.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way in which history teachers perceive current theoretical foci in teaching history. To do so, the nation wide survey was conducted and participated by about 300 history teachers working at middle and high schools nationwide.
      To their instructional orientation and the degree to which they are actually implemented in class, teachers’ reponses include that they tend to solve most significant problems related to history teaching with their colleagues and/or personal trials. While novice teachers required the mastery of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for a good teaching, expert teachers emphasized understanding of and communication skills with students. Most teachers confirmed student󰠏centered approaches specific to the subject of history rather than the application of any particular teaching strategies sugges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research.
      In light of teaching careers, school levels, and regions, this survey results will be able to provide considerations to assess the appropriateness of educational polic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역사적 사고력과 논쟁을 강조한 역사다운 역사 수업, 학습자의 학습 활동 참여를 강조하는 수업, 민주시민으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교육적 가치와 역량에 주목한 수업과 같이 역사 수업의 초점과 지향은 국가·사회적 변화와 연구 성과의 축적으로 강조점을 달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초점에 대해 역사교사가 자신의 수업 지향과 관련지어 인식하는 방식과 수업에서 실제 구현하는 정도에 비추어 살펴볼 때, 국가수준 교육과정과 역사 수업에 대한 이론적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역사 교수·학습 방향의 적절성과 그에 따른 정책의 실효성을 제대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 수업 방식의 현황과 수업에 대한 교사의 문제의식을 파악하는 방법으로 설문조사 방식을 채택하여, 전국 소재 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약 300여명의 역사교사가 참여하였다. 모든 경력 단계의 교사들이 가장 큰 문제로 인식하는 역사 수업 개선은 동료 교사와의 협업에 가장 많이 의존하고 있었다. 좋은 역사 수업을 위해 필요한 교사의 역량으로 초임 시절에는 교재와 교수법에 대한 이해를, 경력교사는 학생에 대한 이해와 의사소통 능력을 들면서 경력의 진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수·학습 방향에 대해서는 특정한 교재나 학습 활동의 적용을 선호하기보다, 역사과 고유의 인식과 이해 방법을 추구하는 수업과 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참여를 강조하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에 대해 지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역사 수업의 지향과 목표로 간주되는 교수·학습 방향에 대해 교사들이 이해하고 적용하는 방식을 교직경력별로, 학교 급별로, 지역별로 파악함으로써, 수업 개선과 관련된 제반 정책 지원이나 평가 체제를 고안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역사적 사고력과 논쟁을 강조한 역사다운 역사 수업, 학습자의 학습 활동 참여를 강조하는 수업, 민주시민으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교육적 가치와 역량에 주목한 수업과 같이 역사 수업의 초...

      역사적 사고력과 논쟁을 강조한 역사다운 역사 수업, 학습자의 학습 활동 참여를 강조하는 수업, 민주시민으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교육적 가치와 역량에 주목한 수업과 같이 역사 수업의 초점과 지향은 국가·사회적 변화와 연구 성과의 축적으로 강조점을 달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초점에 대해 역사교사가 자신의 수업 지향과 관련지어 인식하는 방식과 수업에서 실제 구현하는 정도에 비추어 살펴볼 때, 국가수준 교육과정과 역사 수업에 대한 이론적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역사 교수·학습 방향의 적절성과 그에 따른 정책의 실효성을 제대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 수업 방식의 현황과 수업에 대한 교사의 문제의식을 파악하는 방법으로 설문조사 방식을 채택하여, 전국 소재 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약 300여명의 역사교사가 참여하였다. 모든 경력 단계의 교사들이 가장 큰 문제로 인식하는 역사 수업 개선은 동료 교사와의 협업에 가장 많이 의존하고 있었다. 좋은 역사 수업을 위해 필요한 교사의 역량으로 초임 시절에는 교재와 교수법에 대한 이해를, 경력교사는 학생에 대한 이해와 의사소통 능력을 들면서 경력의 진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수·학습 방향에 대해서는 특정한 교재나 학습 활동의 적용을 선호하기보다, 역사과 고유의 인식과 이해 방법을 추구하는 수업과 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참여를 강조하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에 대해 지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역사 수업의 지향과 목표로 간주되는 교수·학습 방향에 대해 교사들이 이해하고 적용하는 방식을 교직경력별로, 학교 급별로, 지역별로 파악함으로써, 수업 개선과 관련된 제반 정책 지원이나 평가 체제를 고안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진경, "한국 역사교육의 연구동향" 책과함께 2011

      2 방지원, "학습내용구성 관점에서 본 최근 역사교육의 민주시민교육논의 : 대안적 구성 방향의 모색" 역사교육학회 (69) : 3-41, 2018

      3 박상민, "학교 현장에서의 고려시대사 교육의현황과 전망" 한국사학회 (132) : 47-84, 2018

      4 김봉석,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을 적용한 탐구식 역사학습의 실제" 교육문제연구소 62 : 33-56, 2015

      5 김지현, "프로젝트기반학습을 활용한 사회과 융합 독도 수업 실천 사례 연구" 한국사회과수업학회 5 (5): 47-65, 2017

      6 방지원, "최근 역사수업에서 ‘학생 활동’의 양상 : ‘탐구’에서 ‘만남’으로-민주시민을 기르는 역사교육의 관점에서-" 역사교육학회 (65) : 3-31, 2017

      7 방지원, "최근 논쟁 중심 역사수업 논의와 교사전문성, 교사교육" 역사교육연구회 (149) : 29-59, 2019

      8 이관구, "초등한국사! 진짜 역사수업을 말한다" 즐거운학교 2014

      9 윤정근, "초등학생들의 다관점 형성과정 프로젝트 - 삼국통일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3 (23): 35-48, 2016

      10 김나리, "초등역사학습에서 비주얼씽킹의 이론적 체계화와 실제 적용"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5 (25): 81-101, 2018

      1 정진경, "한국 역사교육의 연구동향" 책과함께 2011

      2 방지원, "학습내용구성 관점에서 본 최근 역사교육의 민주시민교육논의 : 대안적 구성 방향의 모색" 역사교육학회 (69) : 3-41, 2018

      3 박상민, "학교 현장에서의 고려시대사 교육의현황과 전망" 한국사학회 (132) : 47-84, 2018

      4 김봉석,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을 적용한 탐구식 역사학습의 실제" 교육문제연구소 62 : 33-56, 2015

      5 김지현, "프로젝트기반학습을 활용한 사회과 융합 독도 수업 실천 사례 연구" 한국사회과수업학회 5 (5): 47-65, 2017

      6 방지원, "최근 역사수업에서 ‘학생 활동’의 양상 : ‘탐구’에서 ‘만남’으로-민주시민을 기르는 역사교육의 관점에서-" 역사교육학회 (65) : 3-31, 2017

      7 방지원, "최근 논쟁 중심 역사수업 논의와 교사전문성, 교사교육" 역사교육연구회 (149) : 29-59, 2019

      8 이관구, "초등한국사! 진짜 역사수업을 말한다" 즐거운학교 2014

      9 윤정근, "초등학생들의 다관점 형성과정 프로젝트 - 삼국통일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3 (23): 35-48, 2016

      10 김나리, "초등역사학습에서 비주얼씽킹의 이론적 체계화와 실제 적용"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5 (25): 81-101, 2018

      11 권의신, "초등 역사 수업의 길잡이" 책과함께 2015

      12 유득순, "질문을 중심으로 한 역사영화 탐구수업의 모형 개발과 실제-한국전쟁 소재의 역사영화를 중심으로-" 역사교육학회 (68) : 35-74, 2018

      13 황현정, "지역사 수업의 실행과 정체성 교육"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147-171, 2015

      14 장은서, "중학생이 말하는 역사교사의 ‘좋은 수업’" 한국교원대학교 2016

      15 이지나, "중학교 초임 교사가 겪는 어려움과 대응방안에 대한 질적 연구 : 역사교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6 김수미, "중학교 역사수업에서 과정 중심 평가의 인식과 실천 가능성 모색" 역사교육연구회 (150) : 111-152, 2019

      17 이미미, "중학교 - 역사 - 수업에서의 사료 활용 실태 연구" 한국역사교육학회 (29) : 87-132, 2017

      18 강지혜, "중등학교 역사수업에 적용된플립드 러닝에 대한 학습효과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103-124, 2018

      19 박도연, "중등 역사교사 4인의 교육과정 재구성 방법과 의미"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8

      20 정미란, "전국역사교사모임의 역사 수업 실천과 지향 - 회보 『역사교육』의 ‘수업이야기’를 중심으로 -" 한국역사교육학회 (30) : 169-210, 2018

      21 윤정근, "웹 자료를 활용하는 역사과 교실 수업을 위한 제언 - 역사탐구의 관점에서 -" 역사교육학회 (66) : 25-59, 2018

      22 백은진, "역사학습의 목적과 역사교사의 역사교육 목적에 대한 중고등학생들의 인식" 역사교육연구회 (133) : 1-40, 2015

      23 김한종, "역사수업의 원리" 책과함께 2008

      24 윤종배, "역사수업의 길을 묻다" 휴머니스트 2018

      25 남한호, "역사수업에서 교사와 학생간 교육목표의 일치성 검토" 역사교육학회 (45) : 33-64, 2010

      26 김민정, "역사수업, 함께 궁리하고 더불어 성장하다 : 역사수업연구분과 10년의 여정" 책과함께 2019

      27 방지원, "역사수업 원리로서 ‘감정이입적 역사이해’의 재개념화 필요성과 방향의 모색" 한국역사교육학회 (20) : 7-48, 2014

      28 양치구, "역사교육에서 비판적 사고력의 개념에 대한 모색" 역사교육학회 (63) : 47-82, 2017

      29 김육훈, "역사교실, 역사에서 배우고 삶으로 가르치는" 비아북(Viabook publisher) 2018

      30 문순창, "역사교실, 역사에서 배우고 삶으로 가르치는" 비아북 2018

      31 이해영, "역사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연구" 호서사학회 (74) : 149-183, 2015

      32 김민정, "역사교사 양성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교사 설문을 중심으로" 역사교육연구회 (152) : 279-311, 2019

      33 김영화, "역사교과 플립드러닝이 학업성취도, 교과흥미도, 수업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26 (26): 535-558, 2020

      34 이현지, "역사과 교육실습생의 수업 실행과 교사양성과정에 대한 인식" 역사교육학회 (72) : 177-217, 2019

      35 김민정, "역사 수업 연구공동체의 3·1운동 수업 실행과 수업 대화" 역사교육학회 (56) : 135-164, 2015

      36 윤지양, "역사 수업 개선을 위한 교사 연구 활동의 사례 - 대구역사교육연구회, 그 7년간의 이야기 -" 역사교육학회 (54) : 409-432, 2015

      37 김한종, "시민교육을 위한 역사교육의 이론과 실천" 책과함께 2019

      38 윤지양, "수업 재구성을 통해 본 역사 교사 지식" 역사교육학회 (62) : 3-46, 2017

      39 김민수, "부산 민주화 운동을 주제로 한 지역사 체험학습 방안 모색" 효원사학회 53 : 59-90, 2018

      40 이해영, "민주주의 관점으로 구성한 역사수업 탐색" 한국역사교육학회 (21) : 141-180, 2015

      41 김한종, "민주사회와 시민을 위한 역사교육"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42 백은진, "민주 시민 양성을 위한 역사교육: 접점과 간극"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961-980, 2019

      43 김민정, "근래의 역사 수업 연구 경향과 연구 방법에 대한 검토" 한국역사교육학회 (22) : 163-192, 2015

      44 이은해, "교육실습의 장점과 한계점: 중등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일지 질적 분석"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2015

      45 조지선, "교실 수업에 반영된 교사의 역사교육관과 학생의 수용" 한국역사교육학회 (27) : 7-50, 2017

      46 이해영, "교사들이 생각하는민주주의 역사교육내용 구성과 적용 가능성 탐색 - 전근대 영역을 중심으로 -" 한국역사교육학회 (29) : 45-86, 2017

      47 방지원, "교사가 ‘구성’하는 역사교육과정, 그 오랜 고민에서 찾는 쟁점과 전망" 19 : 2020

      48 김혁동, "교사 학습공동체" 즐거운학교 2017

      49 김정원, "교사 생애 단계의 두 차원" 교육연구소 15 (15): 109-142, 2014

      50 김민정, "‘연구공동체’ 교사의 ‘배움의 공동체’ 역사 수업 연구: 지향과 실제" 한국역사교육학회 (25) : 7-48, 2016

      51 허은철, "‘역사하기(doing history)’를 위한 프로젝트 역사 수업 방안 -‘여러 나라의 성장’ 단원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363-381, 2018

      52 강화정, "‘논쟁 재연’ 방식의 토론식 역사 수업 사례 연구: 7대 대통령 선거, 누구를 선택할 것인가" 15 : 2017

      53 김민정, "Critical Reflection on Instantiating “Foreign” Theory in the Korean History Teacher Community" 교육종합연구원 27 (27): 1-17, 2018

      54 김민수, "2009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한국사> 수업의 내용 구성" 효원사학회 47 : 285-327,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 1.11 1.919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