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슈퍼비전요인이 지역사회복지관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Supervision Factors Associated with Self-Efficacy of Case Managers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183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사례관리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슈퍼비전 요인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지역사회복지관의 기능이 개편되면서 중요시된 사례관리 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슈퍼비전을 통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시작하게 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 서울시·경기도·인천시 내 142개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사례관리를 담당하는 127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주요한 문제로서 슈퍼비전 요인 중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슈퍼바이저의 지지적 행동특성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슈퍼바이저는 사례관리자를 강점관점으로 보고 사례관리자의 결정권을 지지해주며 슈퍼바이저는 정직하고 성실한 모습을 통해 사례관리자에게 관계적으로 도움을 주는 것과 사례관리자의 능력성장을 중요시하고 사례관리 수행에 있어 이용 가능한 정보를 제공해 주며 문제 중심보다는 해결책을 강조하는 슈퍼바이저의 참여적 도움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슈퍼비전의 요인 중 슈퍼비전의 교육적 기능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슈퍼바이저가 교육적 기능을 많이 활용할수록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사례관리자가 사례관리를 수행하는데 사례관리의 전반적 과정을 논의하는 것을 슈퍼바이저와 함께 하는 것 뿐 아니라 사례관리자의 책임성의 한계인식, 자기인식향상, 이론적 지식 향상을 위한 교육적인 슈퍼비전을 통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슈퍼바이저의 지지적 행동특성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으로 슈퍼바이저는 강점관점, 존중, 자율성, 신뢰, 이해와 같은 슈퍼바이저의 태도와 지식습득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사례관리자의 교육 뿐 아니라 슈퍼바이저의 교육과 훈련의 시스템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며 강점관점의 실천이 클라이언트에게만 실천되는 것이 아니라 사례관리자에게도 실천된다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의 수준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지역사회복지관 사례관리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슈퍼비전의 기능중 교육적 기능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사례관리자의 자기개발의 기회 및 전문적인 지식향상을 위한 기회확대와 교육비 지원 등 교육을 위한 지원과 내부시스템의 안착화가 필요하다. 셋째, 사례관리를 담당하는 슈퍼바이저의 경우에는 사회복지 경력이 바탕이 되는 슈퍼바이저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실천경험과 교육훈련을 받은 경력의 사회복지사가 슈퍼바이저가 될 수 있도록 관리시스템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사례관리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슈퍼비전 요인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지역...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사례관리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슈퍼비전 요인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지역사회복지관의 기능이 개편되면서 중요시된 사례관리 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슈퍼비전을 통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시작하게 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 서울시·경기도·인천시 내 142개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사례관리를 담당하는 127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주요한 문제로서 슈퍼비전 요인 중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슈퍼바이저의 지지적 행동특성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슈퍼바이저는 사례관리자를 강점관점으로 보고 사례관리자의 결정권을 지지해주며 슈퍼바이저는 정직하고 성실한 모습을 통해 사례관리자에게 관계적으로 도움을 주는 것과 사례관리자의 능력성장을 중요시하고 사례관리 수행에 있어 이용 가능한 정보를 제공해 주며 문제 중심보다는 해결책을 강조하는 슈퍼바이저의 참여적 도움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슈퍼비전의 요인 중 슈퍼비전의 교육적 기능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슈퍼바이저가 교육적 기능을 많이 활용할수록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사례관리자가 사례관리를 수행하는데 사례관리의 전반적 과정을 논의하는 것을 슈퍼바이저와 함께 하는 것 뿐 아니라 사례관리자의 책임성의 한계인식, 자기인식향상, 이론적 지식 향상을 위한 교육적인 슈퍼비전을 통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슈퍼바이저의 지지적 행동특성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으로 슈퍼바이저는 강점관점, 존중, 자율성, 신뢰, 이해와 같은 슈퍼바이저의 태도와 지식습득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사례관리자의 교육 뿐 아니라 슈퍼바이저의 교육과 훈련의 시스템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며 강점관점의 실천이 클라이언트에게만 실천되는 것이 아니라 사례관리자에게도 실천된다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의 수준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지역사회복지관 사례관리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슈퍼비전의 기능중 교육적 기능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사례관리자의 자기개발의 기회 및 전문적인 지식향상을 위한 기회확대와 교육비 지원 등 교육을 위한 지원과 내부시스템의 안착화가 필요하다. 셋째, 사례관리를 담당하는 슈퍼바이저의 경우에는 사회복지 경력이 바탕이 되는 슈퍼바이저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실천경험과 교육훈련을 받은 경력의 사회복지사가 슈퍼바이저가 될 수 있도록 관리시스템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supervision factors associated with self - efficacy of case managers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I began this study with the feeling that how supervision develop the self - efficacy of community welfare center case managers who have became important role by reform of the funtion of community welfare center. For this stduy, 127 case managers of 142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Seoul City, Gyeonggi Province, Incheon City participated and there are the crucial results.
      First, the supportive behavior characteristic of supervisors has the most important effect on the self - efficacy of case managers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Supervisor's behaviors affects the morale of case magers such as supporting the decision of case managers, helping social relationship for case managers with good reputation, developing case manager's ability,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case and focusing on a solution rather a problem.
      Second, the educational role, one of the factors of supervision have an effect on the self - efficacy of case managers. It means that using more educational function have an good influence on self - efficacy of case managers with more satisfaction. Self-efficiency of case managers is risen with not only solving a process of a case together with a supervisor but also a supervisor's understanding of the limit of authority, self-awareness-advancement, cooperation discussion, and educational supervision for theoretical knowledge improvement.
      There are suggestions on this study. First, supervisor should make an effort to achieve the attitude such as strength perspective, respect, autonomy, trust, understanding because the supportive behavior characteristic of supervisor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self - efficacy of case manager. In addition, the education program system should be strengthened not only for case managers but also for supervisors. If the practice of strength perspective apply on not only clients but also case managers, the self-efficacy of case managers will be better level.
      Second, social workers who managing case at community welfare center need supports and interests. According to the effect of educational function on self - efficacy, the financial plan and the system for the opportunity for case managers' self - development and professional skills.
      Third, an experienced person in social welfare sector should be selected to the supervisor of case manager. We need to make a personal system which social workers of broad experience become a supervisor.
      번역하기

      The purpose of supervision factors associated with self - efficacy of case managers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I began this study with the feeling that how supervision develop the self - efficacy of community welfare center case managers who have b...

      The purpose of supervision factors associated with self - efficacy of case managers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I began this study with the feeling that how supervision develop the self - efficacy of community welfare center case managers who have became important role by reform of the funtion of community welfare center. For this stduy, 127 case managers of 142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Seoul City, Gyeonggi Province, Incheon City participated and there are the crucial results.
      First, the supportive behavior characteristic of supervisors has the most important effect on the self - efficacy of case managers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Supervisor's behaviors affects the morale of case magers such as supporting the decision of case managers, helping social relationship for case managers with good reputation, developing case manager's ability,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case and focusing on a solution rather a problem.
      Second, the educational role, one of the factors of supervision have an effect on the self - efficacy of case managers. It means that using more educational function have an good influence on self - efficacy of case managers with more satisfaction. Self-efficiency of case managers is risen with not only solving a process of a case together with a supervisor but also a supervisor's understanding of the limit of authority, self-awareness-advancement, cooperation discussion, and educational supervision for theoretical knowledge improvement.
      There are suggestions on this study. First, supervisor should make an effort to achieve the attitude such as strength perspective, respect, autonomy, trust, understanding because the supportive behavior characteristic of supervisor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self - efficacy of case manager. In addition, the education program system should be strengthened not only for case managers but also for supervisors. If the practice of strength perspective apply on not only clients but also case managers, the self-efficacy of case managers will be better level.
      Second, social workers who managing case at community welfare center need supports and interests. According to the effect of educational function on self - efficacy, the financial plan and the system for the opportunity for case managers' self - development and professional skills.
      Third, an experienced person in social welfare sector should be selected to the supervisor of case manager. We need to make a personal system which social workers of broad experience become a superviso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ⅴ
      • 영문초록 ⅷ
      • 제 1 장 서론 1
      • 1.1 문제제기 1
      • 국문초록 ⅴ
      • 영문초록 ⅷ
      • 제 1 장 서론 1
      • 1.1 문제제기 1
      • 1.2 연구목적 4
      • 제 2 장 문헌고찰 5
      • 2.1 자기효능감 5
      • 2.1.1 자기효능감의 개념 5
      • 2.1.2 자기효능감의 형성과 영향요인 6
      • 2.1.3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의 중요성 7
      • 2.2 슈퍼비전 10
      • 2.2.1 슈퍼비전의 개념 10
      • 2.2.2 슈퍼비전의 기능 11
      • 2.2.2.1 행정적 슈퍼비전 11
      • 2.2.2.2 교육적 슈퍼비전 12
      • 2.2.2.3 지지적 슈퍼비전 12
      • 2.2.2.4 사례관리실천에서 슈퍼비전 기능별 분류 13
      • 2.2.3 슈퍼비전의 유형 15
      • 2.2.4 슈퍼바이저의 지지적 행동특성 16
      • 2.2.5 사회복지에서 슈퍼비전의 중요성 19
      • 2.2.6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사례관리자의 역할 20
      • 2.3 선행연구 22
      • 2.3.1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 연구 22
      • 2.3.2 슈퍼비전과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24
      • 제 3 장 연구방법 26
      • 3.1 연구모형 26
      • 3.2 연구문제 26
      • 3.3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7
      • 3.4 측정도구 28
      • 3.4.1 종속변수 29
      • 3.4.2 독립변수 30
      • 3.5 자료분석 38
      • 제 4 장 연구결과 40
      • 4.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0
      • 4.2 각 주요 변수들의 기술적 분석 43
      • 4.2.1 슈퍼비전의 요인 43
      • 4.3 자기효능감 수준 49
      • 4.3.1 자기효능감 수준 49
      • 4.4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 50
      • 4.5 슈퍼바이저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 53
      • 4.6 슈퍼비전 요인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 관계에 관한 분석 54
      • 4.7 슈퍼비전의 요인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58
      • 제 5 장 결론 및 제언 62
      • 5.1 결론 62
      • 5.2 제언 65
      • 5.3 연구의 한계점 66
      • 참고문헌 68
      • 부 록 7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