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저분자 키토산 함유 해양심층수의 알코올대사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Deep Sea Water Containing Low Molecular Weight Chitosan on Alcohol Metabol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604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저분자 키토산과 해양심층수가 알코올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해양심층수와 저분자 키토산을 함유한 해양심층수를 실험동물에 3주 동안 투여한 후 알코올 대...

      본 연구에서는 저분자 키토산과 해양심층수가 알코올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해양심층수와 저분자 키토산을 함유한 해양심층수를 실험동물에 3주 동안 투여한 후 알코올 대사효소인 ADH, MEOS 및 ALDH의 활성,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간에서 알코올을 일차적으로 아세트알데히드로 산화시키는 효소인 ADH의 활성은 알코올만 투여한 군과 해양심층수 투여군에 비해 저분자 키토산을 함유한 해양심층수를 투여한 군이 27.8~29.9 unit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MEOS 활성도 저분자 키토산 함유한 해양심층수 투여군이 해양심층수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숙취 및 세포상해의 원인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는 ALDH도 저분자 키토산을 함유한 해양심층수 (경도 1,500)를 투여한 군에서 13.0 unit로 유의적인 높은 활성을 보였다. 혈중 알코올 함량에서도 해양심층수 단독 투여군보다 저분자 키토산 함유한 해양심층수를 마우스에 투여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분자 키토산 함유한 해양심층수 (경도 1,500)는 아급성 알코올 중독시 간세포내의 알코올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인 ADH, MEOS 및 ALDH의 활성을 증가 시킴으로서 알코올 분해대사를 촉진시켜 혈중 알코올 함량을 낮게 해 주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ep sea water (DSW) containing low molecular weight chitosan (LMC) on alcohol-metabolizing enzymes activities in ICR mice. The mice were orally administered 25% ethanol (alcohol group), 25% ethanol and...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ep sea water (DSW) containing low molecular weight chitosan (LMC) on alcohol-metabolizing enzymes activities in ICR mice. The mice were orally administered 25% ethanol (alcohol group), 25% ethanol and DSW (hardness 0 or 1,500) (DSW group), 25% ethanol and DSW (hardness 0 or 1,500) containing LMC (2.5 mg/ 0.3 mL/day) (DSW containing LMC group) for 3 weeks. Alcohol dehydrogenase (ADH) activity was increased in the DSW (hardness 1,500) containing LMC group compared to the alcohol and DSW group. Also, in the DSW (hardness 1,500) containing LMC group, 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ystem (MEOS) and aldehyde dehydrogenase (ALDH) activitie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ing tendency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The blood alcohol content was lower due to the increased activities of alcohol-metabolizing enzymes (ADH, MEOS, and ALDH) in the DSW (hardness 1,500) containing LMC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SW (hardness 1,500) containing LMC may alleviate ethanol-induced hepatotoxicity by altering alcoholmetabolizing enzymes activit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승원,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다시마 추출물의 두부응고제 특성" 한국수산과학회 40 (40): 113-116, 2007

      2 이승은, "털부처꽃 채취부위별 추출물이 만성 알코올 투여 흰쥐에 미치는 영향" 한국약용작물학회 19 (19): 334-340, 2011

      3 이승은, "털부처꽃 뿌리 추출물의 단회투여가 급성 알코올 투여 흰쥐의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약용작물학회 20 (20): 345-352, 2012

      4 김정상, "갈근(Radix puerariae)과 죽력(Bambusae caules in Liquamen Phyllostachyos)을 함유한 숙취해소 음료가 알코올을 투여한 생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318-323, 2004

      5 Hawkins, R.D, "The metabolism of ethanol and its metabolic effects" 24 : 67-157, 1972

      6 Wiese, J.G, "The alcohol hanover" 132 : 987-902, 2000

      7 Kim, D.H, "Study on the Puffer fish Fugu xanthopterus water extract of detoxification mechanism in subacute alcohol-treated rats" Kyungsung University 1995

      8 Lowry, O.H, "Protein measurement with the Folin-phenol reagents" 193 : 265-275, 1954

      9 Wei, X., "Pharmacokinetics and in vivo fate of drug loaded chitosan nanoparticles" 13 : 364-371, 2012

      10 Wheeler, M.D, "Overexpression of manganese superoxide dismutase prevents alcohol-induced liver injury in the rat" 276 : 36664-36672, 2001

      1 이승원,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다시마 추출물의 두부응고제 특성" 한국수산과학회 40 (40): 113-116, 2007

      2 이승은, "털부처꽃 채취부위별 추출물이 만성 알코올 투여 흰쥐에 미치는 영향" 한국약용작물학회 19 (19): 334-340, 2011

      3 이승은, "털부처꽃 뿌리 추출물의 단회투여가 급성 알코올 투여 흰쥐의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약용작물학회 20 (20): 345-352, 2012

      4 김정상, "갈근(Radix puerariae)과 죽력(Bambusae caules in Liquamen Phyllostachyos)을 함유한 숙취해소 음료가 알코올을 투여한 생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318-323, 2004

      5 Hawkins, R.D, "The metabolism of ethanol and its metabolic effects" 24 : 67-157, 1972

      6 Wiese, J.G, "The alcohol hanover" 132 : 987-902, 2000

      7 Kim, D.H, "Study on the Puffer fish Fugu xanthopterus water extract of detoxification mechanism in subacute alcohol-treated rats" Kyungsung University 1995

      8 Lowry, O.H, "Protein measurement with the Folin-phenol reagents" 193 : 265-275, 1954

      9 Wei, X., "Pharmacokinetics and in vivo fate of drug loaded chitosan nanoparticles" 13 : 364-371, 2012

      10 Wheeler, M.D, "Overexpression of manganese superoxide dismutase prevents alcohol-induced liver injury in the rat" 276 : 36664-36672, 2001

      11 Pemberton, P.W, "Non-invasive monitoring of oxidant stress in alcoholic liver disease" 40 : 1102-1108, 2005

      12 Forsander, O.A., "Methabolites produced in the liver during alcohol oxidation" 235 : 34-36, 1960

      13 Yang, J.M, "Metabolism of Alcohol and its clinical role" 7 : 345-348, 2001

      14 Koivula, T, "Liver aldehyde and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ies in rat strains genetically selected for their ethanol preference" 24 : 1807-1811, 1975

      15 Kimata, H., "Improvement of skin symptoms and mineral imbalance by drinking deep sea water in patients with atopic eczema/dermatitis syndrome (AEDS)" 45 : 83-84, 2002

      16 Guerri, C, "Free radicals in diagnostic medicine" Plenum Press 291-305, 1994

      17 Lieber, C.S, "Ethanol oxidation by hepatic microsomes: Adaptie increase after ehanol feeding" 162 : 917-918, 1968

      18 Alderman, J, "Ethanol metabolizing pathway in deermice" 262 : 7497-7505, 1987

      19 Leiber, C.S, "Ethanol metabolism, cirrhosis and alcoholism" 257 : 59-84, 1997

      20 Lin, R.C, "Effects of isoflavones on alcohol pharmacokinetics and alcohol-drinking behavior in rats" 68 : 1512s-1515s, 1998

      21 Koivula, T, "Different form of rat liver aldehyde dehydrogenase and their subcellular distribution" 397 : 9-23, 1975

      22 Katsuda, S., "Deep sea water improves cardiovascular hemodynmics in Kurosawa and Kusanagi-Hypercholesterolemic (KHC) rabbits" 31 : 38-44, 2008

      23 Kim, C.I, "Cause and effect of hangover" 4 : 26-30, 1999

      24 Coudray, C, "Blood and liver lipid peroxide status after chronic ethanol administrations in rats" 219 : 35-45, 1993

      25 Casettari, L, "Biomedical application of amino acid-modified chitosan" 33 : 7565-7583, 2012

      26 French, K.T, "Biochemical basis for alcohol-induced liver injury" 22 : 41-49, 1989

      27 Liever, C.S., "Alcohol and cancer" 6 : 1005-1019, 1986

      28 Swif, R, "Akchol hangover, mechanism and mediators" 22 : 54-60, 1998

      29 Abdellah, M., "Acute ethanol administration oxidatively damages and depletes mitochondrial DNA in mouse liver, brain, heart and skeletal musclers: protective effects of antioxidants" 298 : 737-743, 2001

      30 Kim, K.W, "Activity of alcohol dehydrogenase and ethanol, acetaldehyde levels in normal adults blood" 4 : 240-247, 1994

      31 Das, S.K, "Aacohol-induced oxidative stress" 81 : 177-187,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3 0.48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