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형 블록버스터에 나타난 한국적 특수성에 대한 연구 = (A)study of the national specificity in the Korean blockbus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5341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90년대에 들어 정부의 정책기조 변화에 의한 시장의 완전 자유화와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대기업과 금융자본의 유입으로 인해 한국의 영화산업은 급격히 산업화되었다. 그 결과 전통적인 한국영화와는 차별화되는 상품으로 기획되고 생산되는 새로운 유형의 기획영화가 탄생되었다. 90년대 후반부터 한국 영화시장의 지형도를 변화시키고, 해외시장으로 그 영역을 확대시켜나가면서 영화산업을 가장 각광받는 문화산업으로 격상시킨 한국형 블록버스터는 이런 유형의 기획영화가 보다 공세적으로 확장되어 나타난 결과물이다.
      산업적인 측면에서 볼 때 한국형 블록버스터는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에 대한 대항영화로서의 위상을 갖지만, 동시에 보다 작은 영화들을 억압하는 유사 할리우드 영화로서의 위상 역시 갖고 있다. 또한 텍스트적인 차원에서 한국형 블록버스터는 특수효과를 중심으로 한 스펙터클 위주의 내러티브 전략을 구사함으로써 볼거리에만 치중함으로써 허술한 이야기 구조를 갖고 있다는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에 대한 비난을 그대로 받고 있다. 하지만 본 논문은 한국형 블록버스터가 갖고 있는 이런 산업적/미학적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현 시점 주변부로서의 한국이라는 시공간적 특수성을 일정 정도 반영하고 있으며, 이런 특수성으로 인해 그 안에 내재되어있는 대중들의 무의식적 욕망을 전경화시키고 관습화시킴으로써 현재의 유령적 보편주의에서 벗어나 보다 새로운 영화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가능성의 출발은 스펙터클 이미지에서 찾을 수 있다. 한국형 블록버스터에 등장하는 스펙터클 이미지는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현실의 모습을 지우고 관객들에게 일종의 가상성의 쾌락을 전달한다. 하지만 한국형 블록버스터에는 이러한 스펙터클 이미지를 내러티브와 연결시키는데 필수적인 적절한 장르관습이 부재하다. 또한 주변부로서의 한국의 역사적 경험은 끊임없이 대중들의 기억 속으로 틈입해 들어오면서 문제를 야기한다. 한국형 블록버스터는 전통적인 신파에 뿌리를 둔 멜로드라마적인 관습으로 회귀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려 시도한다. 하지만 한국형 블록버스터는 이를 통해 오히려 역사적 경험과 정면으로 충돌하는 결과를 낳았다. 내러티브의 차원에서 볼 때 이런 한국적 특수성은 주체의 분열과 시간의 분열이라는 두 가지 양상으로 나타난다. 본 논문은 이를 바흐친의 개념을 빌어와서 이중인화의 크로노토프, 어름의 크로노토프로 정의한다. 한국형 블록버스터의 특수성이 이런 방식으로 텍스트에 기입되었다면, 제작과 소비의 차원에서는 민족영화라는 위상이 이러한 특수성을 반영한다. 한국적 근대화의 실패로 규정될 수 있는 90년대 후반 한국형 블록버스터는 사회, 경제적인 차원에서의 실패를 만회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보상할 수 있는 문화산업의 총아로 떠올랐다. 따라서 한국형 블록버스터는 실제로 갖는 많은 부정적인 함의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영화적 담론에 의해 할리우드에 대항하는 민족영화로 부각되었고, 또 그렇게 소비되었다. 이처럼 한국형 블록버스터의 텍스트 내/외적인 차원에서 등장하는 특수성은 한국 근대성의 변화와 그 궤를 같이한다. 따라서 단순한 비판과 부정의 차원을 넘어서 이에 대한 적극적인 해석의 틀을 설정하고,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해야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1990년대에 들어 정부의 정책기조 변화에 의한 시장의 완전 자유화와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대기업과 금융자본의 유입으로 인해 한국의 영화산업은 급격히 산업화되었다. 그 결과 전통적...

      1990년대에 들어 정부의 정책기조 변화에 의한 시장의 완전 자유화와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대기업과 금융자본의 유입으로 인해 한국의 영화산업은 급격히 산업화되었다. 그 결과 전통적인 한국영화와는 차별화되는 상품으로 기획되고 생산되는 새로운 유형의 기획영화가 탄생되었다. 90년대 후반부터 한국 영화시장의 지형도를 변화시키고, 해외시장으로 그 영역을 확대시켜나가면서 영화산업을 가장 각광받는 문화산업으로 격상시킨 한국형 블록버스터는 이런 유형의 기획영화가 보다 공세적으로 확장되어 나타난 결과물이다.
      산업적인 측면에서 볼 때 한국형 블록버스터는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에 대한 대항영화로서의 위상을 갖지만, 동시에 보다 작은 영화들을 억압하는 유사 할리우드 영화로서의 위상 역시 갖고 있다. 또한 텍스트적인 차원에서 한국형 블록버스터는 특수효과를 중심으로 한 스펙터클 위주의 내러티브 전략을 구사함으로써 볼거리에만 치중함으로써 허술한 이야기 구조를 갖고 있다는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에 대한 비난을 그대로 받고 있다. 하지만 본 논문은 한국형 블록버스터가 갖고 있는 이런 산업적/미학적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현 시점 주변부로서의 한국이라는 시공간적 특수성을 일정 정도 반영하고 있으며, 이런 특수성으로 인해 그 안에 내재되어있는 대중들의 무의식적 욕망을 전경화시키고 관습화시킴으로써 현재의 유령적 보편주의에서 벗어나 보다 새로운 영화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가능성의 출발은 스펙터클 이미지에서 찾을 수 있다. 한국형 블록버스터에 등장하는 스펙터클 이미지는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현실의 모습을 지우고 관객들에게 일종의 가상성의 쾌락을 전달한다. 하지만 한국형 블록버스터에는 이러한 스펙터클 이미지를 내러티브와 연결시키는데 필수적인 적절한 장르관습이 부재하다. 또한 주변부로서의 한국의 역사적 경험은 끊임없이 대중들의 기억 속으로 틈입해 들어오면서 문제를 야기한다. 한국형 블록버스터는 전통적인 신파에 뿌리를 둔 멜로드라마적인 관습으로 회귀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려 시도한다. 하지만 한국형 블록버스터는 이를 통해 오히려 역사적 경험과 정면으로 충돌하는 결과를 낳았다. 내러티브의 차원에서 볼 때 이런 한국적 특수성은 주체의 분열과 시간의 분열이라는 두 가지 양상으로 나타난다. 본 논문은 이를 바흐친의 개념을 빌어와서 이중인화의 크로노토프, 어름의 크로노토프로 정의한다. 한국형 블록버스터의 특수성이 이런 방식으로 텍스트에 기입되었다면, 제작과 소비의 차원에서는 민족영화라는 위상이 이러한 특수성을 반영한다. 한국적 근대화의 실패로 규정될 수 있는 90년대 후반 한국형 블록버스터는 사회, 경제적인 차원에서의 실패를 만회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보상할 수 있는 문화산업의 총아로 떠올랐다. 따라서 한국형 블록버스터는 실제로 갖는 많은 부정적인 함의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영화적 담론에 의해 할리우드에 대항하는 민족영화로 부각되었고, 또 그렇게 소비되었다. 이처럼 한국형 블록버스터의 텍스트 내/외적인 차원에서 등장하는 특수성은 한국 근대성의 변화와 그 궤를 같이한다. 따라서 단순한 비판과 부정의 차원을 넘어서 이에 대한 적극적인 해석의 틀을 설정하고,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해야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7
      • 1. 문제 제기 7
      • 2. 연구 방법 21
      • 2. 한국형 블록버스터의 개념화 38
      • 1. 블록버스터의 탄생 : 뉴 할리우드라는 유사 보편성 40
      • 1. 서론 7
      • 1. 문제 제기 7
      • 2. 연구 방법 21
      • 2. 한국형 블록버스터의 개념화 38
      • 1. 블록버스터의 탄생 : 뉴 할리우드라는 유사 보편성 40
      • 2. 보편성과 특수성 : 한국형 블록버스터 53
      • 3. 테크놀로지와 스펙터클의 매혹 74
      • 1. 스펙터클 이미지 : 테크놀로지의 매혹 75
      • 2. 테크놀로지에 의한 스펙터클, 테크놀로지라는 스펙터클 93
      • 2-1. 가상성의 스펙터클 이미지 : 역사의 흔적들 96
      • 2-2. 테크놀로지의 매혹 : 뒤틀린 역사와 판타지 110
      • 4. 한국적 근대성 구현으로서의 내러티브 118
      • 1.한국형 블록버스터의 크로노토프 119
      • 2. 이중인화의 크로노토프 128
      • 2-1. 무국적 판타지 129
      • 2-2. 민족주의 판타지 135
      • 5. 문화산업과 민족영화 145
      • 1. 전지구적 자본주의 하의 문화산업으로서의 한국형 블록버스터 146
      • 2. 민족영화와 민족적 알레고리 160
      • 6. 결론 176
      • 참고문헌 182
      • Abstract 2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